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적인 자녀사랑법
2007. 7. 18. 18:18ㆍ신학자료/8.목회학 자료
성경적인 자녀사랑법
<서론>
- 잘못된 사랑은 집착, 애착이 됩니다.
. 얼마나 내가 널 사랑하는데, 네가 그럴수 있느냐?
(사랑의 이름으로 흥정하는 것)
. 사랑은 기술이 있으며 사랑의 기술을 알아야 한다.
- 사랑의 정의: 대상이 성장 발전하기 위해 내가 의도적으로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 꽃이 대상이며 물주는 행동을 나타내는 것이 사랑이며 의도적으로 내가 가진 꽃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사용하여 거름을 주고 햇볕으로 옮기고 그늘로 옮기는 행동이 사랑을 나타내는 행동이다.
. 술, 담배하는 학생 - 너는 너를 사랑하지 않는구나
. 의도적으로 : 네마음대로 커라하는 자유방임은 사랑이 아니다
자녀교육에 필요한 것을 자녀에 유익한 것을 해주는 것
- 사랑의 모델은 예수님께 찾아볼수 있다.
. 우리를 회복시키기 위해 심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심. 우리를 살리기 위해 자기를 희생하였음. - 사랑으로 우리를 조종하지 않으셨음.
. 고전13장- 사랑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으셨다. 진리를 구함.
- 사랑은 인내하는 것이다.
. 내가 오래 참았다고 하면서 나중에 몰아서 폭발시키는 것이 사랑이 아님.
. 네가 언젠가는 회복될 수 있다. 내가 사랑하니까 너는 잘못될수 없다.
이러한 믿음이 있으니까 인내할 수 있다.
- 사랑은 대상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이다. 나의 사랑의 크기, 내가 인내할 수 있는가 하는 주체의 문제이다.
. 자녀 사랑은 자녀가 사랑스러운가 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부모의 사랑의 크기가 문제이며, 내가 사랑하니까 사랑하는 것이다.
<성경적인 자녀 사랑법은?>
- 자녀를 회복시키는 사랑은 어떠한 사랑인가?
. 자녀의 성적, 행위, 외모, 조건과 상관없이 자녀의 존재 자체, 인격을 사랑하는 것임. - 숨어있는 존귀한 인격을 사랑하는 것이다.
- 자녀을 사랑해주어야 하는 것은 자녀가 지금 사랑이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며 사랑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녀가 지금 사랑을 받으면 자녀가 꽂을 피우는 시기이며 열매을 맺기위해 사랑이 필요한 때이기 때문이다.
. 아이가 왠지 밝고 스스럼 없이 발표도 잘하면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란아이 같아' 라고 말을 하며 부정적으로 보고, 비판적이고 사랑을 주지도 못하고 받지도 못하는 아이를 보면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란아이라고 말함.
. 당신의 자녀는 지금 어떠한 경우에 해당됩니까?
- 성경적인 자녀 사랑법은
1. 조건없는 사랑을 주어라 <은혜의 사랑>
- 자녀의 존재 자체를 사랑하라.
- 부모가 열등감이 있으며 자녀에게서 열등감을 보는 순간 화가 치밀어 책망하고 사랑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아직 사랑할수 있을 때, 사랑이 먹혀들어 갈 때, 내 곁에 있을 때 사랑하라
- 은혜의 사랑은 사랑의 대상이 사랑받을 자격이 없는 데도 사랑해 주는 사랑이며 사랑받을 수 있을 맏큼 회복될 때까지 사랑하며 일곱 번에 일흔번까지라고 용서하고 인내하는 것이다.
