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시 유의할 사항들
2007. 7. 18. 16:00ㆍ회원자료/1.휴게실
강의시 유의할 사항들
○ 대체로 말투가 너무 빠르다. 말을 조금 천천히 할 것
○ 건성건성 이야기하지 말 것. 분명하고 확고하게 전달할 것
○ 한몫에 너무 많은 것을 전달하려 하지 말 것.
○ 몇 가지 주요 중점사항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강조해서 이야기할 것.
○ 한 개인 개인에게 관심을 기울이면서 강의할 것.
- 한 사람 한사람에게 진지한 눈빛을 전달할 것.
○ 청중도의 집중력을 초기에 올려서 지속적으로 청중을 사로잡을 것.
- 적절한 시기에 강의주제와 관련한 적합한 유머로 마음을 열게 만들 것.
○ 힘들 때는 1시간 단위로 쉬면서 강의할 것.
- 중간에 심호흡이나 스트레칭을 적절히 가미할 것.
○ 적절하게 시간을 안배하고 배분할 것.
- 소극적 단체는 10분전 마무리, 적극적 단체는 10분후 종료.
○ 이지적이고 논리적으로 지성인답게 표현할 것.
○ 청강자로부터 강의 평가를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feedback 받을 것.
○ 애매하게 말하지 말고 분명하고 정확히 출처나 근거를 밝힐 것.
-모르면 모른다고 솔직하고 정확하게 말할 것
○ 진지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다.
- 딱딱하고 보수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적절한 카리스마를 갖출 것
○ 가능한 표준어를 구사하고 발음을 정확히 하도록 할 것.
○ 필요 없는 웃음이 너무 많다.
-웃음이 다소 경박스러운 부분이 있으므로 웃음소리를 고쳐볼 것.
○ 비음 섞인 목소리 (선천적?)에 문제는 없는가?
○ 좀 더 생생한 사례를 곁들여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 겸손할 필요가 있다.
○ 이름을 외우거나 불러주는 것이 좋다.
○ 이야기 중에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비판하는 말은 자제한다.
○ 외모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 이마가 너무 넓어졌다^^, 어쩔 수 없나? 강점인가?
○ 상업적인 멘트에서도 효과적인 전달력이 필요하다.
○ 보조도구를 적절히 활용할 것.
- 강의 전에 동영상이나 음악을 들려줘도 좋다
- 파워포인트, 노트북 등의 보조도구를 너무 의지하는 경우가 있다.
○ 중간중간 주제와 상관없는 이야기로 빠져드는 경우가 있다.
○ 결론부터 이야기해야 되나 서설이 길어서 결론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 두루뭉실한 대명사를 쓰는 경우가 많다.
○ 좀 더 활동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
○ 좀 더 재미있게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 좀 더 시각적인 측면에서 용이한 자료를 준비할 것.
○ 너무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신문, 인터넷 등의 최근 뉴스나 자료를 적절히 활용할 것.
○ 음의 고저를 적절히 사용해서 단조롭지 않게 한다.
○ 지쳐있는 청중을 끌어들일 아이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청중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사랑을 가질 것.
○ 속이지 않고 솔직하게 표현할 것.
○ 자신의 지식을 지속적으로 축적할 것.
○ 대체로 말투가 너무 빠르다. 말을 조금 천천히 할 것
○ 건성건성 이야기하지 말 것. 분명하고 확고하게 전달할 것
○ 한몫에 너무 많은 것을 전달하려 하지 말 것.
○ 몇 가지 주요 중점사항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강조해서 이야기할 것.
○ 한 개인 개인에게 관심을 기울이면서 강의할 것.
- 한 사람 한사람에게 진지한 눈빛을 전달할 것.
○ 청중도의 집중력을 초기에 올려서 지속적으로 청중을 사로잡을 것.
- 적절한 시기에 강의주제와 관련한 적합한 유머로 마음을 열게 만들 것.
○ 힘들 때는 1시간 단위로 쉬면서 강의할 것.
- 중간에 심호흡이나 스트레칭을 적절히 가미할 것.
○ 적절하게 시간을 안배하고 배분할 것.
- 소극적 단체는 10분전 마무리, 적극적 단체는 10분후 종료.
○ 이지적이고 논리적으로 지성인답게 표현할 것.
○ 청강자로부터 강의 평가를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feedback 받을 것.
○ 애매하게 말하지 말고 분명하고 정확히 출처나 근거를 밝힐 것.
-모르면 모른다고 솔직하고 정확하게 말할 것
○ 진지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다.
- 딱딱하고 보수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적절한 카리스마를 갖출 것
○ 가능한 표준어를 구사하고 발음을 정확히 하도록 할 것.
○ 필요 없는 웃음이 너무 많다.
-웃음이 다소 경박스러운 부분이 있으므로 웃음소리를 고쳐볼 것.
○ 비음 섞인 목소리 (선천적?)에 문제는 없는가?
○ 좀 더 생생한 사례를 곁들여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 겸손할 필요가 있다.
○ 이름을 외우거나 불러주는 것이 좋다.
○ 이야기 중에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비판하는 말은 자제한다.
○ 외모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 이마가 너무 넓어졌다^^, 어쩔 수 없나? 강점인가?
○ 상업적인 멘트에서도 효과적인 전달력이 필요하다.
○ 보조도구를 적절히 활용할 것.
- 강의 전에 동영상이나 음악을 들려줘도 좋다
- 파워포인트, 노트북 등의 보조도구를 너무 의지하는 경우가 있다.
○ 중간중간 주제와 상관없는 이야기로 빠져드는 경우가 있다.
○ 결론부터 이야기해야 되나 서설이 길어서 결론을 잊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 두루뭉실한 대명사를 쓰는 경우가 많다.
○ 좀 더 활동적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다.
○ 좀 더 재미있게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 좀 더 시각적인 측면에서 용이한 자료를 준비할 것.
○ 너무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신문, 인터넷 등의 최근 뉴스나 자료를 적절히 활용할 것.
○ 음의 고저를 적절히 사용해서 단조롭지 않게 한다.
○ 지쳐있는 청중을 끌어들일 아이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청중에 대한 따뜻한 애정과 사랑을 가질 것.
○ 속이지 않고 솔직하게 표현할 것.
○ 자신의 지식을 지속적으로 축적할 것.
'회원자료 > 1.휴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저한 강의 준비 (0) | 2007.07.18 |
---|---|
강의를 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0) | 2007.07.18 |
스피치 실력을 월등히 늘리는 5가지 비결 (0) | 2007.07.18 |
성공하는 사람들의 말하기 법칙 11가지 (0) | 2007.07.18 |
백만장자의 마인드 VS 가난뱅이의 마인드 (0) | 200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