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360)
-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1224/5-1274) (가) 시대적 배경: 대학과 스콜라주의의 정착 1. 중세를 특징지우는 본격적인 스콜라적 신학, 즉 이성론적 기독교의 발달은 서구가 고대의 철학적 이성의 재발견으로 인해서 다시금 전격적으로 도전을 받은 13세기에 이르러 새로운 양상을 띄며 활달해졌다. 물론 중세의 기독교는 ..
2005.11.28 -
景敎(Nestorianism)
경교 景敎 Nestorianism 에페수스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배척된 네스토리우스파의 그리스도교가 당나라 초기에 중국에 전래된 이후 붙여진 중국식 명칭. 대진국으로부터 전해진 광명의 종교라는 뜻으로 <대진경교>라고도 한다. 635년 선교사단 수석 아라본이 장안에 도착하여 선교를 시작한 것이 시초였..
2005.11.28 -
존 웨슬리
존 웨슬리 1. 경험의 신학자,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윤리학자, 탁월한 설교자, 타고난 조직적 재능을 가진자, 조용히 사회 변혁을 이루었던 사회개혁 운동가로 알려졌다.(1703~1791) 2. 세계 웨슬리안의 아버지이며, 18세기가 나은 위대한 인물이다. 3. 50여년의 목회활동 - 약 40만km를 전도여행, 1주일에 평균..
2005.11.28 -
福音主義
<복음주의> 서론 한때 변두리 운동과 지엽적 현상으로 여겨졌던 복음주의가 기독교의 주 세력권으로 진입하고 있다. 지류에서 성장하던 복음주의가 본류로 이동하여 무대의 중심을 차지하려는 것이다. 아무도 이제 복음주의가 세계 기독교의 중심 요소라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자유주의 교회..
2005.11.27 -
聖經의 正經과 外經
성경의 정경과 외경 정경의 형성과정 Ⅰ. 정경의 정의 성경은 어느 한 저자가 장문의 단일한 책을 쓰는 식으로 기록된 것이 아니다. 성경은 문학장르를 달리하는 66권의 책으로 된 일종의 전집물이다. 더욱이 각기 개성, 교육정도, 시대, 공간적 배경을 달리하는 약 40명의 저자들이 성경이라는 전집물..
2005.11.27 -
칼빈의 神學思想 硏究
칼빈의 신학사상 연구 들어가는 말 김홍기 박사는 그의 저서에서 칼빈에 관하여 소개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제네바시 목회기간 동안 교회적 정치가로서, 종교적 논쟁가로서, 교육가로서,저자로서 그의 명성과 영향은 넓게 퍼져 나갔다. 그의 신학적 통찰력, 주석적 재능, 언어 지식은 종교..
2005.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