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이스라엘

2007. 6. 2. 23:55운영자자료/1.운영자 자료실 1

현대 이스라엘

개관 I ( 개관,정치,군사)


개관

국명 : 이스라엘(The State of Israel)
면적 : 21,46km² (1967년 이후 점령지역 제외)
주요 도시 : 예루살렘, 텔아비브
수도 :예루살렘(인구 60만명)
언어 :히브리어 및 아랍어(공용어), 영어
종교 :유태교, 이슬람교, 기독교, 그외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국회 (크네셋) : 단원제, 120석, 임기 4년, 비례대표제
국경일 : 5.14(1948년 당시 독립기념일)
화폐단위 : New Israel Shekel

정치

공화제, 내각책임제(정부형태),단원제(의회), 참정권(18세)
독립일 :1948.5.14

19세기 말부터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유대인들은 1948년 영국의 신탁통치가 종료됨과 동시에 이스라엘 건국을 선포하였다. 이후 세계 각 지역에서 흩어져 살던 유대인들이 새로 건설된 조국을 찾아 귀국하기 시작하였고 이로써 이스라엘은 하나의 통일된 민족국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국가원수로서 상징적인 인물인 대통령과 행정부 수반으로서 실질적인 권력자인 수상이 있는 내각책임제이다. 총 120석이며 임기 4년의 의회는 크네셋(Knesset)이라 불리며 단원제이다. 3권분립이 엄격하게 지켜진다.

군사

병력수준 : 17만5천명, 병역제도 : 의무병 제도 , 국방비 : 92억달러(GDP의 9.8%, 1996년) 입대연령 : 18세

1948년 이스라엘 방위군(IDF:Israel Defense Forces)이 창설되었으며 현재는 현역 17만5천명, 예비군 43명만명의 병력이 있다. 이스라엘은 남녀 모두 18세에 강제로 징집되어 남자는 3년, 여자는 2년간 의무복무를 한다. 또한 복무 후에도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남자는 51세, 여자는 미혼 때까지 매년 30일간 복무한다. 이스라엘 군대는 약 80여 개국의 서로 상이한 언어, 문화, 생활환경 속에 있던 이주인들을 유대사회의 시민으로 재교육시키는 산실이기도 하다.

<참고>
주이스라엘 대사관 인터넷 사이트
유네스코위원회 발간 각 나라별 소개 이스라엘 편

 

개관 II ( 지리,기후,날씨,자연환경)
지리

북위 29도30분부터 33도20분, 동경 34도 20분~35도40분에 걸쳐 동부지중해에 있는 국가 중의 하나이다. 길이가 420km에 이르고 동서의 폭은20km-116km에 이르고 있다. 또한 북으로는 레바논, 동쪽에 시리아와그리고 서편에 이집트에 면해있어 아랍국가들로 둘러싸여 있는 셈이다. 남쪽 끝은 "에일랏만(아카바만, 홍해)"에 접해 있어 요르단, 이스라엘, 이집트의 3국등 국경이 되기도 한다. 유대인들의 조국으로써 UN으로 부터 1948년에 인정된 이스라엘의 면적은 요르단강 서안지역은 5572제곱km이고 골란고원 1150제곱km, 가자 지구 202제곱km 등 1967년의 6일 전쟁 이후에 이스라엘의 통치하에 있는 곳의 총면적이 6924 평방 km에 이르고 있어 총면적은 27194 평방 km에 이르고있고 각 국경선은 지금도 긴장이 고조되어 있는 편이다.

기후

기후(서부 지중해 연안), 사막기후(남부 이집트 및 요르단 국경)
강우량 :100mm 이하(남부 사막지역), 1,128mm(북부)

지중해에 접하고 있어 다른 중동국가들에 비해 기후환경이 좋은데, 지중해에 접한 서부 해안지역은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대부분의 인구가 이곳에 산다. 여름은 길고 고온건조하며 겨울은 짧고 비가 많이 온다. 하지만 지중해 서부의 남유럽 국가들처럼 온화하고 청명한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와는 다소 다르다. 이는 이집트·사우디 아라비아 등의 아열대 사막건조기후와 동부 지중해의 아열대 지중해성 기후의 중간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추운 달은 1월로서 대체로 5-10。C 사이이며, 가장 더운 달은 8월로서 18-38。C 정도이다. 연평균 강수량의 70%이상이 11월-3월 사이에 내리며, 6-8월 사이에는 거의 비가 내리지 않는다. 연평균강수량도 지역마다 편차가 심해 남부 사막지역의 경우는 연평균 강수량이 100mm가 되지 않는 반면, 북부는 1,000mm가 넘는다.

