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8. 20. 00:29ㆍ교회사자료/1.기독교회사
옥스포드 운동(Oxford Movement)
1. 배경
2. 죤 케블(John Keble, 1792-1866)
3. 죤 헨리 뉴먼(1801-1890)
4. 맺는 말
1. 배경
이 운동은 1833년에 옥스포드(Oxford)에서 일군(一群)의 영국 국교회 소속 성직자들이 [이 시대를 위한 소책자들](Tracts for the Times)이라는 연속 간행물을 통하여 시작한 신앙운동이었다(따라서 옥스포드 운동, The Oxford Movement라고 불리우기도한다). 이 운동을 전개한 사람들 중 탁월한 사람들은 시인 키블(John Keble, 프로우드(R.Hurrell Froude), 이 운동의 지도자였던 뉴만(John Henry Newman), 그리고 푸시 박사(Dr.E.B.Pusey)였다. 이 운동은 중세 시대의 로마 가톨릭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프랑스에서 일어난 로마 가톨릭의 부흥에 자극을 받았고, 주로 비종교적인 하류 계층과 비국교도들과 이제는 법적으로 자유가 확보된 로마 가톨릭 교도들의 정치적 세력이 강화된 데 경각심을 받았으며, 복음주의 교회 성직자들 외에 대부분의 성직자들이 합리주의적 경향으로 흐르고, 세속화되고, 영적으로 무능력한 데 대한 불만으로 일어났다.
이러한 소책자 운동가들은 영국 교회 성직자들이 사도적 계승권을 가졌다는 교리와 영국 국가뿐만 아니라 영국 교회도 자주권과 절대권을 가졌다는 교리를 주장했다. 이와같은 견해는 뉴만이 1841년에 쓴 [소책자 90]에서 결정적으로 주장되었는데 그는 주장하기를 영국 교회의 모든 기도문들과 신앙 고백 문서들은 로마 가톨릭적인 의미로 번역(해석)되어야 한다고 했다. 즉 이것은 분명히 종교 개혁 이전의 중심적인 신앙과 행위로 완전히 돌아가자는 것을 의미하였다. 뉴만은 이러한 신념에 따라서 논리적 결론을 내리고 1845년 가톨릭 신부로 전향하여, 1879년에 추기경이 되었다. 또한 그를 따라서 많은 앵글로 가톨릭 교도들(Anglo-Catholics-오늘날의 명칭)이 생겨났다. 그뿐아니라 영국 국교회 내에서도 특히 감독들 가운데는 앵글로 가톨릭에 영향을 받는 자들이 생겨나서 지배적인 지위를 차지한 사람들도 있다. 앵글로 가톨릭 교회는 수도원제도를 부활시켰으며, 의식을 강조하고, 빈민 교구에서 헌신적으로 일하는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운동가들은 평신도들에게는 충성할 것을 명령하지는 않았다. [영국에는 영국 국교회(The Church of England)와 성공회(The Anglican CommunionChurch), 앵글로 가톨릭 교회(The Anglo-Catholic Church)가 있다]
2. 죤 케블(John Keble, 1792-1866)
옥스포드운동은 케블이 옥스퍼드에서 "국민적 배교"라고 설교한 것이 계기가 되어 19세기전반 옥스퍼드 대학과 관계 있는 국교회의 성직자들이 주도한 국교회 재건 운동이다.
1833-1841년을 중심으로 일어난 이 운동을 일명 소책자 운동(트랙 운동)이라고 부른다.이 운동의 목적은 종교침체를 구출하고 순수 견실한 교회육성,도덕 재무장,교리 규칙 준수그리고 전승계승등 이었다.
이 운동의 결과로 영국 교회에 경건성 회복의 기류가 환기되고 문화적인 분야에서 종교적 정서들이 고취되었다.이 운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고대 교회사와 17세기 국교회 신학자들의 저서들이 편집되기도 했느데 1845년 뉴먼이 카톨릭으로 개종하면서 분열이 시작 되었다.
3. 죤 헨리 뉴먼(1801-1890)
뉴먼은 도미니코 바베리의 권고로 옥스포드 운동의 회원이 되었다. 도미니코 바베리는 1792년 6월 22일. 이탈리아의 비떼르보 근교에서 태어난 그는 1814년에 예수 고난회에입회하여, 천주의 모친의 도미니코란 이름을 받았고, 1818년에 서품되어 10여 년 동안을 가르쳤고, 수도회의 여러 직책을 거쳤으며, 관구장이 되었다. 그는 그의 수덕생활과 학문으로 널리 알려졌고, 강론집과 신학 및 신비신학 저서를 발간하였으며, 잉글랜드에 두 개의 수도원을 더 짓고, 또 옥스포드 운동의 여러 회원들을 교회로 이끌었는데, 그들 중에는 존 헨리 뉴먼이 가장 유명하다.
