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10. 18:05ㆍ운영자자료/중국교회에 관한 자료
간추린 中國 교회사
윤승록 간사
중국은 오랜 역사와 그리고 놀라운 문화를 가진 나라이다. 그들 스스로 세계의 한 가운데 있는 나라라고 생각하는 자부심 강한 나라이다. 격변의 20세기를 보내고 중국은 이제 다시 세계의 한가운데로 다시 등장하고 있는 나라이다. ꡐOperation Worldꡑ에 의하면 크기에 있어서 세계에서 3번째로 큰 나라일 뿐 아니라 전 세계 인구의 20%가 살고 있는 나라이다. 또한 기독교인의 숫자는 8,000만 명에서 1억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교회의 미래는 여전히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공산주의의 통제 하에 놓여 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중국에 있는 이 위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의 역사를 시대별로 간추려 보고 중국 교회의 과제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1. 중국교회사의 시대별 요약
중국 교회사는 다섯 개의 시기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 당나라 시대의 경교(Neatorians)주의자의 선교 시대, 둘째, 몽고 제국 시대의 카톨릭(Catholic) 선교 시대, 셋째, 19세기까지의 예수회(The Jesuits) 중심의 선교 시대, 넷째,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 있었던 개신교 선교 시대, 다섯째, 20세기 후반의 공산주의 하의 중국 교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1) 당나라 시대 경교(The Nestorians)에 의한 선교
우리는 중국에서 있었던 첫 기독교 선교의 정확한시기에 대해 충분한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하다. Samuel Hugh Moffet 은 AD7세기의 네스토리안들의 선교 이전에 중국인들과 유대인들의 조우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PP,13-14) 이러한 조우는 아마 비단 무역을 통해 이루어 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왜냐하면 고대에 비단은 오직 중국에서만 생산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성경 이사야서와(이사야 49:12) 에스겔서(에스겔 16:10, 13)에 언급되어있다.
Donald Hoke은 주장하기를 BC 700년경에 중국에 유대인 식민지가 있었다고 한다. (The Church in Asia, p.133) 그러한 예로 그는 구약 성경의 의미를 담고 있는 몇 개의 중국 글자를 들었다. (예: 배를 의미하는 글자인 선이라는 글자는 배 안에 여덟 명의 가족이 타고 있음을 보여 주며, 의라고 하는 단어는 반란을 일으킨 내가 양 아래 피난처를 구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백성들의 죄를 대속하기 위하여 황제가 매년 하늘에 드리는 제사는 대속에 대한 유대인 사상의 영향력을 보여 준다. 기원 후 4세기 시리아교회(The Syriac Church)는 페르샤(Persia) 제국 안에 놓여있었다. 325년 니케아 회의(Council of Nicea)에 시리아 교회의 감독들이 참석하게 되고 그들의 출석은 시리아 교회와 페르샤 제국 사이에 정치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은 비록 로마가 근동일대를 지배하는 세력이기는 했으나 페르샤는 여전히 근동의 강력한 제국으로 로마와 경쟁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미묘한 상황에 비록 외형상으로는 로마의 감독이 소집한 기독교의 회의이긴 했으나 실제적인 후원은 로마의 황제였던 콘스탄틴에 의해 니케아 회의가 소집되었기 때문에 페르샤의 황제 Shaphur II세는 매우 자극이 되어 외국 세력인 로마 제국에 대해 공적인 참석을 한 시리아 교회의 감독들을 정죄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민감한 시기에 로마의 콘스탄틴 황제는 나아가 자신이 시리아 교회의 공식적인 보호자임을 샤푸르 2세에게 편지를 써서 보낸다. 이에 격분한 샤푸르 2세는 큰 박해를 시리아 교회에 가하고 이때 콘스탄틴 황제는 시리아 교회의 기독교인들을 돕지 않는다. 박해는 다음 세기(5세기)까지 계속되었다. 결국 410년 Seleucia 회의에서 페르샤의 황제Yazdgardh I세에 의해 시리아교회는 페르샤 제국에서the privileged minority 지위를 얻게 된다. John Rooney는 그의 글ꡑThe Nestorians in Central Asiaꡑ에서 ꡐmilletꡑ의 법적 효력은 이슬람교의 ꡐahl-ul-kitabꡑ이라는 개념, 즉 기독교를 믿고 실천하는 자유는 가지나 그것을 전파할 수는 없는 상태를 정확하게 의미하는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vol. XXIV, p.119)
나아가 이 정책은 시리아 교회 선교사들의 태도에도 깊이 영향을 주게 된다. 샤푸르 2세의 박해는 시리아교회의 기독교인들을 로마와 그리고 페르샤의 동쪽, 즉 파키스탄, 푼잡, 인도 등으로 옮겨가게 하고 흩어진 시리아교회의 기독교인들은 그들이 머무는 것에서 기독교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시리아 교회 기독교인들은 무역에 매우 뛰어 나서 이익을 쫓아 스키디아인들과 훈족들에게도 나아갔으며 이때 그들은 복음도 함께 가지고 나아갔다. 어떤 이들은 시리아 교회 기독교인들이 원래 유대인들이었다고 주장한다. 바로 BC 6세기 바벨론에 의해 팔레스타인에서 페르샤로 옮겨지게 되었던 유대인들이 바로 그들일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시리아 교회의 확장은 7세기 경교(景敎, the Nestorians)의 중국 선교를 가능하게 한다. 첫 번 째 시리아 교회의 선교사들이 중국에 도착했을 때 중국은 당(唐)나라가(AD. 618-905) 중국을 지배하고 있었다. 초기 경교 선교에 관한 내용은 1642년 Hsian Fu의 고대 수도 근처에서 당나라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원의 벽을 수리하던 인부들에 의해 발견된 거대한 석조(石造) 기념비의 발견으로 인해 드러나게 된다. 이 석조물은 길이 2.5m,넓이 75cm, 폭 25cm로 그 위에 중국어와 시리아어 2,000여 개가 쓰여 있었다. 석조물의 꼭대기에는 시리아 교회에서 사용되었던 십자가가 조각되어 있었고 다음과 같은 글자가 쓰여 있었다. ꡒCommemorative Monument to the Propagation of the Luminous Religion of Ta Chꡑin(Syria) in the Middle Kingdom(China)ꡓ 그 돌비석은 중국과 그리스의 계산법에 의하면 781년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중국에서는12개의 경교 문서가 발견되었다. 