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자자료(397)
-
이집트의 신들
이집트의 신 1. 라(Ra) 라(Ra/Re)는 '창조자'라는 뜻이며, 하늘의 절대적 지배자인 태양에게 주어진 이름이다. 주성소는 그리인이 헬리오폴리스(태양의 도시)라고 부르는 이븐의 북부에 있었다. 원초의 바다 누에서 태어나자 최초의 우주를 만들고 신과 인간을 지배하였으나, 늙어서는 히슬..
2013.04.17 -
세계교회협의회(WCC)를 향한 비판의 근거에 대한 역사적 고찰
정병준 교수 (서울장신대학교/ 교회사) Ⅰ. 1950년대 미국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의 WCC 반대이론 Ⅱ. 한국교회 안에 WCC 용공론의 전파 Ⅲ. WCC 단일교회론의 허구성 Ⅳ. WCC 선교 유예론에 대한 오해와 무지 Ⅴ. WCC에는 사회구원론만 있는 것이 아니다. Ⅵ. WCC ‘게릴라 지원설’ 사실인가? Ⅶ. WC..
2013.01.24 -
목회를 실패하는 이유들
목회를 실패하는 이유들 1, 선배 목사님에 대한 존경심과 신뢰감이 무너진 것이 실패의 이유가 됩니다. 교역자들과의 존경심과 신뢰감이 있어야 합니다. 사역자가 교인을 사랑하지 못하고 교인이 사역자를 존경하고 신뢰하지 못하고 그리고 같은 길을 가는 선배 사역자님도 못 섬기며 후..
2012.12.21 -
본훼퍼의 영성이해
본훼퍼의 영성이해 김영한/목사.철학 및 신학박사(하이델베르그대). 숭실대 철학과 교수(현대신학) 및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소장이며 「현대 신학의 전망」, 「하이데거에서 리꾀르까지」등의 저서가 있다. 현대신학자 가운데 그 생애는 짧았으나, 현대의 세속화 신학, 신죽음의 신학, ..
2012.03.09 -
허무와 무의미의 소용돌이 속에서 존재의 용기에로의 감행
허무와 무의미의 소용돌이 속에서 존재의 용기에로의 감행 -사색하고 회의하는 지성인의 사도인 폴 틸리히 폴 틸리히 (1886-1965)는 ‘20세기 오리게네스’라는 당대의 칭송이 어울릴 만큼 현대 지성사의 거목이다. 그에게 수여된 10여개의 명예박사학위가 보여 주듯이 문명비평가, 실존철..
2012.03.09 -
폴 틸리히의 신관('God above God')을 중심으로
폴 틸리히의 신관('God above God')을 중심으로 "Theology of Paul Tillich as I Understand It" 목 차 서론 --------------------------------------------- 1 제1부 폴 틸리히 신학 개관 ------------------------- 2 1. 틸리히의 생애 ---------------------------------- 2 2. 틸리히의 신학적 전제들 ------------------------- 4 3. 상관성의 방법 --..
201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