자연환경

이스라엘은 북쪽으로는 레바논, 동쪽으로는 요르단, 그리고 서쪽으로는 지중해에 접하고 V자로 뾰족한 남부지역은 서쪽으로는 이집트, 동쪽으로는 요르단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이 V자모양의 아래쪽 끝부분은 이집트의 시나이반도와 사우디아라비아를 갈라놓는 아카바만(Gulf of Aqaba)에 접하고 있는데, 이는 홍해(Red Sea)의 일부이다. 중동부 요르단 국경 지대에는 염분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유명한 사해(Dead Sea)가 있다. 지형상으로 볼 때 이스라엘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지중해를 끼고 남북으로 뻗어있는 낮고 기름진 평야지대, 갈릴리 고원(Hills of Gallilee)과 메마른 유대안 고원(Judean Hills), 그리고 가장 높은 산인 메론산(1,208m)이 산재해 있는 중앙 구지대, 요르단 계곡(Jordan Rift Valley)이 있는 이스라엘의 최저지대인 사해 부근 중동부 요르단 국경지대, 그리고 네게브(Negev) 사막이 있고 국토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남부 사막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
주이스라엘 대사관 인터넷 사이트
유네스코위원회 발간 각 나라별 소개 이스라엘 편
개관 III(사회, 문화, 교육)
사회

인구 :60만명
인종, 민족 : 유대인, 아랍인 등
언어 :히브리어

유대인이 82%로 가장 많고 기타 아랍인이 18%를 차지한다. 공용어는 고대 유대인들의 언어였던 히브리어를 다시 부활시켜 채택하고 있다. 아랍 소수민족들 사이에서는 아랍어가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히브리어는 세계에서도 유서 깊은 고대 언어로서 벤 예후다(Ben ehuda)에 의해 부활하여 현재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랑 생활지에서 받은 다양한 언어들도 통용되며 동유럽계 유대인의 언어인 이디쉬, 1948년까지 영국의 신탁통치 하에 있어 영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이스라엘은 독특한 나라이다. 1948년 건국되었을 때 비로소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던 유대인들이 지금의 팔레스타인에 정착해 살기 시작했다. 그래서 이들은 다양한 윤리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으며 사회도 매우 역동적이다.

2천년이 넘는 유랑생활(Diaspora) 끝에 19세기 말부터 형성된 시오니즘(Zionism) 운동을 통하여 조상의 땅을 찾으려는 열망을 구체화시켜 이스라엘 안에서 자발성과 평등주의 에 입각한 독특한 정치사회유형을 만들어 가고 있다.

지식인, 숙련노동자들이 대부분인 서유럽계(동구및 독일계가 주류) 유대인들(Ashkenazim, 아슈케나짐)은 건국 초기부터 정치,경제,군사 부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반해 미숙련 노동자로 이루어진 아프리카, 중동계 유대인들(Sephardim, 세파르딤)은 사회구조의 하층을 형성하여 유대인 사회 내에서 갈등의 씨앗이 되었지만 건국 이스라엘에서 새로이 태어난 세대들(Sabra, 사브라)들이 사회의 주류로 등장함에 따라 많이 해소되고 있다.

주후 70년에 로마가 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한 후, 그리고 주후 2세기의 바르코크바의 봉기를 계기로 세월이 흐르면서 급격히 유대인 인구는 줄어들었다.9세기에는 단 25만 명 밖에는 살지 않았고 디아스포라 시절에는 극소수만, 1870년 이후에는 팔레스타인으로 유대인들이 돌아오기 시작해서 1882년부터 1948년 사이에는 유대인 이민이 급격히 늘어 났다.1948년에 878,000명이던 인구가 1990년에는 4,559,600명으로 성장한다.

문화

축제 : 유대력의 설날인 로쉬하샤나(Rosh Hashana)와 이날로부터 10일째인 욤키푸르(Yom Kippur)가 있다. 이 날은 대속죄일로 24시간 동안 금식과 단식으로 보낸다 .유대력의 1월 14일 유월절인 페사크(Pesach)가 있는데 이 날 유대인이 경영하는 모든 음식점, 모든 호텔등에서는 누룩을 넣은 빵이나 이와 유사한 발효음식은 일절 제공하지 않는다.

