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4.현대신학(10)
-
현대 신학의 흐름 Schleiermacher부터 볼트만까지
현대 신학의 흐름 Schleiermacher부터 볼트만까지 <서론> 현대 신학은 현대 철학이나 과학보다 조금늦게 시작되었다. 18세기 유럽의 지성계를 지배한 데카르트-뉴톤적인 현대 세계관과 사고방식은 기독교 신앙에 중대한 도전으로 대두되었다. 이는 전통 신학의 모든 전제들을 문제시하고 공격했기 때..
2006.11.02 -
데리다와 푸코
데리다와 푸코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7.15∼) 프랑스의 철학자. 알제리 엘비아르 출생. 파리의 에콜 노르말 쉬페리외르(고등사범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부터 이 학교에서 철학사를 가르쳤다. E.후설의 현상학(現象學)을 배운 후, 구조주의의 방법을 철학에 도입하였다. 언어의 기호체계(記號體..
2006.06.03 -
이성은 해체되어야 하는가?
이성은 해체되어야 하는가? 이정석 (풀러신학교 조직신학교수) 20세기의 대표적인 철학이 실존주의(existentialism)였다면, 21세기를 주도하게될 사상계의 흐름으로는 포스트모던이즘 (post-modernism)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사상운동은 20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형성되어 세계로 확산되었는데, 데카르트로부..
2006.06.03 -
포스트모던 신학이란 무엇인가?
포스트모던 신학이란 무엇인가? 이 글은 서울신대의 목창균 교수가 쓴 논문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신학"(교수논총 제9집, 1998년)을 요약한 것입니다. 1. 서론 서구 세계와 문화는 역사적 전환기에 있다. 현대와 현대사상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시대와 사상이 출현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2006.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