이 문서들의 연대는 대략 7세기에서 10세기로 추정된다. 이 문서들은 당나라 시대 경교의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졌음을 보여주는데 마지막 문서는 1036년 서 중국, 돈황(Tun-huang)의 한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첫 번 째 경교 선교사들은A-lo-pen(or Abraham)이라는 사람이 이끌었다. 그는 645년 Hsian Fu라고 알려진 당나라의 수도 장안(長安, Chang An)에 약간의 성경을 가지고 도착했다. 그가 장안에 도착하자 즉시 그는 그 경전을 중국어로 번역하도록 요청을 받았다. 일단의 중국학자들이 그를 도와 마침내 ꡒThe Sutra of Jesus the Messiahꡑ(메시아 예수의 경전)이라는 제목아 붙은 첫 번 째 기독교 책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기독교의 신앙을 중국인에게 소개하고 중국의 고대 전통들에 대해 스스로를 변증하며, 국가의 권위에 대한 충성과 그리스도의 법의 정수인 효도를 가르쳤다. 황제는 그 내용에 대해 매우 만족하고 선교사들에게 호의를 보여 주었다. 경교는 중국의 중요한 도시들에 수도원들을 짓기 시작했으며 고대의 석비에 의하면 ꡒ 그 종교는 10개성으로 퍼져나갔으며,…수도원들은 100여 개의 도시에 있었다. ꡒ(Donald Hoke, The Church in Asia, p.135)
그러나 경교의 선교는 몇 가지 요인들에 의해서 점차 소멸되어 갔다. 도날드 호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첫째, 무엇보다 경교 선교사들은 그들의 의학적인 지식과 외과수술의 기술 때문에 존경받았는데 경교의 비중국인 지도자들 때문에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와 함께 외국 종교로 분류되었다. 그것은 경교가 중국문화와 관계해서 토착화(土着化)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둘째, 경교는 도교(道敎)와 불교(佛敎) 지도자들의 점진적인 질시와 수많은 내전(內戰)으로 인해 약해져 갔다. 셋째, 그들은 그들의 모교회인 메소포타미아의 시리아교회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다. 그 결과 시리아 교회와의 영적(靈的) 유대(紐帶)에 있어서 잦은 단절을 초래했다. 도날드 호크는 이러한 고립이 중국에서의 경교의 영적인 혼합주의(混合主義)를 초래했다고 말한다.
우리는 경교가 중국에서 신학적으로 얼마나 변질되었으며, 그것이 참으로 중국에서 경교의 소멸을 초래했는지 정확하게 알지는 못한다. 그러나 경교가 중국에서 죽은 자를 위한 기도에 관용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아직도 중국과 일본의 불교신자들은 종종 죽은 자를 위한 기도를 드리고 있다. 넷째, 불교에 대한 당시 정권의 적개심이 역시 수 천 명의 중국 경교 성직자들을 세속적인 직업으로 돌아가도록 만들었다. 다섯째, 수도원을 위한 땅의 소유와 축적은 당나라 정부로 경교에 대해 의심하도록 만들었다. 여섯째, 그들은 당 조정과 너무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었다. 그들은 정치적인 요인들에 의해 지나치게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당 왕조가 멸망하자 경교는 홀로 생존할 수 없게 된 것이다. (The Church in Asia, pp.136,137) 고대 중국에서 경교의 존재에 대한 수많은 증거들이 중국의 북동부, 만주로부터 서쪽지역인 돈황에 이르기까지 많은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어 진다. 그럼에도 왜 고대 중국에서 경교가 사라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주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어쨌든 경교가 고대 중국에서 기독교의 좋은 대표자가 되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노봉린 박사는 그의 글 ꡐChristian Mission to Mongol, China, Japanꡑ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ꡓ9세기에서 13세기까지의 이들 기간에 경교회들이 중국에서 사라졌고 거의 자료를 남기지 않았다. 경교회의 그리스도인들에게 무엇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추측들이 있어왔다. 그들은 아마 불교나 마니교, 그리고 회교도들이 되었을 것이다.ꡓ고대 중국에서의 경교 선교는 어쨌든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하나님께서 그들을 인도하셨고 하나님의 왕국을 위해서 사용하셨다. 그리고 우리 주님께서는 중국의 백성들을 위해 그들의 기도를 들으셨다.
비록 공적이고 조직적인 선교는 없었으나 우리는 13세기 몽고 제국시대의 중국에 대한 놀랍고도 용기 있는 선교의 노력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카톨릭 사절들에 의해서 되어졌는데 그들 중에는 프란시스코파(Franciscan)와 도미니칸파(Dominican) 등의 수도원 조직의 수도사들이 주로였다. 몽고제국에 대한 그들의 여행과 몽고제국에 머물렀던 그들의 경험에 관한 수도사들의 이야기들은 그 제국의 정치, 사회적 상황만이 아니라 기독교 선교의 여러 가지 면들을 보여주고 있다.
13세기 전 세계는 그들이 이전에는 결코 경험하지 못했던 엄청난 재앙을 경험하고 있었다. 서쪽으로는 헝가리에서 동쪽으로는 고려에 이르기까지 몽고는 거의 모든 나라들을 통치하고 있었다. 몽고에는 네 개의부족이 있었다. 첫째는 Yekamongol로 ꡐ위대한 몽고ꡑ라는 의미이고, 둘째는 Su-mongol로서 ꡐ물의 몽고ꡑ라는 의미였는데 그들은 Tartars라고 불리웠다. 이는 Tartur라는 이름의 강으로부터 그 이름이 연유되었기 때문이었다. 셋째는 Merkit이라는 부족이었고 넷째는 Mecrit이라는 부족이 있었다. 이 부족들은 1167년에 태어난 Chingis혹은 Temuchin에 의해서 결국 통일이 된다. 그들이 정복한 나라들은 다음과 같다; Kitay, the Naimans, the Sorangi. The Karkitayans 혹은 검은 Kitay, Comania, Cumae, Voyrat, karanites,Uigurs, Sari-Uigurs, Bascart 즉 위대한 Hungary, Kergis, Cosmit, the Saracens, theVisermins, the Turcomans, 위대한 Bularis였던 Byleri, Catora, Tomiti, Burithabet,Parrosites, Cassi, the Alans 혹은 Assi, Obesi 혹은 Georgians, Nestorians, Armenians,Kangit, Comans, 유대인들이었던 Brutachi, the Moravians, the Turks, the Gazars, theSamoyedes, the Persians, the Tarci, Lesser India 혹은 Ethiopia, the Circassians,Ruthenians, Baghdad 그리고 the Sarti등이 있었다.