이스라엘에는 종교에 따라 3개의 달력과 3개의 공휴일과 3개의 시간 개념이 존재한다.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공히 구약을 기준하므로 6일간의 천지창조 후 안식일을 갖는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기독교는 일요일에 안식하며,이슬람교는 마호메트가 처음 설법하러 간 날을 시작으로 하는 히즈라 달력을 기준하여 금요일이 안식일이며 9:00-13:00경 (토-목요일)까지 영업한 뒤 쉬었다가 저녁에 다시 문을 연다.

유대인의 달력은 한국인이 음력을 사용하듯 달력으로 계산하므로 종교 및 법정 공휴일은 해마다 변경된다. 유대인의 계산법은 천지창조 구절 (창1장)을 기준으로 한다. '해질때부터 다음날 아침을 하루로 계산하므로 안식일은 이틀에 걸쳐지며안식일은 말 그대로 안식하는 날이어서 회당 가는 것 외에는 일체의 행사를 금한다. 이 날은 버스, 기차, 비행기 모두 운행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타기, 초인종 누르기, 기계 및 기구 만지기, 가스레인지 켜기, 카메라 셔터 누르기등이 금지되며 음식도 미리 만들어 둔다. 유대인의 영업시간은 업무에 따라 변화되어 있어 다른나라 사람에게 낯선 점이 많다. 이스라엘에서는 생활은 곧 종교이며 관광객은 요일에 따라, 시간에 따라 방문지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

전통식사법, 코셰르

유대인은 식사도 종교적으로 하기 때문에 아주 독특하다. 코셰르(KOSHER)라고 부르는 이 식사법은 레위기(11장)에 근원한 것으로 돼지고기, 지느러미와 비늘없는 생선(미꾸라지, 메기 등), 조개류, 갑골류 (오징어, 게 등)를 먹지 않고 소고기와 우유 또는 치즈를 함 께 먹지않는 등 전형적인 종교 율법 식사를 한다. 이스라엘에서는 공공식당에서 KOSHER를 지키는 식당인지를 게시하여야 한다. KOSHER 식당에서는 유대인 종교율법에 어긋나는 음식을 요구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삶의 모습
이스라엘은 독립 후 50년간 국가안보를 최우선의 기치로 설정하여 사실상 사회 모든 부분이 이에 종속되어 왔다고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서구사회의 문민우위의 전통과는 사뭇 다른 독특한 군사문화가 사회 전반에 스며들어 왔다. 인구의 대다수는 도시에 거주하며 전형적인 서구식의 일상생활을 영위하지만, 키부츠라고 하는 독특한 집단농장 거주민들도 약 3%를 차치하고 있다. 이 농장에서는 의사결정, 음식장만, 경제활동, 자녀교육등 모든 것들이 공동으로 결정,수행된다. 이러한 집단농장은 전통적으로 유대인들의 농업생산의 기반이었으나 현재는 가내 수공업이나 도시화된 공동체인 모샤브에 그 지위를 내주고 있다.

교육

학제개관 : 초등 6년, 중등 6년(3/3년) 의무교육 11년

이스라엘은 전통적으로 교육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겨왔다. 1948년 건국후 물밀 듯이 밀려 들어온 유대인들을 수용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학교, 교사, 교과서는 아낌없는 지원으로 현재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중등과정 졸업이상의 학력자가 1960년대 9.3%에 불과했으나 1996년에는 29.9%로 3배나 상승하였다. 심지어 아랍인들은 자신들의 전통상 학교를 다니지 않는데도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사람의 경우는 학교진학율이 68%에 이른다.

<참고>
주이스라엘 대사관 인터넷 사이트
유네스코위원회 발간 각 나라별 소개 이스라엘 편

 

개관 IV(여행정보)
여행정보

시차는 7시간(한국이 7시간 빠름)
일광절약시간 시행시는 6시간

교통수단

버스가 가장 발달한 교통수단으로 요금이 저렴하나 배차시간이 길고 노선도 한정적이어서 불편하며 휴일 및 안식일(금요일 오후부터 토요일 일몰시까지)에는 운행하지 않음

기차는 텔아비브-하이파-나하리아(Nahariya)노선과 예루살렘간 노선을 정규 운행하고 있으나 운행횟수가 적어이용객이 많지 않음


주요 관광지

사해,네게브사막

예루살렘, 지중해, 에일랏(홍해 인근)


<참고>

유네스코위원회 발간 각 나라별 소개 이스라엘 편

주이스라엘 대사관 인터넷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