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가 사랑의 징표가 된 이유

2007. 12. 8. 18:13일반자료/1.일반자료

다이아몬드가 사랑의 징표가 된 이유


결혼과 사랑의 첫 증여품으로 흔히 다이아몬드가 쓰이는 경우가 많다. 결혼을 하는 신부들은

예물로 다이아몬드 반지를 받는 것이 요즘의 결혼 관례가 되어버렸는데 남자의 입장에서 보

면 조금 부담스러운 일이지만 어느 순간부터 우리 사회에서 다이아몬드는 결혼 예물로 대중화

되고 정착되어버린 것 같다.

다이아몬드는 보석 중에서 가장 단단하고 변하지 않으며, 깎고 닦으면 닦을수록 찬란한 빛을

내는 보석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이 영원히 변치 않고 빛나라는 뜻에서 다이아몬드를 결혼

예물이나 약혼 예물로 선물하게 된 것이다.

다이아몬드는 귀하고 값진 물건임은 틀림이 없다. 요즘은 다양한 종류의 다이아몬드를 시중에

서 구입할 수 있으며, 값도 싼 것에서 비싼 것까지 천차만별이지만 그래도 다이아몬드는 보석

중의 보석이다.

15세기 베네치아의 결혼증명서엔 ‘다이아몬드가 박힌 결혼반지’라는 말이 적혀있었다고 한

다. 당시에는 다이아몬드 약혼반지가 유행하고 있었는데 부유한 베네치아 사람들은 금이나 은

에 다이아몬드를 붙인 약혼반지를 결혼할 신부에게 선물했다. 신부는 약혼식 때 이 반지를 받

고 다시 신랑에게 건네준다. 그리고 결혼식 때 다시 그 반지를 돌려받는 것이다. 약혼반지는

일종의 착수금으로 신랑은 신부와 평생을 같이 하기 위해 경제적 희생을 지불했던 것이나 다

름이 없다.

물론 파혼을 할 때의 반지에 대한 거처는 정해져 있었는데 남자 쪽에서 결혼을 파기한 경우 약

혼반지를 돌려받을 수 없지만, 여자가 파기한 경우에는 남자에게 결혼반지를 돌려줘야 했다.

이것은 교회법으로 신성한 결혼을 일방적으로 파기한 것에 대한 벌이나 마찬가지였다.

프랑스의 왕, 프랑수아 1세의 아들과 헨리 8세의 딸, 메리가 약혼할 때 예물로 만들어진 것이

역사적으로 남아 있는 다이아몬드 반지 중에 가장 작은 반지라고 한다.

약혼반지를 받은 메리 스튜어트의 나이는 6살이었다. 6살의 어린 아이에게 끼워질 반지이기

때문에 가장 작은 다이아몬드 반지가 되었던 것이다. 그 이후부터 다이아몬드 반지의 유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보다 더 오래전 앵글로색슨 족의 남자들은 약혼의 징표로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것 중에서

가장 귀한 것을 둘로 쪼개어 그 한쪽을 자기가 갖고 다른 한쪽은 신부에게 맡기는 풍습이 있었

다고 한다. 부유한 남자들은 금이나 은을 징표로 삼았으며 언제부터인가 그것이 약혼반지로

모습을 바꾸기 시작한 것이다.

과거 우리 사회에서도 결혼 예물로 금반지를 선물했지만 그것이 차츰 다이아몬드 반지로 업그

레이드되었고, 요즘은 결혼 예물이 아니라 사랑의 선물로도 다이아몬드 반지를 선물하곤 한

다. 물론 다이아몬드라도 다 비싼 것만은 아니기에 결혼 예물에만 쓰였던 다이아몬드를 선물

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남성들이 사랑하는 여성에게 선물을 할 때, 특히 값비싼 반지나 목걸이를 선물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물건을 선물하는 것이 아니라 물건에 마음을 담아 사랑을 선물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수의 여자들은 선물을 가격으로 평가하기도 하는데 가치로 평가할 줄도 알아야 할 것이다.

물론 돈과 사랑을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실질적으로 마음 가는 곳에 돈도 쓰게 되어 있다.

여자는 보석에 약하다. 그것은 여자가 속물이어서가 아니라 보석은 귀한 것이며 귀한 것을 선

물 받을 때 자신도 귀한 대접을 받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자신의 가치를 높이 평

가해주는 남자에게 고마움을 느끼고 감동받는 것이다.

영원한 사랑, 변치 않는 사랑을 상징하는 다이아몬드의 가치는 가격이 아니라 오래되어도 변

하지 않고, 갈고 닦을수록 빛을 내기 때문이다.

간혹 여자들 중에는 결혼 예물로 받은 다이아몬드가 몇 캐럿인가에 관심을 갖고 그것을 자랑

하는 여자들, 부러워하는 여자들도 있다. 물론 질이 좋고 클수록 경제적 가치는 높아지겠지만

진정한 가치는 마음으로 받아드릴 수 있는 자신의 품성이 아닌가 싶다. 다이아몬드를 갈망하

기 전에 자신이 먼저 다이아몬드에 어울리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다이아몬드의

본질이 더욱 빛을 바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