ꡒ13세기중엽 몽고제국은 유럽에 있던 서구 기독교 국가들을 위협했다. 이러한 상황이 전개되자 새로 교황이 되었던 Innocent IV는 위협을 줄이기 위해 수도사들을 파견한다. 이를 위해 그는 두 명의 프란시스칸, 즉 포르투갈의Lawrence와 Plano Carpini의 John-그는 Assi의 Francis의 직접적인 제자 중의 하나였다-을 택하여 파송한다. 뒤에 베네딕트파의 Pole이라는 사람이 Breslau에서 그들과 합류한다. 이 여행은 매우 위험했다. 그리고 그들의 여행은 비록 성공하지는 못했으나, 그들은Kahn의 편지를 가지고 교황에게로 돌아오게 된다. 그 편지의 내용은 서방세계에 대한 위협과 몽고의 황제에 대한 복종을 요구하는 것들이 담겨있었다. 또한 서구를 복종시키기 위한 전쟁계획을 알리는 것들도 담겨 있었다. 이들의 보고서는 그 당시 몽고제국의 역사만이 아니라 13세기 기독교 선교에 대한 가치 있는 역사적 기록이기도하다.ꡑ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pp.407-408)
서구에 대한몽고제국의 위협은 Hungary 침공을 앞두고 위대한 칸과 헝가리 침공군 사령관이었던 그의 사촌 Batu 사이의 갈등 때문에 줄어들게 된다. 칸(Khan)의 죽음과 Batu의 준 독립적인 지위로 인해 서구는 침공을 면하게 된다. 1247년 교황 Innocent IV는 사절단을 다시 몽고에 보내게 된다. 그들은 도미니칸 파에 속한 사람들이었는데 다음과 같다; Fr. Asacelin, Simon of Tournai와 다른 세 사람이었다. 그들은 1247년 5월 24일 카스피 해의 서쪽에 있던 Batu의 캠프에 도착한다. 그들은 몽고인들에 의해 학대를 받았으나 칸의 사절이었던 Aljigiday가 옴으로 상황은 호전된다. 그는 남서쪽의 무슬림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서구의 기독교인들과의 관계를 세워나가야 하는 일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사람이었다. 1248년 그들은 두 명의 몽고 사절들과 함께 서구로 돌아온다. 이 때 몽고의 사절들은 칸의 편지를 가지고 왔는데 그 편지에 의하면 칸은 서구의 모든 그리스도인들을 보호할 것이며 예루살렘의 회복을 위한 사라센과의 전쟁을 도울 것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칸, Guyuk Khan, 의 죽음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이 서신에 대한 응답으로 프랑스의 왕은 몽고의 사절들과 함께 가장 중요한 사절들을 보냈다. 그 사절단은 Longjumeau의 Andrew가 이끌어 갔다. 이 사절단은 역사가들에 의해 기록된 어느 정도 합법적인 대표단이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그럼에도 'Tartary'에 존재하던 많은 기독교인들에 대한 확인은 서구를 격려했다.
St. Louis의 편지를 가지고 갔던 Rubruck의 프란시스코 파의 수도사 William의 사절은 중국화되기 이전의 몽고 제국에 대한 충분하고도 참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몽고 제국 하에서의 경교에 대한 Rubruck의 묘사는 형편없는데 이는 어느 정도 편견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에게 경교도들은 이단자들이었던 것이다. 그는 이 오래된 믿음이 Don 근처의 Golden Horde의 캠프에서부터 Monke의 궁전과 그 너머에까지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발견했다. Balkash호수 근처에서 그는 거의 경교도들 만이 거주하는 마을을 통과하기도 했다. 이곳은 러시아과 몽고의 접경지대인데 징기스칸의 둘째 아들이었던 Chagatai에게 주어졌던 땅이었다.
징기스칸의 손자이며 네 번 째 칸이었던 Kubilai Khan 치하의 종교적인 정책은 관용적이었다. 칸의 궁전에서 기독교는 다른 종교와 동등하게 대우받았다. 그것은 칸의 어머니였던 Sorkaktani공주의 영향력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그것은 너무 많이 평가되어서는 않된다. 사실 칸의 궁전에는 칸의 조언자로서 티벳(Tibet) 승(僧)도 있었던 것이다. 그는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그의 제국에 있는 모든 종교를 포용했던 것이다.
1289년 교황 Nicholas 4세는 페르샤의 칸이었던 Argun에게만이 아니라 위대한 칸이었던 Kubilai와 중앙아시아에 있던 Ugadey의 집안의 마지막 대표자였던 Kaidu에게도 Monte Corvino의 John을 통해 편지들을 보냈다. 그는 어떤 의미에서 로마 카톨릭 교회의 첫 번째 선교사였다. 중국에서 그는 12년간이나 사역을 했다. 첫 5년 간 비록 몽고인들에 의해 제대로 취급받지 못했으나 결국에 1299년 북경에 교회를 짓도록 허락을 받게 된다. 1307년 그는 교황 Clement 4세에 의해 북경(Khanbakik)의 대주교로 임명받게 된다.
의심할 여지없이 기독교는 몽고인들에 의해 주어졌던 기회들에 대한 즉각적인 응답에 실패했다. 그러나 소수의 그리스도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선교에의 열정과 정신은 어떤 어려움과 난관에도 좌절되지 않았다. 주님은 기꺼이 그들과 함께 하셨으며 그의 왕국을 위해 그들을 사용하셨다. 그들의 수고는 결코 헛되지 않았다.
몽고제국 시대동안의 선교이후 기독교는 15세기에 중국에 다시 소개되었다. 위대한 선교사, Francis Xavier는 중국에 복음을 전하고자 했으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1552년 죽고 만다. 1570년대 포르투갈은 명나라 시대 마카오에 항구적인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곧 그곳은 주교가 임명된다. 마카오를 통해 기독교는 중국에 다시 들어가게 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개신교가 아닌 카톨릭 수도원 조직들에 의해 되어졌다. 첫 번째 선교사는 에수회 소속의 Matteo Ricci(1552-1610)였다. 그의 선교는 성공적이었다. 그 결과 그와 그의 동료 예수회 수도사들은 북경에 거주권을 갖게 되었다. Ricci의 죽음이후 그의 동료들은 제국의 궁전에서 공적인 지위를 갖게 된다. 이것이 궁전에서 경쟁자들로부터 시기심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명나라로부터 청나라로 정권이 바뀜에 따라 심각한 박해를 피할 수 있었다. 특히 황제, 강희제(康熙帝)의 통치 하에서 선교사들은 궁전으로부터의 호의를 즐기게 된다. (1692년 관용의 칙서가 황제에 의해 내려졌다.) 그 결과 다른 수도원 조직들, 즉 프란시스코파, 도미나칸파, 어거스틴파(Augustinian) 등도 중국에 그들 조직을 세울 수 있게 된다. 18세기가 시작할 때 기독교인들은 거의 모든 성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숫자는 20-30만 명에 달하게 된다. 그러나 거의 한 세기동안 지속되었던 조상숭배와 그 의식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로마 교황청이 이 문제에 개입하게 되고 이 일이 황제를 격노하게 만들었다. 처음에 로마교황청은 중국에 있는 모든 선교사들이 제사의식을 따르지 않도록 명령한다. (뒤에 20세기에 로마는 이 태도를 바꾸게 된다.) 그 결과 황제는 선교사들이 리치의 태도를 따르지 않는다면 로마를 떠나도록 명령을 내린다. 1724년과 1736년 기독교에 대한 박해의 칙서를 내리게 된다.
