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4.현대신학(10)
-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
소외 받는 사람들이 없도록 교육 기회 제공 프랑케는 중세가 끝나고 근세가 시작될 무렵, 독일이 유럽의 여러 나라 중에서도 후진국에 속해 있을 당시의 사람이다. 독일은 역사적으로 왕권이 강했던 영국이나 프랑스와 달리 여러 제후국들이 모여 연합을 이루고 있었다. 그래서 중세 시..
2013.12.11 -
경건주의 초기 역사
경건주의 초기 역사 I. 머리말 II. 경건주의의 의의 III. 경건주의의 본성 Ⅳ. 영국 퓨리턴들의 경건주의 Ⅴ. 맺는말 I. 머리말 우리는 1991년부터 경건주의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십여년 전부터 사회는 물질적 풍요와 함께 영적인 소원이 사라지고 교회의 성장 둔화가 눈에 띄기 시작했습니다. ..
2008.12.18 -
경건주의와 종교개혁
경건주의와 종교개혁 이 은 재(감신대 초빙교수) 우리가 이 둘의 관계를 올바로 이해하려 한다면 먼저 다음의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경건주의는 종교개혁의 유산 없이는 생각할 수 없으며 반면에 경건주의는 이 유산을 비판 없이 수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때문에 경건주의가 종교개혁..
2008.12.18 -
프랑케와 할레의 경건주의
프랑케와 할레의 경건주의 August Hermann Francke and Pietism of Halle I. 서론 II.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의 생애와 활동: 할레에서 사역 이전까지 III. 할레 경건주의의 태동과 발전 IV. 결론 요약 17세기에 독일에서 일어난 경건주의 운동은 종교개혁 이후 침체해진 교회에 새로운 활력과 개혁을 가져다..
2008.12.18 -
현대 신학의 흐름
현대 신학의 흐름 Schleiermacher부터 볼트만까지 <서론> 현대 신학은 현대 철학이나 과학보다 조금늦게 시작되었다. 18세기 유럽의 지성계를 지배한 데카르트-뉴톤적인 현대 세계관과 사고방식은 기독교 신앙에 중대한 도전으로 대두되었다. 이는 전통 신학의 모든 전제들을 문제시하고 공격했기 때..
2007.10.29 -
민중신학이란 무엇인가
민중신학이란 무엇인가 허호익(대전신대 교수) 민중신학은 1970년대 이후의 한국적 정치상황에 대한 한국기독교의 신학적 응답으로 전개된 신학이다. 1970년대는 경제발전과정에서 도시 노동자들의 경제적인 착취의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었고 급기야 청계천 노동자 전태일의 분신사건으로 표출되었..
2006.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