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삶의 지혜 ..
2006. 1. 25. 22:17ㆍ회원자료/1.휴게실
행복한 삶의 지혜 .. | |
글쓴이: 박성수(이랜드그룹회장) | |
나는 대학생 때 이름
모를 병에 걸렸다. 언젠가부터 걷기가 힘들고 점퍼가 무거 워 입기 어려웠다. 나중에는 연필이 무거워 손바닥을 끌며 글씨를 쓰게 되었고 이불이 무거워 덮기 힘들고 의자에 앉아 있는 것조차 어려웠다.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가 알게 된 병명은 근무력증. 치유가 불가능하고 더 나빠지 지 않기만을 바라야 한다는 것이었다. 졸업 후 남들처럼 취업하는 대신 종일 누 워 지내게 되었는데,이 때 나의 간절한 소원은 오직 하나. 그저 다른 사람들처럼 걷고,움직일 수 있는 것,그것 뿐이었다. 내 아내는 결혼한 지 두 해쯤 지난 후 몸의 왼쪽부분에 마비가 오기 시작하더니 나중에는 몸 한쪽 전체를 거의 쓸 수 없게 되었다. 밤에 심한 통증에 시달리며 눈물 흘리는 아내의 고통을 덜어 주느라 뜨거운 물에 담근 수건으로 문질러 주 던 기억이 생생하다. 유명한 병원은 모두 가보았다. 병명도 알 수 없었던 그 어 려웠던 때 내가 아내를 위해 간절히 기도했던 제목은 단 하나 "제발 목숨만 살 려 주세요"였다. 2년 가까운 고통스러운 시간이 지난 후 나처럼 기적적으로 아내는 건강을 회복했 고 이 두 기적은 기도의 응답이었다고 생각하며 감사하게 살고 있다. 우리 회사 에는 장애가 있는 직원들이 있다. 휠체어에 앉아 있는 한 직원을 볼 때마다 나 는 예전의 내 모습을 떠올린다. 이 직원의 가장 큰 소원은 남들처럼 걷는 것일 것이다. 우리 회사에는 장애 자녀를 둔 직원들도 있다. 그들의 소원은 하나일 것 이다. 보지 못하는 아이의 부모는 아이가 보게 되는 것이고,심장이 기형인 아이 의 부모는 아이의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는 것이 아니겠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연시하는 아주 평범한 것-걷는 것,뛰는 것,보는 것… 이 런 것들은 어떤 사람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소원이요 기적인 것이다. 아마도 북한 굶주린 동포들의 소원은 대한민국의 시민이 되는 것이기에 목숨을 걸고 남 으로 오는 것이 아닐까? 그러나 내 주변에서 '한국 시민권' 때문에 늘 행복해 하는 사람을 나는 보지 못 했다. 가지고 있지만 누리지 못하는 사람은 진정한 소유자가 아니다. 가지고 있 으면서도 이것이 기적인지 모르는 사람은 결코 행복할 수 없다. 없다고 불평하기 전에 내가 무엇을 가지고 있는지 헤아려 보는 것,내가 늘 당연 히 여기고 있는 내 모든 것들에 대하여 그것들을 갖고 있지 못한 사람의 눈으로 바라 보는 것,그것이 내가 배운 진정으로 행복한 삶의 지혜다. |
'회원자료 > 1.휴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비 (0) | 2006.01.25 |
---|---|
고통은 동일하나 (0) | 2006.01.25 |
세계 제일부자 빌게이츠의 인생이야기 (0) | 2006.01.25 |
보이시나요 (0) | 2006.01.25 |
그래도, 군데 군데 모르는 척 하기 (0) | 2006.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