중국에 대한 개신교의 선교는 18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마카오는 여전히 중국에서 포르투갈을 위한 발판이었다. 러시아인들은 중국에서 제한적인 선교를 할 수 있었다. 광동지역은 중국에서 서구 상인들을 위한 유일한 항구로 허락되었다. 19세기 초 중국을 둘러싼 정치적인 상황은 점진적으로 변하고 있었다. 아직 중국과 서구 사이에는 공식적이고도 외교적인 관계는 없었다. 1807년 London Missionary Society가 Robert Morrison을 중국에 파송한다. 그는 중국에 파송된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였던 것이다. 그는 중국에서 20년을 보냈다. 그의 위대한 사역은 성경을 중국의 Wenli 어로 번역하고 6권의 중국어 사전을 발간한 것이었다. 그러나 중국에 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문은 마침내 서구에 의해, 특히 영국에 의해 강제로 열리게 된다. 그것은 불행한 사건, 즉 중국과 영국사이의 아편(阿片) 수입의 문제로 인해 야기된 것이었다. 그 첫 번째 전쟁은 1839년과 1842년 사이에 일어났다. 그리고 영국이 승리하게 되고 남경조약이 체결되어 그 결과 Canton, Amoy, Foochow, Ningpo, 그리고 Shanghai가 외국인 거주지로 개방되고 홍콩은 영국에 할양된다. 그 조약에 이어 중국에서 기독교를 전파할 수 있는 선교사들의 권리가 주어지게 된다. 청나라와 청 황제의 몰락의 징조가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1860년대는 반외세의 정신이 또한 팽배하던 시기였다. 주 예수의 ‘주’라는 발음과 돼지(저,猪)라는 발음이 유사했기 때문에 예수의 모습이 돼지로 묘사된 삽화도 등장하기도 했으며, 1, 2차 아편전쟁과 그 결과 체결된 불평등한 조약으로 인해 중국인들은 분노하고 여러 곳에서 반외세 소요가 일어났다. 그 절정은 ꡐThe Boxerꡑs Rebellionꡑ으로 폭발한다. 그와 동시에 청나라와 청 황제의 쇠퇴의 증상이 여러 곳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1894년에서 1895년 사이에 청일 전쟁이 발발하고 중국은 패배하게 된다. 이 기간 동안에 주목할 만한 단체는 Hudson Taylor 가 시작했던 China Inland Mission(중국내지선교회)이다. 그는 태평천국의 난이 그 절정에 달하던 1853년 중국 상해에 도착하였다. 1866년 5월 26일16명의 선교사들과 4명의 어린이들로 구성된 CIM 의 첫 번째 선교사 그룹이 4개월의 항해 끝에 중국 항주에 도착하게 된다. 1931년까지 200명으로 구성된 마지막 그룹이 중국에 도착할 때까지 그들은 미국과 카나다에서 많은 젊은 일군들을 헌신하게 하였으며 중국에서 성공적으로 사역했다.
1914년 무렵 로마 카톨릭과 개신교 모두에서 큰 진전이 있었다. 로마 카톨릭의 경우 특히 프랑스의 파리 외인 선교회가 이끌었으며 이태리, 독일 그리고 스페인 등의 국가에서 온 선교 조직들이 이러한 진전을 이끌었다. 1914년 전체적인 외국인 선교사들의 숫자가 2,500여명이었고 1912년의 통계에 의하면 교인들의 숫자는 1,431,258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개신교의 경우 1914년 에 선교사의 숫자는 5,426명이었고 그 중 절반이 미국에서 왔으며 40%가 영국, 그리고 10%가 다른 유럽국가에서 왔다. 성찬에 참여하는 성도의 숫자가 25만 명 정도였으며 세례자는 30만 명 정도로 추산되었다. (Kenneth Scott Latourette, A History of Christianity, vol .II, pp.1325-1326)
1921 상해의 어느 주택 2층에서 일단의 무리들이 회합을 가졌는데 이곳에서 중국 공산당이 결성된다. 1926년 중국 공산당은 국민당을 압도할 만큼 강해지게 된다. 중국 공산당 정부는 Kangsi성에 설립되나 국민당의 공세에 밀려 1934년부터 1935년까지 산서성 연안까지 대장정을 하게 된다. 그리고 산서성 북부 연안에 그 수도를 두게 되며 일본과의 전쟁이 끝난 후 결국 1949년 4월 남경에 있던 국민당 정부를 무너뜨리고 북경에 수도를 세우게 된다. 국민당 정부의 파멸은 하늘의 뜻이 부족했으며, 부패한 정부와 군, 그리고 무엇보다 공산주의자들의 토지개혁의 성공으로 인해 국민들의 마음을 빼았겼기 때문이었다. 중화 인민 공화국은15949년 10월 1일 출범한다. 1950년에 발발한 한국전쟁은 서구와 중국 사이에 갈등을 야기시켰다. 그리하여 1950년 가을에는 무수한 선교사들이 중국을 떠나게 된다. 1951년 말에 이르러 중국으로부터의 대 추방은 거의 끝나게 된다.
1951년 이후부터 중국교회와 서구와의 관계는 완전히 단절되게 되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국을 장악하게 되는 즈음의 중국교회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 중화 성경회는 14개의 교구에76,741명의 교구민이 있었다. 루터교회는 The Hsin I 회로 명칭을 바꾸었으며 83,126명의 성도를 가지고 있었고 입문자가19,928명으로 합계가 103,054명이었다. The Church of Christ in China는 보다 폭 넓은 연합을 이루고 있었다. 장로교와 개혁교회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회중(會衆)교회들과 영국 침례교, 카나다 연합교회, The United Brethren of Christ, 일단의 감리교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1949년의 그 회원수는 16,983명으로 보고되었다. 장로교는 3만 명으로 보고되었고 공산화 이후 감리교는 102,693명의성도를 가진 미국 배경의 Wei Li 공회와 44,140명의 성도를 가진 영국 배경의 Shun Tao 공회로 나누어지게 된다. 남침례교의 Chin Hsin 회는 65,000명의 성도들이 있었으며 북침례 배경의 Chin Li 회는 16,701명의 성도를 가지고 있었다.