- 자녀가 특별히 칭찬받을 일이 생긴 다음이 아니라 멍청하게 있을 때(예들 들어 텔레비를 보고 잇을 때) 괜히 그냥 내가 너를 사랑한다라고 말해보세요. 자녀의 대답이 엄마 왜요?라는 질문이 나오면 아이는 조건부 사랑에 익숙해져 있는 경우이다. (어렸을 때부터 밥잘먹어서, 대소변을 잘 가려서, 성적 백점을 맞아셔 칭찬하고 내 새끼라고 칭찬하지 않았나 그것이 익숙해져 내가 잘해서 사랑받을 만한 일을 해서 사랑을 받는다고 믿는다)
(사례. - 남편이 아내 사별후 후처로 들어온 새엄마가 전처 소생의 큰아들에게 사랑을 나타내 보고 싶은 데 어려움 호소해옴. 가출한 큰아들에게 뭐라고 말했나. 가출한 아이에게 훈계해봐야 그 아이는 엄마의 사랑을 느끼기 보다는 반감을 가짐. 가출하지 않으면 사랑할수 있다는 조건적인 사랑보다는 존재 자체를 사랑하여야 한다. 즉 네가 또 가출해도 내가 찾아올 것이다. 너를 포기하지 않겠다. 네가 나를 엄마로 인정하지 않아도 나는 너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
2. 자녀를 보고 기뻐하세요
- 내가 너를 사랑하기로 작정했다.
. 자녀을 보고 실실 웃으세요(사랑의 눈) - 기뻐서 어쩔줄 모르는 상태
. 너를 보면 행복하다. 자녀가 행복하고 기뻐하는 자가 된다
3. 자녀의 개인성을 인정하세요
- 조건없이 사랑하는 것은 자녀의 개인성을 인정하는 것이고
자녀가 다른아이와 공통점이 아니라 다른 점 때문이며 자녀의 인격 자체를 존중하는 것이다. - 부모님 뜻대로 살아야 한다.
. 내가 너를 얼마나 사랑하는 데, 내가 너를 얼마나 힘들게 키웠는데 너는 의대에 가야한다. - 조종하려는 사랑
. 내가 필요할 때 아내가 곁이 있어야 한다고 믿는 남편들, 내가 커피를 끓여 주면 먹어주어야 하는 남편 (안마시고 싶을 때도 잇다)
4. 실수를 인정해 주세요
- 자녀의 실수을 보면 '괜찮다, 누구나 실수하는 거란다. 실수를 겁내지 말아라, 엄마는 너를 사랑한단다.'라고 말하였더니
나중에는 자기반 친구가 자기에게 물을 엎었을 때 이말을 친구에게 해주었다고 한다.
- 건강한 사람, 성공하는 사람의 특성 - 모험을 하는자
. 실수할까 두려워하고 모험을 하지 않은자는 성공하지 못한다.
. 마음놓고 실수 하세요. (새 차 구입하고 접촉사고내지 말고 차 긁혀오지 마세요 - 마음놓고 긁혀도 됩니다라고 말해야함.)
- 실수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 베드로는 실수 때문에 그 실수를 용서받고 더 큰 제자가 될 수 있었음.
5. 자녀는 아직 어리다. 배우는 중이다. 자라는 중이다.
- 성적이 떨어지면. 성적 향상하는 것 - 길게 봐라.
.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6. 사랑을 표현하세요
- 사랑을 표현할 때 회복이 일어납니다.
. 사랑한다고 말할 때 엄마을 바꾸어주고 변화시켜주어 사랑을 줄수 있게 해줌. (사랑을 받지 못한 자는 주지도 못한다)
. 가출한 아이의 핸드폰에 빨리 들어오라고 말도 하지 않고 단순히 사랑한다는 음성 메시지 남김 - 일찍들어옴. 성적이 떨어진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과 성적이 오른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 어느 것이 더 진정한 말?
. 자녀 사랑를 표현하는 방법, - 글로 표현, 도시락에 쪽지말.
- 뒤늦게 부모가 후회하며 자녀가 나를 통해 어떤 사랑을 배웠겠는가? 하는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것은 어느 누구도 완전한 부모가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고아의 아버지가 되신다고 한 것 처럼 진정한 아버지는 우리 하나님이 위로해주시고 힘이 되어 주십니다)
.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그때는 내가 몰라서 너에게 표현하지 못했다 또는 나는 이렇게 생각하여 너에게 표현하지 못했다.라고 자녀에게 진심을 말해주면 자녀에게 사랑의 회복이 일어난다.
자료원: 이기복 교수님 세미나 강의 요약
<서론>
- 잘못된 사랑은 집착, 애착이 됩니다.
. 얼마나 내가 널 사랑하는데, 네가 그럴수 있느냐?