죤 헨리 뉴먼은 런던출생으로 영국 신학자, 추기경이다. 1817년 옥스퍼드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21년 졸업했다. 24년에 영국국교회 성직자, 28년 옥스퍼드 성마리아교회의 사제(司祭)가 되었다. 33년부터 J. 키블 등과 영국국교회의 신앙부흥을 위해 '시국소책자'(時局小冊子)지를 발행, 이른바 옥스퍼드운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41년 '시국소책자' 90호에서 '39개조'(The Thirty-Nine Articles)가톨릭신조와 양립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했기 때문에 '시국소책자' 발행이 금지되었고, 그도 영국국교회에 의문을 품어 43년 성직을 사퇴하고 리틀모어로 은퇴했다. 45년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로마로 갔으며, 47년에 사제서품(敍品)을 받고 49년 버밍엄에 오라토리오회를 창설, 후에 런던에도 세워진 이 회의 수도원·학교 경영을 맡으며 평생을 이곳에서 지냈다. 79년 교황 레오 13세는 그를 추기경으로 서임했다. 신학자·철학자 및 시인으로 영국 종교계 및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의 의식주의적이고 교리적 측면을 부흥하고자 하는 운동인 옥스포드 운동은 처음에 영국국교회 내의 한 운동으로 시작되었으나 그 운동의 주도적 인물인 존 헨리 뉴먼을 비롯한 많은 동조자들이 로마 카톨릭 교회에 귀의함으로써 끝이 났다.
4. 맺는 말
옥스포드 운동(Oxford movement )은 1833년에서 1845년 까지 옥스퍼드 성직자를 중심 으로 일어난 영국 교회의 신앙 부흥 및 교회 개혁 운동이다. 영국 교회는 종교 개혁 때부터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교의와 예배가 혼합되어 있었다. 2개의 분리된 요소 들이 국가적인 통일 이라는 관점 에서 융합 되어 있었 는데, 1688년 혁명으로 프로테스탄트 黨이 정권을 장악 하면서 신앙의 궁극적인 권위 를 국가에 귀속 시키면서 국교회의 자주성을 위협 하였을 뿐 아니라 침례 교도들의 운동이 발흥함에 따라 많은 신자 들이 국교회 에서 이탈 하는 사태를 맞게 되었다. 이에 가톨릭의 전통, 특히 고교회파의 신학적인 전통 으로 국교회의 자주성을 확립 하려는 운동이 일어나 게되었다. 이것이 곧 옥스포드 운동의 시초라 하겠다. 최초의 움직임은 1833년 아일랜드 에서 10명의 영국 주교가 억압 당하고 있을 때에 일어났다.
케블(J. Keble)이 교회의 세속화에 대하여 〈국민의 배교〉 (National Apostasy, 1833. 7. 14)라는 설료를 통해 비판 하고 나섰 으며 이어 옥스퍼드 운 동의 거장 뉴먼(J.H. Newman)이 운동의 이념과 신학적 기초를 41권의 소책자에 실어 배포 하면서 운동은 급진전 되었고 1839년에 절정에 달하였다. 한편 옥스포드 운동의 발전과 함께 자유 진영의 반격도 거세졌다. 그러나 운동의 소멸은 뉴먼이 로마 가톨릭에 개종함과 함께 시작 되었다. 뉴먼의 개종 후 급진적인 운동가들 다수도 가톨릭 으로 개종 하였고, 운동은 막을 내렸다. 이 운동은 영국 교회를 자각 시켰고 성직의 권위를 확립 하는데 기여 하였다.
옥스포드 운동의 결과는 중요하고 광범하였다. 수녀원과 수도원이 건립되었고, 영국 국교회의 자치가 1852년 요오크와 캔터베리 교구의 승직회의의 부활과 더불어 회복되었다. 영국 국교회는 아직도 고파교회, 저파교회, 광파교회로 흔히 알려진 내부적인 분파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18세기의 자유주의 시대에서 관심을 갖지 않았던 교회에 대하여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점이다
'교회사자료 > 1.기독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근세교회사 (0) | 2007.08.20 |
---|---|
[스크랩] 1920년대의 미국교회와 신학 (0) | 2007.08.20 |
[스크랩] 에큐메니칼 선교 운동 비판 (0) | 2007.08.20 |
[스크랩] 교회사 자료 (0) | 2006.12.09 |
敎會史 硏究 (0) | 2006.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