목양자료(1396)
-
[스크랩] 곤잘레스: 초대교회사(94- )
p.94. 그렇다면 철학자들과 기독교 사이의 이러한 부분적 일치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저스틴은 그 대답을 로고스의 교리에서 찾고자 하였다. 로고스는 'word'와 'reason'을 동시에 의미하는 헬라단어이다. 헬라철학에서 오랫동안 견지해 온 전통에 의하면, 인간의 지성은 모든 실재세계를 떠받치고..
2009.11.19 -
[스크랩] 곤잘레스: 초대교회사(1- )
곤잘레스의 현대교회사를 모두 읽고 나니, 초대교회사를 다시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그의 발트주의적 역사관이 초대교회사기록에 투영되어 있는지를 관찰해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빨리 이 책을 돌려주어야 한다는 압박도 늘어간다. 이전에 해두었던 독서노트를 발견..
2009.11.19 -
[스크랩] 곤잘레스: 현대교회사(320- )
p.320. 교회가 비잔틴제국으로부터 전통적으로 받았던 지원들은 축복만은 아니었다. 이러한 제국과의 관계를 통해 희랍교회는 방대한 특권을 누렸으나, 동시에 그 자유는 제한받아야 했다. 서방의 경우 교황들이 국왕들보다도 더 강력했던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반해, 동방에서는 황제들이 교회..
2009.11.19 -
[스크랩] 곤잘레스: 현대교회사(277- )
p.277. 19세기의 눈부신 지리적 확장은 오직 16세기의 그것에나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16세기가 카톨릭확장기라고 한다면, 19세기는 프로테스탄트 진영의 확장시대였다. 이처럼 거대한 움직임의 정확한 결과를 아직도 확실하게 평가할 수는 없지만, 기독교의 역사에서 볼 때,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사건..
2009.11.19 -
[스크랩] 곤잘레스: 현대교회사(243- )
p.250. 신학의 기능은 의존의감정을 세 가지 차원 속에서 탐구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 세 가지는 자와 세계의 관계, 그리고 자아와 하나님과의 관계이다. 의존의 감정에 관련되지 못한 것은 신학 속에서 아무런 자리도 차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서 창조론을 생각해 보자. 이 신조는 절대 의존의 감정..
2009.11.19 -
[스크랩] 곤잘레스: 현대교회사( 151- )
p.151. "하나님께서는 결코 문명국가에서 종교가 강제로 성행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신다. 강제로 성립된 획일성은 조만간 내란을 일으키고 양심을 짓밟으며, 그리스도와 그의 종들을 박해하고, 수백만 영혼들의 위선과 파괴를 불러오게 된다"(로저 윌리엄스) 옳은 말이다. 아무리 옳은 진리라고 해서 ..
2009.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