중국 내지 선교회의 후신인 Nei Ti회는 86,345명의 성도가 보고되었다.1949년 직전의 중국교회의 특징중의 하나는 중국의 토착 교회의 발전이었다. 1949년 경 외형적인 규모에 있어서 그들은 중국 교회의 25%에 달하고 있었다. 그들 중 가장 널리 펴져 있었던 파는 1917년 Paul Eei에 의해 세워진 True Jesus Church이었다, 그들은 10만 명의 성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큰 파는 Watchman Nyi 에 의해 세워진 ‘작은 무리들’(Little flock)인데 그들 스스로는Christian Meeting Places로 불렀으며 그 숫자는 7만 명에 달했다. 또한 Ching Tien-ying에 의해 시작된 Jesus Family가 있었는데 그들은 6천 명 정도 되었다. 1949년 경 13개의 기독 대학들에서 . 5만 명의 졸업생들이 배출되었고 그들 둥 대부분은 지금도 살아있으며 그리스도를 위해 일하고 있다.
YMCA와 YWCA의 총무로 있던 Y.T.Wu와 Cora Deng, 그리고 Church of Christ in China의 총무로 있던 H.H. Tsui , 그리고 루터교 지도자였던 AiNien-san 등 몇 명의 상해지역의 교회지도자들이 수상으로 있던 주은래를 만나 새로운 국가 체제에 대해 어떻게 충성을 보일 것인가를 논의하기 위해 북경을 방문했다. 북경에서 그들은 감리교 감독이었던 Z. T. Kaung과 Yunchi대학 공대 교수였던 T.C. Chao등 북쪽 교회 지도자들과 합류하게 된다. 그 결과로 나온 것이 ꡐ기독교 고백ꡑ이다. 이 회합이후 광범위한 비판을 받으며 최종적으로 1959년 7월ꡐ새로운 중국의 건설에 있어서 중국 기독교를 위한 노력을 위한 지침ꡑ이라는 제목 하에 기독교 고백이 발간되어 나온다. 9월에 접어들면서 이 고백서에1,537명의 교회 지도자들이 서명을 하게 되고 1, 2년 후에는 중국의 성도들 중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400,000명이 서명을 하게 된다.
1950년 교회에 속해 있던 모든 학교, 병원, 그리고 고아원들이 어떠한 보상도 없이 정부로 넘어가게 되었으며 그 가치는 수백만 달러에 해당했다. 교회에 남겨진 유일한 조직체들은 신학교와 성경학교들, 그리고 기독교 출판 기관들만 남게 된다. 이일을 위해 삼자 개혁 운동(The Three Self Reformation Movement)가 준비되었다. 삼자란 자급(self-support),자치(self-government), 자전(self-propagation)의 중국어 약어에서 나온 말이다. 1951년 4월에는 북경에서 기독교에 관해 고발하는 모임의 형식을 논의하는 15인의 수련회와 함께 고발 운동이 시작되었다. 교육가들에 대한 교화와 참여를 통한 교화가 바로 뒤따랐다. 중국의 공산화 이후 첫 공식적인 자유세계 교회로부터의 방문은 1956년 11월 감독 Robin Chen의 초청에 대한 응답으로 오스트렐리아(Australia)의 성공회 감독이었던 Howard W. K. Mowell 의 방문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비록 우리가 1960년대 이후의 중국교회사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하다 하더라도 중국교회와 관련해서 몇 가지 사실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1950년대 중국의 공산화는 매우 더디게 진행되었다. 중국은 방대한 나라였으며 지방의 많은 곳에는 여전히 공산화를 저항하는 세력들이 있었는데 이 세력을 찾아내어 제거하기 위해 약간의 자유를 허용하는 조치가 1950년대 말에 취해지게 된다. 바로 백화운동이 그것이었다. 이 조치는 먼저 어느 정도의 언론의 자유가 주어지게 되어 점차 많은 사람들이 공산정부를 비판하게 되는 상황이 오게 되며 이러한 일련의 자유 이후 공산 정부는 공산화를 저항하는 세력들을 파악해서 제거하는 조치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70년대 문화대혁명을 통해 내부의 반대세력을 제거하는 대 변혁의 시기를 겪게 되는데 이 두 가지 사건을 통해 결국 많은 종교세력도 함께 반 공산화의 세력으로 박해를 받게 되는데 가장 큰 피해는 바로 유교주의자들이었다. 이들은 중국의 오랜 역사 속에서 수많은 왕조들의 부침 속에서도 권력의 핵심에 있었던 세력이었으며 기독교의 확대를 경계해서 기독교에 대한 박해를 야기 시키기도 했던 세력이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의 강력한 박해 속에서 이들은 그 세력을 거의 잃게 된다. 기독교도 함께 박해를 받았으나 중국인들의 마음 속에서 오랜 동안 영향력을 갖고 있던 유교주의가 사라진 그 공백을 기독교가 급속히 대체해 가고 있었다. 박해 속에서, 혹은 박해를 피해 중국에 흩어진 무명의 전도자들에 의해 복음은 퍼져갔으며 성령께서는 놀라운 방법으로 역사하셔서 신학교도, 선교사도, 교회도, 체계화된 선교 전략도 없던 이 위대한 나라에 그 분의 능력으로 큰 부흥을 일으키고 있었던 것이다. 이 부흥의 궁극적 목적은 이 위대한 나라, 오랜 동안 미루어져 왔던 세계 선교를 위해 중국을 선교사를 파송하는 나라로 변화시키고자 하시는 그 분의 계획과 연관이 되어 있었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이다.
II. 토착화(土着化, contextualization)의 문제
7세기 이후 기독교는 중국으로 들어가서 교회를 세우기 위해 노력해 왔다. 여러 세기에 걸친 수고는 결코 헛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선교사들은 매 세기마다 가장 어려운 장애물에 직면해야만 했다. 비록 시시로 박해가 있었으나 그러나 중국에서 그것은 선교에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들은 그 감추어져 있던 장애물을 배우기 위해 긴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그것은 바로 토착화의 문제였다.