(사랑의 이름으로 흥정하는 것)
. 사랑은 기술이 있으며 사랑의 기술을 알아야 한다.
- 사랑의 정의: 대상이 성장 발전하기 위해 내가 의도적으로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 꽃이 대상이며 물주는 행동을 나타내는 것이 사랑이며 의도적으로 내가 가진 꽃이 성장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사용하여 거름을 주고 햇볕으로 옮기고 그늘로 옮기는 행동이 사랑을 나타내는 행동이다.
. 술, 담배하는 학생 - 너는 너를 사랑하지 않는구나
. 의도적으로 : 네마음대로 커라하는 자유방임은 사랑이 아니다
자녀교육에 필요한 것을 자녀에 유익한 것을 해주는 것
- 사랑의 모델은 예수님께 찾아볼수 있다.
. 우리를 회복시키기 위해 심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심. 우리를 살리기 위해 자기를 희생하였음. - 사랑으로 우리를 조종하지 않으셨음.
. 고전13장- 사랑은 자기의 유익을 구하지 않으셨다. 진리를 구함.
- 사랑은 인내하는 것이다.
. 내가 오래 참았다고 하면서 나중에 몰아서 폭발시키는 것이 사랑이 아님.
. 네가 언젠가는 회복될 수 있다. 내가 사랑하니까 너는 잘못될수 없다.
이러한 믿음이 있으니까 인내할 수 있다.
- 사랑은 대상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이다. 나의 사랑의 크기, 내가 인내할 수 있는가 하는 주체의 문제이다.
. 자녀 사랑은 자녀가 사랑스러운가 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부모의 사랑의 크기가 문제이며, 내가 사랑하니까 사랑하는 것이다.
<성경적인 자녀 사랑법은?>
- 자녀를 회복시키는 사랑은 어떠한 사랑인가?
. 자녀의 성적, 행위, 외모, 조건과 상관없이 자녀의 존재 자체, 인격을 사랑하는 것임. - 숨어있는 존귀한 인격을 사랑하는 것이다.
- 자녀을 사랑해주어야 하는 것은 자녀가 지금 사랑이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며 사랑을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녀가 지금 사랑을 받으면 자녀가 꽂을 피우는 시기이며 열매을 맺기위해 사랑이 필요한 때이기 때문이다.
. 아이가 왠지 밝고 스스럼 없이 발표도 잘하면 '사랑을 많이 받고 자란아이 같아' 라고 말을 하며 부정적으로 보고, 비판적이고 사랑을 주지도 못하고 받지도 못하는 아이를 보면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란아이라고 말함.
. 당신의 자녀는 지금 어떠한 경우에 해당됩니까?
- 성경적인 자녀 사랑법은
1. 조건없는 사랑을 주어라 <은혜의 사랑>
- 자녀의 존재 자체를 사랑하라.
- 부모가 열등감이 있으며 자녀에게서 열등감을 보는 순간 화가 치밀어 책망하고 사랑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아직 사랑할수 있을 때, 사랑이 먹혀들어 갈 때, 내 곁에 있을 때 사랑하라
- 은혜의 사랑은 사랑의 대상이 사랑받을 자격이 없는 데도 사랑해 주는 사랑이며 사랑받을 수 있을 맏큼 회복될 때까지 사랑하며 일곱 번에 일흔번까지라고 용서하고 인내하는 것이다.
- 자녀가 특별히 칭찬받을 일이 생긴 다음이 아니라 멍청하게 있을 때(예들 들어 텔레비를 보고 잇을 때) 괜히 그냥 내가 너를 사랑한다라고 말해보세요. 자녀의 대답이 엄마 왜요?라는 질문이 나오면 아이는 조건부 사랑에 익숙해져 있는 경우이다. (어렸을 때부터 밥잘먹어서, 대소변을 잘 가려서, 성적 백점을 맞아셔 칭찬하고 내 새끼라고 칭찬하지 않았나 그것이 익숙해져 내가 잘해서 사랑받을 만한 일을 해서 사랑을 받는다고 믿는다)
(사례. - 남편이 아내 사별후 후처로 들어온 새엄마가 전처 소생의 큰아들에게 사랑을 나타내 보고 싶은 데 어려움 호소해옴. 가출한 큰아들에게 뭐라고 말했나. 가출한 아이에게 훈계해봐야 그 아이는 엄마의 사랑을 느끼기 보다는 반감을 가짐. 가출하지 않으면 사랑할수 있다는 조건적인 사랑보다는 존재 자체를 사랑하여야 한다. 즉 네가 또 가출해도 내가 찾아올 것이다. 너를 포기하지 않겠다. 네가 나를 엄마로 인정하지 않아도 나는 너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
2. 자녀를 보고 기뻐하세요
- 내가 너를 사랑하기로 작정했다.
