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프로젝트와 중국선교
2006. 7. 4. 21:49ㆍ선교자료/2.중국선교자료
희망프로젝트와 중국선교
박미진 ‘희망프로젝트(希望工程)’는 중국이 빈곤지역의 교육혜택과 문맹률 퇴치를 위해, 사회의 관심과 재력을 동원하여 중국 내외적으로 대대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해외 기독교인의 참여 또한 가능하며, 장래 중국에 복음의 열매를 맺게 하는 전초작업으로써 매우 중요한 사회참여 중 하나이다. 중국은 1985년 교육개혁을 실시하고 9년의 의무교육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연평균 수입이 300위안(元)에도 못 미치는 8천만 명의 절대빈곤 계층이 있고, 특히 농촌에서는 대개 초등학교 1년을 마치고 진학할 때 학비가 없어서 배움을 중단하는 실학(失學) 아동이 상당수이다. 이렇게 되니 자연 문맹자 발생률은 증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청소년기금회(中國靑少年基金會: 이하 중국청기회(中國靑基會)로 약칭)」는 1989년 10월, 의무교육의 제도화와 문맹퇴치를 위해 희망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중국 정부는 물론 일반 서민들, 나아가 해외 화교 및 외국의 중국 관심자들까지 대대적으로 참여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 글에서는 희망프로젝트에 대한 소개와 이 운동의 사회적인 의미, 참여사례 및 방법, 그리고 장래 중국 기독교 선교와의 상관관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희망프로젝트 시행케 된 사회적 배경 희망프로젝트는 빈곤지역의 실학아동을 도와 9년의 의무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과, 실학아동의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희망초등학교’ 건립 지원을 주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1979년 개혁개방 이후부터 1993년까지 연평균 9.3%의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경제발전의 이면에는 지역격차와 빈부격차라는 소득 불균형 현상을 심화시켰는데, 특히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농촌 인구의 연평균 소득은 1993년 922위안으로 도시의 2,337위안에 휠씬 못 미치고 있다. 또 전국의 500여 개 변경(邊境)이나 산간지역의 현(縣) 등은 국가재정 보조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빈곤지역으로 연평균 소득이 300위안에 불과하다. 이에 중국 정부는 1991년 약 713억 위안의 교육비를 지원하였지만, 이는 2억 3천만 명의 교육인구에 비해 상당히 적은 금액이다. 결국 교육에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충당할 수 없는 아동은 초등학교 1학년 이후 공부를 포기해야만 했다. 이에 중국청기회는 희망프로젝트를 통해 빈곤 아동들이 2학년부터 6학년까지 5년 간 공부할 수 있도록 총 400위안(매년 80위안)의 도서비 및 학용품비를 지원하는 것과, 또 희망초등학교를 세우는 일을 적극 추진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희망초등학교를 새로 세울 경우에는 20만 위안의 지원금이 필요하며, 지원금이 10만 위안인 경우에는 낡은 학교를 개조하여 세울 수 있다. 담당기구 및 방법 중국청기회는 1989년 3월, 중국공산주의청년단(中國共産主義靑年團), 중화전국청연연합회(中華全國靑年聯合會), 중화전국학생연합회(中華全國學生聯合會) 및 전국소선대공작위원회(全國少先隊工作委員會)가 연합하여 창립되었고, 그 해 10월 본격적으로 희망프로젝트 사업을 시작했다. 중국청기회는 이 프로젝트가 잘 진행되도록 국가로부터 권리를 위임받아 모든 성과 자치구, 직할시에 희망프로젝트 지방기금관리기구를 세워 운영해 왔다. 일반적으로 성급 기구는 사회모금 활동 및 본 지역의 희망프로젝트 기금관리와 실학아동을 돕는 일을 했고, 현(縣)급 업무기구는 주로 실학아동을 돕는 일을 실시하였다. 또 중국청년회는 중국 청소년 사업에 관심이 있는 국내외 단체와 인사들의 지지와 도움을 연결하여 중국 청소년 교육, 과학기술, 문화, 체육, 위생, 사회복지사업 및 환경보호사업에 대한 발전을 추진하는 역할을 해 왔다. 