1. 반(反)외국주의
비록 역사적으로 많은 다른 종족들에 의해 정복당했으나 중국은 다른 외국나라들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어진 적은 없었다, 중국을 정복했던 모든 다른 종족들은 결국 중국과 중국의 문화 속으로 흡수되고 말았다. 그리고 중국의 문화 한 가운데에는 언제나 유교가 있었다., 청조의 한 황제였던 Yung cheng은 1727년 내려진 칙서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ꡒ그리하여 불교도(佛敎徒)와 도교도(道敎徒)들은 서양 종교를 헐뜯고, 서양인들은 불교와 도교의 거짓됨에 대해 불신을 쌓고 있다. 그들은 서로를 중상하며 서로의 이단성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고 있다. 이들의 견해에 의하면 나에게 동의하는 모든 것은 정통적인 것이 되나 나와 다른 모든 것은 . 이단적인 것이 되는 것이다. 공자는 말하기를ꡐ이단적인 것을 공부하는 것은 참으로 해로운 것이다ꡑ고 했다. 그러나 공자는 그러기에 그 자신과 다른 모든 가르침과 행함을 이단적인 것이라고 힐난했는가? …
유교 주의자들은 초기 왕들의 길을 살피고 현자와 덕스러운 전형들에 관한 가르침들을 연구한다. 그들 모두는 백성들에 의해 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ꡓ(Paul A. Cohen, China and Christianity, pp.13,14)Paul A. Cohen은 앞의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계속해서 말하고 있다. ꡒ이 연구에서 보듯 이단적인 것과 반(反) 이단적인 것들의 전통에 대한 중국인들의 관념에 대한 어떤 일반적인 특징들의 정체성이 가설되어 질 수 있다. 첫째로 그 용어의 내용과 의미는 역사적인 맥락이나 개인적인 편견에 의해서 조금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ꡐ이단성ꡑ에 대해 객관적이고도 분명한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 Yung-cheng황제의 시도조차 그가 인식하고 명령을 내렸던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에 의해 손상되었다. 왜냐하면 표면상으로는 모든 가르침 속에는 선의 요소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이 그의 견해이나 마지막분석에서 선을 측정하는 그의 기준은 그 시대 중국인들의 선입견에 일치하고 그 논조에 있어서 유교주의자의 것으로 보인다. ꡒ(p.15)
7세기 첫 경교 선교사들이 중국에 들어 왔을 때 그들은 중국에서 세 개의 중요한 종교와 만나게 되었다. 즉 불교, 도교, 그리고 유교가 그것이다. 그러나 9세기에 경교는 사라졌다. 그리고 이러한 경교의 소멸의 가장 주된 이유가 반 외국주의였다. 경교의 소멸에 대한 이유들에 대해 Samuel Hugh Moffet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경교의 소멸에 대한 첫 번째 이유는 9세기에 기독교에 가해 졌던 박해였다. 대부분의 경우 그들은 특별히 반기독교는 아니었다. 그러나 무력한 황제들의 계승으로 인해 국가적 연합이 약화되는 상황 속에서 자라나던 분파적인 종교 경쟁과 증가하는 외국에 대한 혐오 등에 어느 정도 기인하고 있었다. 대체로 관용적이었던 당 나라시대의 전 역사에 있어서 가장 격렬했던 종교적인 박해는 840년에서 846년 사이의 미신적인 황제였던 Wu-tsung의 통치시절 일어났다. 이 박해는 소위 유교주의자들에 의해 외국 종교라고 이름 붙여진 즉 먼저는 불교도들에 대해, 그리고 마니교와 기독교도들에 대해 주어졌던 것이었다. 후일에 일단의 선교사들이 몽고 시대와 청 나라시대에 중국을 방문했을 때, 그들은 유교 계급이 황제의 궁정에 넘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므로 몽고의 황제였던 Kubilai는 유교주의자들을 다루는 데 매우 조심스러웠으며, 그의 초기 중요한 조언자들은 대부분 유교주의자들이었다. 한 유교 자문관이 황제에게 유교주의자들의 충성을 확신시켰을 때, 황제는 20명의 유교 학자들을 그의 통치그룹의 중심에 포함시켰다.(Samuel Hugh Moffet,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p.305)
16세기 Matteo Ricci가 중국에 도착했을 때 유교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중국인들과 유교 고전을 부지런히 배워 그것들에 전문가가 되었다. 그는 학자들과 대중들로 하여금 유교주의와의 완전한 단절을 하도록 강요하지 않았다. 그는 유교주의자들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용어들을 성경을 중국어로 번역할 때 사용했다. 뿐만 아니라 유교주의자들과 다른 조직들 사이의 논쟁은 중국에서의 기독교인들의 삶에 있어서 유교의식들에 관한 것들이 주된 논점이었다.
19세기 초 개신교 선교가 중국에서 시작될 때 주된 반대는 유교 학자 계급에서 나왔다. 그들은 중국에서 대체로 영향력 있는 무리들이었다.Paul A. Cohen은 그의 글 China and Christianity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ꡒ19세기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중국의 교육받은 대다수의 사람들은 적극적이던 소극적이던 기독교를 거부했다는 사실이다. 소극적으로는 기독교의 가르침에 대해 차갑고도 무관심하게 대했으며 외국 종교를 포용한 학식 있는 계층이나 관리들은 극히 소수였다. 적극적으로는 사람들을 자극하는 강한 반 기독교적인 문서들을 저술하거나 퍼뜨림으로 그들의 적개심을 표현했다. 또한 기독교 선교사들을 넘어지게 할 수많은 장애물들을 만들기도 하고 기독교를 믿고자 하는 사람들에 대해 보복의 위협을 가하기도 하며 전도자들에 대해 반 기독교적인 폭동에 가담하거나 직접적인 부추김을 통해 적대적으로 대했다. 중국인들 가운데서 반 기독교적인 감정은 어느 정도는 서구의 식민주의자들이나 잇달은 서구와의 전쟁에서의 패배에 이은 불평등한 조약들에 기인하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어떤 선교사들은 이러한 불평등한 조약들과 기독교의 선교를 보장해 주는 권리들을 기뻐했다. 그러한 선교사들은 사업적인 이익에 있어서는 견해가 완전히 일치했다. 그 조약들은 불평등하지 않다기 보다는 오히려 그의 종들에게 그 나라의 문을 여는 하나님의 방법이었다. (Richard W. Van Alstyne, The United States and East Asia, p.118)