. 자녀을 보고 실실 웃으세요(사랑의 눈) - 기뻐서 어쩔줄 모르는 상태
. 너를 보면 행복하다. 자녀가 행복하고 기뻐하는 자가 된다
3. 자녀의 개인성을 인정하세요
- 조건없이 사랑하는 것은 자녀의 개인성을 인정하는 것이고
자녀가 다른아이와 공통점이 아니라 다른 점 때문이며 자녀의 인격 자체를 존중하는 것이다. - 부모님 뜻대로 살아야 한다.
. 내가 너를 얼마나 사랑하는 데, 내가 너를 얼마나 힘들게 키웠는데 너는 의대에 가야한다. - 조종하려는 사랑
. 내가 필요할 때 아내가 곁이 있어야 한다고 믿는 남편들, 내가 커피를 끓여 주면 먹어주어야 하는 남편 (안마시고 싶을 때도 잇다)
4. 실수를 인정해 주세요
- 자녀의 실수을 보면 '괜찮다, 누구나 실수하는 거란다. 실수를 겁내지 말아라, 엄마는 너를 사랑한단다.'라고 말하였더니
나중에는 자기반 친구가 자기에게 물을 엎었을 때 이말을 친구에게 해주었다고 한다.
- 건강한 사람, 성공하는 사람의 특성 - 모험을 하는자
. 실수할까 두려워하고 모험을 하지 않은자는 성공하지 못한다.
. 마음놓고 실수 하세요. (새 차 구입하고 접촉사고내지 말고 차 긁혀오지 마세요 - 마음놓고 긁혀도 됩니다라고 말해야함.)
- 실수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 베드로는 실수 때문에 그 실수를 용서받고 더 큰 제자가 될 수 있었음.
5. 자녀는 아직 어리다. 배우는 중이다. 자라는 중이다.
- 성적이 떨어지면. 성적 향상하는 것 - 길게 봐라.
. 한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6. 사랑을 표현하세요
- 사랑을 표현할 때 회복이 일어납니다.
. 사랑한다고 말할 때 엄마을 바꾸어주고 변화시켜주어 사랑을 줄수 있게 해줌. (사랑을 받지 못한 자는 주지도 못한다)
. 가출한 아이의 핸드폰에 빨리 들어오라고 말도 하지 않고 단순히 사랑한다는 음성 메시지 남김 - 일찍들어옴. 성적이 떨어진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과 성적이 오른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 어느 것이 더 진정한 말?
. 자녀 사랑를 표현하는 방법, - 글로 표현, 도시락에 쪽지말.
- 뒤늦게 부모가 후회하며 자녀가 나를 통해 어떤 사랑을 배웠겠는가? 하는 죄책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것은 어느 누구도 완전한 부모가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이 고아의 아버지가 되신다고 한 것 처럼 진정한 아버지는 우리 하나님이 위로해주시고 힘이 되어 주십니다)
.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그때는 내가 몰라서 너에게 표현하지 못했다 또는 나는 이렇게 생각하여 너에게 표현하지 못했다.라고 자녀에게 진심을 말해주면 자녀에게 사랑의 회복이 일어난다.
자료원: 이기복 교수님 세미나 강의 요약
'신학자료 > 8.목회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토를 찾아라! (0) | 2007.07.22 |
---|---|
기 도 의 이 론 과 실 제 (0) | 2007.07.22 |
목회가 잘 안되는 이유 70가지 (0) | 2007.07.18 |
은사에 대한 설명 (0) | 2007.07.18 |
장례예식 (0) | 200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