위와 같은 조직적인 기구는 희망프로젝트 시행 10년 동안 엄청난 수확을 가져다주었다. 성과 및 향후 방향 1989년 10월부터 1999년 12월 31일 현재까지, 전국 각급 희망프로젝트 실시기관에 접수된 금액은 국내외 총합계 18.4억 위안이고, 그중 현재까지의 지원총액은 15.9억 위안이다. 전국 희망프로젝트 지원 상황을 보면, 1999년 12월 31일까지 실학아동 229만 명을 지원했고 7,812곳에 희망초등학교를 세웠다. 1999년 한 해동안 전국 실학아동 197,710명을 지원했고, 701곳에 희망초등학교를 세웠다. 또 농촌의 초등학교에 약 1만여 세트의 「희망서고(希望書庫)」와 2000 세트의 「삼진영고(三辰影庫)」인 아동용 녹음테이프, 또 약 6,000여 명의 농촌 초등학교 교사들에 대한 훈련 및 표창을 실시하였다. 이처럼 희망프로젝트에 대한 사회호응도가 높아지자 희망프로젝트의 질적 향상을 위해 중국청기회는 다음 단계로 1994년‘한 가정 한 아동 돕기’를 실시했다. 1997년에는‘희망의 별(希望之星)’이라는 장학제도를 만들어 희망프로젝트의 수혜를 받은 학생들 중 시험을 통해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 계속적인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에 공헌하게 했다. 이 장학금으로 매년 중학생 600위안, 고등학생 800위안, 대학생 1,200위안의 기숙사비, 교통비, 과제연구비가 지원됐다. 또 희망초등학교의 경우는 상하이(上海)에 전국교사훈련본부를 세워 희망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준향상을 통한 효율성 향상에 힘쓰고 있으며, 또 빈곤지역인 농촌 학교의 개선에 집중하는 것으로 그 방향을 확장시켰다. 이외에도 중국청기회는 「녹색희망 프로젝트(황허와 창장 등 주요 강과 하류유역의 생태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식수 및 관개시설 설치)」, 「사랑프로젝트(기업이윤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 방식으로, 기업은 사랑프로젝트 표시를 통해 판매를 증가시킬 수 있다.)」및 「삼진영고(세계 우수한 영화를 보급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 등 교육환경에 적합한 프로젝트 개발을 점점 확대하고 있다. 희망프로젝트의 참여 사례와 중요성 및 방법 참여 사례 희망프로젝트는 중국 내 각계 각층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 그 참여 정도는 과히 놀랄만하였고, 중국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들 역시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성과를 가져왔다. 일반적인 희망프로젝트의 참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의 희망프로젝트 사무실을 이용하는 것으로, 정해진 구좌번호에 입금하면 증서를 발급해 주는 형식이다. 이외에도 희망프로젝트를 주관하는 기관을 통해 지원이 필요한 지방이나 현을 소개받아 직접 연결하여 그들을 만나보고 지원금을 전달하는 형식도 있다. 필자는 후자의 형식을 통해 중국에 머무는 동안 희망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중국사회과학원 공청단원인 중국인 친구를 통해 직접 현의 희망프로젝트 담당자와 연결되어 다국적(多國籍) 구성원들과 함께 한 현의 초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였다. 현의 관리들과 교사와 어린이들을 직접 만났고, 또 이들은 지원 어린이의 집을 방문하도록 친절하게 배려해 주었다. 그리고 학생이 1년에 2회 편지를 보내옴으로써 학생의 근황을 짧게나마 접할 수 있었다. 짧은 만남이었지만, 중국 어린이에게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준 매우 귀한 기회였다고 생각한다. 