그런 까닭에 공산주의자들은 유교에 적대적이 된다. 왜냐하면 유교야말로 공산혁명의 과정에 있어서 지적 장애물이란 사실을 그들은 후에 주목하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Te Sheng Meng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ꡒ분명히 공자와 유교주의들은 중국 역사에 있어서 중국의 지적계급의 구성원들이었다. 공자가 지식계급층의 시발자(始發者)였고 유교학교의 설립자였기 때문에 그는 중국의 지적 계급의 지도자라고 불리우고 있다.“(Chinese Communism vs Confucianism, pp.27,28) Paul A Cohen이 말한 것 같이 기독교는 유교의 기초 위에 세워진 중국문화를 위협하는 외국 종교들 중의 하나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ꡐ반기독교ꡑ하는 용어는 종종 ꡐ반외세(反外勢)ꡑ라는 용어와 같이 사용되어 지고 이러한 현상은 바로 이런 특별한 의미에서 이해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Paul A Cohen, China and Christianity, p.60)
유교는 중국인들에는 일종의 종교요, 정치적인 이데올로기로 중국인의 삶의 전 영역에 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Te Sheng Meng이 말한 것 같이 유교는 한나라 시대 이후 중국문화의 기초였으며 중국인들의 사고의 주류를 형성했던 것이다. 기독교는 중국에서의 유교의 실체를 배우는 데 많은 시간과 값비싼 댓가를 지불해야 했으며 그것을 극복하게 되었다. 역설적으로 중국의 공산주의자들은 그들 스스로 공산혁명의 완수를 위해1960년대 와 70년대 백화운동과 문화대혁명의 과정 속에 종교를 공격하게 되며 그 와중에 중국의 유교는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정신적인 공백을 부활과 생명의 종교인 기독교가 신속하게 메우게 되어 놀라운 부흥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2. 토착화의 문제
선교사들이 특히 서구로부터 중국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곧 그들이 문화적으로만이 아니라 신체적인 외모에서도 다르다는 사실은 깨달았다. 그들의 신체적인 외모-푸른 눈, 금발의 머리카락, 그리고 흰 피부-는 무식한 농민들로 두려워서 움쩍도 못하게 만들었다. 보다 나은 용어가 없었기 때문에 농민들은 그들을 ꡐ서양 귀신ꡑ들이라고 불렀다. 지식 계급에게 있어서는 기독교를 공공연히 경멸했는데 왜냐하면 민중들의 서구에 대한 기댐으로 인해 백성들에 대한 그들의 권력과 지도자로서의 특권에 대한위협을 느꼈기 때문이었다. 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무기를 동원해서 중국에서의 기독교의 존재에 대해 싸웠던 것이다.(J Herbert Kane, Understanding Christian Missions, p.200)
최초의 경교 선교사였던 알로펜(Alopen)이 중국에 도착하기 십 여 년 전에 중국 당나라 시대 불교가 성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황제가 불교는 외국의 것이며 반 중국적이라는 유교주의자들의 쟁론을 받아들여 불교는 쇠퇴하게 된다. 626년에 내려진 황제의 칙서(勅書)는 도교 사원과 불교도들의 감축과 불교승려들의 세속화(世俗化)를 명령하고 있다. 동일한 정책이 기독교에도 적용되었다. 간혹 관용의 시기가 있었다. 638년 첫 경교 교회가 당나라의 수도였던 장안에 세워졌다. 638년 이후 중국의 중요한 도시들에 수도원들이 설립되도록 허락되었다. 고대의 비문에 의하면 ꡒ그 종교는 10여 개의 성으로 퍼졌고…수도원들은 백 여 개의 도시에 넘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교 선교사, 알로펜(Alopen)은 경전을 중국어로 번역하도록 요청 받았는데 여러 명의 중국학자들의 도움으로 그는 그것을 끝냈으며 그 번역본의 제목은 ꡐ메시야, 예수의 경전ꡑ이었다. 비록 경교의 선교사들이 수도원들을 세우고 경전을 번역했으나 그들은 몇 가지의 요인들에 의해 점차 소멸해 갔다,. 그들의 고국으로부터의 적은 지원과 신학적 부패와 더불어 중국의 핵심 집단, 특히 유교주의자들로부터 외국종교 혹은 외국 사상이라는 비판을 극복해야만 했었다. 7세기에 중국의 경교회 안에는 중국인 성직자가한사람도 없었다. 중국에 있던 21명의 수도사들은 모두 페르샤인들이었다. (Samuel Hugh Moffet,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p.293, 303)
몽고제국시대로마 카톨릭 교회는 서방과 교회의 안전을 위해 교황의 사절단으로 수도사들을 보냈다. 엄격한 의미에서 그들은 정치적인 사절단들이었으며 선교사들은 아니었다. 몬테코르비노(Monte Corvino)의 존(John)은 1249년에 중국에 도착해11년 동안 수천 명의 회심(回心)자들을 얻었고 150여명의 신학생들을 훈련시켰다. 1330년 그가 죽었을 때 중국에는 10만 여 명의 회심자들이 있었다. 그러나 명나라가 몽고제국을 멸망시켰을 때 명나라는 몽고의 지배자들과 함께 선교사들을 추방시키고 만다.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16세기 후반에 중국에 도착했을 때 그는 중국인 학자 같은 모습으로 보여 지도록 노력했다. 그래서 성경을 번역할 때 ꡐ천(天)ꡑ이나 ꡐ상제(上帝)ꡑ같은 유교적인 용어를 채택했다. 그는 가족생활의 가장 필수적인 요소인 조상숭배의 의식들이나 사당에서 드려지는 제사들이 종교적인 의미를 지니지 않은 것으로 생각했다. 그래서 한 사람이 그리스도인이 되었을 때 그는 여전히 가족들의 충성된 회원이고, 관리이며 그리고 유교학자로 남아 있을 수 있었다. 비록 그의 태도가 후에 다른 선교사들에 의해 비 성경적인 것으로 비판의 표적이 되고 로마교황청에 의해 금지되었다 하더라도 (나중에 그 명령은 바뀌게 되었다.) 그는 복음의 토착화를 위해 노력한 선교사로 기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청나라 황제 강희제(康熙帝)는 리치(Ricci)의 태도에 호감을 갖고 만약 선교사들이 중국에 남기를 원한다면 공식적인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이는 선교사들이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태도를 따라야만 했음을 의미한다. 물론 이문제의 어떤 부분은 매우 민감한 신학적인 문제와 연관되어있다. 그러나 그의 태도는 우리들에게 주목받아야 할 것이다.
