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7. 18. 17:37ㆍ운영자자료/1.운영자 자료실 1
프로젝터란?
프로젝터는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등의 각종 영상 기기들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렌즈를 통해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상에 나타내주는 장비로서 일종의 진보된 환등기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빔프로젝터라고 불리던 3관식 프로젝터와는 달리 현재의 LCD 및 DLP 프로젝터는 설정이 필요없이 각종 영상기기를 연결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최적의 화면을 보여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근래에 기업의 프리젠테이션 및 가정의 홈씨어터용으로 급속히 보급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프로젝터 ?
요즘 프로젝터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다 보면 데이터 프로젝터란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기존에는 영사기(투영기)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영화의 상영이나 슬라이드 필름의 투사용으로 사용된 예가 많았으며, 보통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용도로는 OHP(Overhead Projector)나 필름 슬라이드 장비가 많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프레젠테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프레젠테이션용 TP(Transparent Paper; 투명 용지)와 마커펜을 사용하여 며칠동안 자료를 만들거나, 또는 프린터를 이용하여 TP 에 직접 프린팅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OHP 혹은 35 mm 슬라이드로 된 프리젠테이션은 하나의 장표(Paper)를 만들고 나면 펜등으로 필름상에 무엇을 그리거나 지시봉으로 화면의 일부분을 가리키거나 하는 이상의 변화를 주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그러나 근래에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는 파워포인트를 이용해 각종 자료를 애니메이션과 음향효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로도 만들 수 있으며, 중간 중간에 동영상이나 비디오 자료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자료의 프레젠테이션을 모니터나 모니터 TV 를 사용할 경우에는 아마도 2-3명 에게 프레젠테이션이 가능할 것이며, 6명 이상의 그룹에 대해서는 보다 큰 화면을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마도 이럴 때 데이터의 프레젠테이션 용도로 많이 사용한다하여 데이터 프로젝터라 불리고 있습니다.
데이터 프로젝터라고 불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XGA(1024x768)급 이상의 패널 해상도를 가져야 될 것이며,
그 밝기 또한 중급 규모 이상의 회의실에서 화면이 어둡지 않다고 느껴질 정도의 밝기를 가지는 것이어야
그 자격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데이터 프로젝터라고 하면 PC 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이 주가 될 것이므로 PC 입력에 대한 호환성이 매우 중요하며, 화면의 일부분을 확대하거나 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이 있으면 더더욱 편리할 것이다.
요즘들어서는 무선마우스기능의 편리성이 증대되면서 프로젝터에 제공되는 리모컨으로 PC를 마음대로 조작하여 발표자가 혼자서도 프리젠 테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프로젝터 구매요령
프로젝터는 영상을 만들어내는 모든 영상기기와 연결하여 대화면을 스크린에 투사하여 주는 영상기기입니다.
예전에는 주로 기업에서 프리젠테이션 용도로 사용되어 오다 2001년부터 DVD가 일반화 되면서 가정에서
홈씨어터 영상기기로써 프로젝터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일반화되기 시작했는데 이 프로젝터가 일반 가전
제품과는 달리 영상기기 만의 독특한 기술적인 사양으로 인해 일반이 프로젝터를 선택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프로젝터를 구입할 때는 항상 다음과 같은 사항들만 유의하시면 원하는 목적에 맞는 제품을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1. 밝기 (Brightness)
프로젝터를 구매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고 가격과 가장 밀접한 조건이 바로 이 밝기 사양입니다.
프로젝터의 밝기는 ANSI lumens로 산정하며, 이 수치가 높을수록 밝은 환경에서 프로젝터를 사용할 수
있는데, 단 명심해야 할 점은 밝기와 화질과는 상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즉, 밝기가 높다고 해서 화질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밝기 선정의 기준은 자연광 차광이 가능한 소규모 장소에서는 800 ~ 1000 lumens,
약간의 자연광이 들어오는 20~50명 규모의 장소에서는 1000 ~ 2000 lumens
정도가 적당하며 밝은 조명이나 공간이 넓은 장소에서는 2000 lumens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게 됩니다.
컴퓨터와의 연결이 아닌 영상신호(DVD, VTR등)의 실제 밝기 수치는 각 프로젝터의 제조사마다 다르므로 영상 상영을 주목적으로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저희 기술진에 문의 해 주시기 바랍니다.
--------------------------------------------------------------------------------
2. 해상도 (Resolution)
프로젝터를 구매할 때 밝기만큼 중요한 사양중의 하나가 해상도로서 특히 컴퓨터를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주로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컴퓨터와 같은 해상도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기본적인 선택입니다. 요즘은 노트북의 기본 해상도가 XGA(1024 x 768)로 높아지면서 프리젠테이션 용도로 프로젝터를 구매하는 경우는 XGA급 프로젝터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SVGA급 프로젝터로도 XGA 해상도를 표현할 수는 있지만 글자가 약간 뭉쳐지는 현상이 있으므로 이런 점을 고려해서 선택하셔야 합니다.
단, 홈씨어터용이나 영화 상영용으로 구매하는 경우에는 스크린의 크기가 150” 이상의 대화면이 아닌 경우에는 해상도가 화질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오히려 명암대조비(Contrast Ratio)나 계조 표현력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
3. 명암대조비 (Contrast Ratio)
명암대조비는 화질과 관련된 중요한 스펙으로서 색상을 얼마나 세밀하게 표현하는지를 나타내주는 사양으로서 500 : 1 과 같이 비율로 나타내며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화질을 나타냅니다.
액정(LCD) 방식에 비해 디지털(DLP) 방식의 제품이 명암대조비가 월등히 높아 홈씨어터 분야 및 소형 기종 시장에서는 DLP 제품으로 주류가 바뀌고 있는 추세입니다.
--------------------------------------------------------------------------------
4. 이동성
휴대가 가능한 포터블 프로젝터의 무게는 1.3kg ~ 3.5kg 정도이며, 1kg 미만의 초경량 제품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동이 잦은 사용자에게 무게는 중요한 사양입니다.
--------------------------------------------------------------------------------
5. 기타 편의 기능
프로젝터가 처음 출시 되었을 때는 오토포커스, 줌 렌즈 등의 기능은 고도의 기술로 생각되었으나 지금은 보편화된 기능이 되었으며, 보다 많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추가 되어 사용의 편리함을 더하고 있습니다.
- 선명한 동영상 화질을 구현하는 라인 더블러 기능
- 화면내에 또하나의 동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Picture in Picture 기능
- 디지털 키스톤 기능
- 렌즈 쉬프트
- 디지털 줌과 freeze
- 무선 마우스 콘트롤
- 멀티 입력 단자
- 컴퓨터 없이 프리젠테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카드
현재 판매되는 모든 프로젝터는 1670만 자연색을 표현하며, 16 : 9 와이드 화면을 지원하고 PC와 매킨토시 컴퓨터와 완벽히 호환됩니다.
'운영자자료 > 1.운영자 자료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보장기본법 제 1조 ~ 제 35조 부칙 (0) | 2007.07.18 |
---|---|
기초생활보장 (0) | 2007.07.18 |
프로젝터 종류 (0) | 2007.07.18 |
프로젝터 용어 설명 (0) | 2007.07.18 |
개척 성공하려면 목회철학 · 동역자 세워라" (0) | 200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