이처럼 희망프로젝트는 외국인들로 하여금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를 가능케 할뿐만 아니라, 배움의 기회를 잃은 어린이를 도움으로써 한·중 양국의 우호증진 및 기독교인의 사회참여라는 다각적인 차원에서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희망프로젝트 참여의 중요성 따라서 희망프로젝트는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와 미래를 위한 투자 및 한·중 양국의 선린우호관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첫째는 중국에 대한 바른 이해와 접근을 위해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특히 중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주로 도심지에 살고있기 때문에 농촌의 상황 즉 교육환경, 어린이들의 근황, 경제 수준 등을 알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희망프로젝트를 통한 농촌 지역의 이해는 미흡하나마 직접 중국의 현실과 부딪힐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둘째는 미래세대에 대한 투자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어린이는 나라의 희망’이라는 말도 있듯이, 희망프로젝트는 중국의 미래를 걸머질 세대에 대한 가치 있는 투자이다. 이는 차후에 양국의 선린우호 관계를 더욱 증진시키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다. 셋째는 희망 프로젝트를 통한 경제협력 가능성의 확대이다. 희망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필자가 방문했던 지역의 현 관리들은 희망프로젝트 지원 뿐 아니라, 그 지역 경제 개발을 위해 무공해 야채 및 지역 특산물 생산 등 한국인 투자자를 찾는 항목들을 제의하였다. 이처럼 희망프로젝트는 양국의 경제협력을 더욱 긴밀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넷째는 중국 투자기업들의 희망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관계의 밀접화이다. 희망프로젝트에 참여한 외국기업들에 대해 중국인들이 갖는 기업 이미지는 상품판매와 직결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중요성을 일찍부터 인식한 외국기업들의 희망프로젝트 참여는 매우 적극적이고 구체적이다. 예를 들면 코카콜라 회사는 1999년 7월 「중국청년보(中國靑年報)」와 중국청기회와 협력하여, 〈제1대 농촌 대학생 장학금협회〉를 설립, 학업이 어려운 학생들이 대학 과정을 마칠 수 있도록 1인당 8,000위안을 4년에 걸쳐 지급할 것을 결정했다. 모토롤라 전자회사의 경우 1997년 신장(新疆) 지역의 현지 교육사업 증진을 위해 100만 위안을 지원했고, 1999년 제3차 지원 때는 300만 위안을 지원했다. 이외에도 컴팩(Compaq) 등 유수한 외국기업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참여 방법 그렇다면 한국 교회와 성도들이 어떻게 희망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겠는가? 우선 관심과 사랑만 갖고 있다면 얼마든지 참여가 가능하다. 한 예로, 인터넷 사용이 활성화되면서 ‘인터넷 희망프로젝트( 絡 希望工程)’가 등장하였다. 2000년 3월 15일, 베이징(北京) 신성시공(新星時空) 인터넷소프트웨어회사는 중국청기회와 베이징시 상업은행, 베이징시 공상행정관리국, 칭화대학(淸華大學) 학생회, 베이징대학과 협력하여 인터넷 희망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자사 사이트의 회원가입을 늘리고 또 사회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자, 희망프로젝트 지원금으로 100만 위안을 출자하였다. 이 회사의 웹사이트 www.z000.com.cn(중문 간체자)에 들어가면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들의 명단이 나와 있다. ‘워쯔주(我資助)’난을 클릭하면 해당 아동의 구체적인 신상명세를 볼 수 있고, 이 어린이 앞으로 1위안을 적립시킬 수 있는데 이때 비용은 회사가 부담한다. 이 회사는 1단계로 금년 12월 31일까지 이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2000년 4월 7일 현재 12,158명이 이 활동에 참가했고, 현재까지 20만 위안이 이미 희망프로젝트의 장학금으로 전달되었다고 「중국청년보」는 보도했다. 따라서 한국인이 가장 손쉽게 참여하는 방법은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지원하는 것이다. 이 또한 한국인들의 중국 어린이와 교육사업에 대한 관심을 나타냄으로써 양국 관계에 좋은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직접 지원금을 지원하는 경우이다. 