19세기의 위대한 영적 각성의 경험과 함께 중국에 대한 개신교의 선교가 시작되었다. 허드슨 테일러(Hudson Taylor)는 토착화의 중요성을 깨달았던 선교사 중의 한 사람이었다. 1855년 8월의 어느 저녁 그는 중국의 한 이발소에 가서 중국인의 머리 스타일로 그의 머리를 바꾼다. 그리고 그 다음날 그는 중국인의 복장으로 차림을 한다. 이 사건은 1854년에서 1855년까지의10차례에 걸친 전도 여행 직후에 되어진 일이었다. 물론 단지 머리스타일을 바꾸고 의복을 입는 것만이 토착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러한 일들은 중국인들의 눈에는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일이었다. 19세기 후반 서구와의 전쟁과 전쟁의 결과로 체결되었던 불평등한 조약들에 의해 중국에서 반외세가 절정에 달하게 된다. 또한 ꡐ태평천국의 난ꡑ의 지도자 역시 개신교에 의해 영향을 받았던 사람이었다. 이것이 중국정부로 하여금 기독교에 대해 나쁜 감정을 가지게 만들었다. 게다가 일부의 선교사들은 불평등 조약에 의해 주어져 있던 중국 내에서의 권리를 사용함으로 중국에 대한 잘못된 태도를 보여 주기도 했다. 비록 모든 선교사들이 그런 태도를 보여 준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결과적으로 20세기에 공산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았든지 아니든지 간에 중국의 국수주의자들은 선교사들을 불평등조약의 수혜자(受惠者)로 공격했던 것이다.
20세기 중국은 큰 혼동과 새로운 혁명에 휩싸이게 된다. 1911년 10월 10일 저녁 한 혁명적인 그룹이 우창(Wuchang)을 함락시킨다. 이것이 혁명의 시작이었으며 만주족의 권력의 붕괴가 곧 뒤따랐다. 1911년 12 월 29일 순 타첸(Sun Tatsen)이 새 공화국의 첫 임시 대통령에 선출된다. 그리고 그는 중국 백성들을 위한 3개의 원칙을 선포한다. 즉 , 백성들을 위한 권력, 백성들을 위한 생활, 그리고 민족주의가 그것이었다. 1921년 7월 상해(上海)에서 첫 중국 공산당 회의가 열렸다. 그 자리에는 호남성에서 온 젊은 마오쩌둥(毛擇東)을 포함해서 12명이 모였다. 장제스( 張介石)은 몇 차례의 군사적인 성공 후 1927년 4월 18일 남경에 그의 정부를 수립한다. 그리고 1949년 4월 23일까지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에는 군사적인 충돌과 내전이 계속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마오쩌둥이 북경에서 새로운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었음을 선포하게 된다. (Rafe De Crespigny, China This Century, pp.182-183)
20세기 초반 중국 교회는 몇 개의 영역에서 진전을 이루었다. 첫째 , 중국교회는 비록 그렇게 강력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산동성을 비롯한 몇 군데에서 지속적인 부흥을 경험했다. 둘째, 중국교회는 그들 자신의 토착적인 교회 지도자들을 배출해 내기 시작했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놀라운 영적인 능력과 믿음을 보여 주었다. 왕 밍타오(Wang Ming-tao), 웟치맨 니(Watchman Nyi), 그리고 양 쌰오탕(Yang Shaotang) 등이 바로 그러한 사람들이었다. 셋째, 중국내지 선교회(China Inland Mission)등과 같은 선교조직들이 1920년대에 3자 정책, 즉 ꡐ자치, 자립, 자전ꡑ등을 제시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1950년대 중국 공산당 정부가ꡐ3자 운동ꡑ을 선포하기 전에 그것을 제시했던 것이다. 그리고 삼자(三自) 정책은 진실로 중국교회가 긴 역사 속에서 반드시 이루어야만 했던 것들이었다. 종교를 인정하지 않았던 공산주의 정부에 의해 이것이 이루어지게 된 것은 너무나 역설적인 일이었으며 그 방법이 중국 속에서 그의 나라를 이루어 나가시는 그분의 경륜과 섭리였던 것이다. 넷째, 일단의 토착적인 중국교회가 나타났다.폴 웨이(Paul Wei) 가 만들었던 참된 예수교회(True Jesus Church), 웟치맨 니(Watchman Nyi)가 조직했던 적은 무리들(Little Flock), 칭티엔 잉(Ching Tien-ying)이 만들었던 예수 가족(Jesus Family)등이 그것이다. 1949년 그들은 수적으로는 중국 개신교의 25%에 해당할 만큼 성장했다. 이러한 일들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다가올 공산주의자들의 시대를 위해 중국의 교회들을 위한 그의 길을 준비시켰던 것이다.
결론
중국교회는 1,50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역사의 시기마다 중국교회는 박해(迫害),반외세( 反 外勢), 안팎으로부터의 비판, 신학적인 변질의 위험, 그리고 추방 등의 엄청난 어려움을 겪었다. 때때로 하나님 나라의 진전과 확산을 기뻐했으며, 때때로 교회의 파괴를 바라보며 좌절하기도 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의 교회를 중국에 세우는 일에 결코 너무 서두르지도 너무 늦으시지도 않으셨다. 무엇보다도 하나님께서는 중국에 있는 그의 백성들을 결코 잊지 않으셨다. 또한 중국에 있는 그의 교회를 결코 버리시지도 않으셨다. 그분은 그의 계획을 위해 모든 환경을 사용하셨으며 공산주의까지도 사용하셨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해서 우리는 우리의 하나님이 중국교회의 주님이시라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지금 우리는 중국에서 그분께서 그분의 교회를 위해 행하시는 놀라운 기적들을 보고 있다. 분명히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21세기에서 중국에 있는 그분의 백성들을 위한 더 많은 찬양과 놀라운 계획들을 보게 될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상상할 수조차 없었던 일일 것인데 곧 중국교회가 열방을 향해 선교사들을 파송하는 교회가 되리라는 확신이다. 이 일은 이미 시작되고 있으며 누구도 그 분이 행하시는 그 일을 좌절시키지 못할 것이다. 한국교회의 사명중의 하나는 중국교회가 더욱 성장하여 이러한 시대적 사명을 감당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 될 것이다. 선교는 역사의 뒤로 사라져 갔으나 교회와 하나님의 성령께서는 여전히 살아 역사하고 있는 것이다. 아멘
'운영자자료 > 중국교회에 관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950년대의 삼자운동 (강인규) (0) | 2013.05.10 |
---|---|
[스크랩] 중국 첫 개신교 선교사 로버트 모리슨 (0) | 2013.05.10 |
[스크랩] 중국선교 역사와 현 중국교회 상황 (석은혜) (0) | 2013.05.10 |
[스크랩] 중국기독교연구의 발전상황: 개혁개방(1978)이래의 연구 (쟝쯔강) (0) | 2013.05.10 |
[스크랩] 중국교회의 역사 (0) | 201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