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숭배의 기원

2008. 5. 4. 20:42목양자료/1.기독교자료

여신숭배의 기원

 

 

마리아숭배로 포장된 배도자들의 여신숭배
초대교회, 마리아 경배란 있을 수 없어…
4세기초 콘스탄틴시대에 부터 나타나
 

 

성경은 인류 최초의 왕국을 세운 니므롯에 대해 이렇게 기록한다. “구스가 또 니므롯을 낳았으니 그는 세상에 처음 영걸이라 그가 여호와앞에서 특이한 사냥군이 되었으므로 속담에 이르기를 아무는 여호와 앞에 니므롯과 같은 특이한 사냥군이로다 하더라”(창10:8~9). 여기서 특이한 사냥군이란 뜻은 동물을 사냥하는 자가 아닌 사람을 사냥하는 정복자를 뜻한다.

또 여호와 앞에서란 것은 여호와를 대적하여라는 뜻이 강하다. 즉 니므롯은 하나님을 대적하여 사람들을 지배한 정복자로서 인류 최초로 자기의 왕국을 세운 사람이었다. 이는 유대 백과사전에도 기록되었고 요세푸스의 역사 기록에 니므롯을 따르던 사람들이 탑을 세운 곳이 바벨론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뒷받침과 함께 종교가 알렉산더 히스롭에 의해 바벨론종교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설명된다. 바벨론의 신화에 의하면 니므롯이 죽은 후 그의 백성들이 심히 애곡하였고 그것을 이용해 그의 아내 세미라미스는 니므롯이 태양신이 되었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그후 그가 아들 담무스를 낳았는데 세미라미스는 그 아들이 니므롯의 부활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창3:15절의 구세주가 여인의 후손으로 올 것이라는 예언이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담무스를 높이고 그와 더불어 자신까지도 경배하도록 만들었다.

 
 

1.에베소의 여신 다이아나 2.여신 데비키와 크리쉬나
3.인도의 여신 인드라나와 아이  



이것이 바벨론 신비종교의 기원이다. 이 신비종교는 태양신 숭배와 어머니 숭배와 어린이 숭배가 항상 같이 따라다닌다. 이 바벨론 종교는 하나님께서 바벨탑을 쌓던 사람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온 지면에 흩으실 때 함께 여러나라로 확산되어 나갔던 것이다.

이것은 단지 성경에서만의 기록이 아니라 고대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나 분젠 등의 학자에 의해서도 주장되고 있다. 레이야드는 그의 저서 ‘니느웨와 그 유적들’에서 모든 우상숭배가 바벨론으로부터 유래하였음을 주장하고 있다.

이 바벨론 신비종교는 바로 황후인 세미라미스와 그의 아들 담무스를 경배하는 여신숭배와 어린이 숭배를 낳았는데 이러한 여신 숭배가 온 지면 곧 여러 나라에 퍼져있음을 우리는 확인하게 된다.

세계의 여신과 어린이 숭배


성모 마리아의 대표적 형상은 그가 아들을 안고 있는 모습이다. 이러한 마리아경배의 형태는 단지 가톨릭안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도 먼저 세상에 널리 퍼져 있었던 것이다.
중국인들은 어머니 여신을 싱무(聖母)라고 부르는데 그 싱무는 아이를 팔에 안고 머리뒤에 영광의 광채를 내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이 여신이 인드라니라고 알려졌는데 역시 팔에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또 데바키와 아이 크리쉬나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스에서는 어머니 여신이 압포디테 혹은 케레스로 수메르에서는 나나로 고대 로마에서는 비너스 혹은 포튜나로 나타났으며 그의 아이가 쥬피터로 불리워졌다.

이러한 여신숭배의 흔적은 성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사사기 2장 13절에는 이스라엘이 여호와를 버리고 바알과 아스다롯을 섬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아스다롯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알려진 음란여신의 이름이다. 사도행전에 사도바울이 에베소에서 전도할 때 그 사람들이 섬기던 여신 아데미는 곧 다이아나를 말한다.


이처럼 세계 곳곳에서 그 이름만을 다르게 했을 뿐인 여신숭배는 모두가 같은 형태로 바벨론신비종교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이 바벨론 종교는 여러 국가로 흩어졌고 그중에 로마도 포함되는데 로마 전역에 이 바벨론종교는 국교화되었다. 저술가 프레이저는 그의 저서 ‘황금가지’에서 이렇게 말한다.

“위대한 어머니 경배는 로마제국 아래서 매우 인기가 있었다. 이 비문들은 이탈리아, 특별히 로마에서 뿐만 아니라 또한 여러 도에서 특히 아프리카,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독일 및 불가리아 지역에서 어머니와 아이는 거룩하게 영광받은 것을 증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