중국 현지에서는 희망프로젝트 관리기구를 통한 지원금 전달과 직접 방문도 가능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지원할 경우는 송금절차가 다소 번거롭다. 희망프로젝트에 관심있는 단체나 모임에서 창구를 단일화하여 진행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계좌명: 中國靑少年發展基金會 외환계좌가 개설된 은행: 中國銀行總行營業部 외환계좌번호(달러의 경우) 0023608241014 희망프로젝트의 한계와 선교적 의미 희망프로젝트의 한계 희망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결과 뒤에는 다소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지원금 집행에 대한 불신이고, 또 하나는 도움받는 아동들의 소극적인 반응으로 인한 신뢰도 저하의 문제이다. 희망프로젝트가 한창 열기를 더해가고 있던 1994년 1월, 홍콩의 잡지 「이저우칸(壹周刊)」은 희망프로젝트 지원금 7,000만 위안이 실종됐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 액수는 1994년 지원금 2.01억 위안 중 1/3에 해당되는 금액이다. 이 잡지기자의 현장취재 결과 실학아동은 여전히 도움을 받지 못한 상태라는 것이었다. 이에 중국청기회는 즉각 홍콩의 「원후이빠오(文 報)」를 통해 ‘희망프로젝트의 지원금 문제에 대한 전말’을 발표함으로서 사건은 일단락 되었지만, 상당히 부정적인 여파를 남긴 것이 사실이다. 두 번째는 아동들에 대한 신뢰도 문제이다. 지원자들은 1년에 2회 도움을 받는 어린이로부터 편지를 받게 되는데, 편지의 내용이 대부분 동일하고 주소 또한 학교 주소로부터 오기 때문에 개인적인 교류에 한계가 있어, 순수한 의도로 지원했던 사람들이 자칫 실망하는 경우도 있다. 기독교 선교적 의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희망프로젝트에 한국의 다양한 계층과 단체들이 동참할 것을 적극 권한다. 특히 중국에 복음을 심겠다는 크리스천이라면 이 중요한 접촉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중국 사회는 이제 크리스천들로 하여금 사회 속에서 구체적인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기를 요청하고 있고, 삶의 모델을 필요로 하고 있다. 희망프로젝트는 중국 정부가 추천하는 것이기에 누구나 공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 중국의 다음 세대를 책임질 어린이들에게 배움의 길을 열어 주는 교육사역이기에 큰 가치가 있다. 물론 당장 복음을 전할 수는 없지만, 상당한 시기와 정성이 경과한 이후 때가 되면 하나님께서 희망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실 것을 믿는다. 그리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겨주신 재정의 일부를 통해 중국 복음화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희망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직접 중국 현장에서 선교하지는 못하는 우리가 그 땅의 사람들을 섬길 수 있다. 【참고자료】 소작기 저, 진정미 역, 「중국경제의 야망」,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1996) 석은혜,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중국 어린이에게 배움의 길을”, (「중국을 주께로」, 1995. 3/4) 「中國靑少年發展基金會」웹사이트 www.project-hope.cydf.edu.cn 「Z時代人」 웹사이트 www.z000.com.cn 박미진/ 중국복음선교회 중국교회와선교연구소 연구처장 중국을 주께로 00. 5/6월호에서 |
'선교자료 > 2.중국선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교회 ‘이주선교’로 복음화 확산 (0) | 2006.07.04 |
---|---|
중국어로된 다양한 신앙자료 싸이트 (0) | 2006.07.04 |
중국선교의 현황 (0) | 2006.07.04 |
한국 장로교회의 산동선교 (0) | 2006.07.04 |
신학교 사역을 통한 중국 선교 (0) | 200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