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사의 자기 개발 ( Write : 2003/04/02 )
2007. 6. 2. 23:21ㆍ운영자자료/1.운영자 자료실 1
선교사의 자기 개발 ( Write : 2003/04/02 )
- 박기호(Fuller 교수) -
들어가는 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종교계를 막론하고 '지도력' (leadership) 문제가 요즈음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누가 공동체의 지도자 가 되느냐에 따라 공동체의 문명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선교사역의 성패도 선교사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지도자가 되고 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 차분히 덕망과 지식과 실력을 쌓아 가는 사람은 많지 않다. 덕은 있는데 실력이 부족한 사람이 있고, 지식은 있는데 덕이 부족한 사람이 있다. 또 덕과 실력은 있 는데 지도력이 부족한 사람이 있다. "추수할 것은 많으나 일꾼은 적으니 그러므로 추수하는 주인에게 청하여 추수할 일꾼들을 보내어 주소서 하 라" (마 9:37-38)하신 주님께서는 오늘도 좋은 지도자들을 필요로 하신다.
우리 모두가 좋은 지도자들이 되기를 원하신다. 선교의 성패는 선교사에 게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 각자가 좋은 선교 지도자들 이 되기 위하여 자기 개발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지도자란?
성서를 통해 보면 "지도자란 하나님께서 주신 재능과 책임을 가지고 특정 한 하나님의 사람들의 무리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여 그 무리를 위한 하나 님의 목적들을 향해 나아가도록 하는 자이다" "A person with a God-given capacity and a God-given responsibility to influence a specific group of God's people toward His purposes for the group" (J. Robert Clinton, THE MAKING OF A LEADER, Colorado Springs, Colorado: NavPress. 1988. p. 245).
흔히들 '지도자' (leader) 라고 말할 때 공적인 직책(position)이나 직위 (title)를 생각하게 되며, 한 공동체의 최고의 책임자만을 지도자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최고의 지도자들이 되기를 원하며, 최 고의 지도자가 되기 전에는 지도자가 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하고, 자기의 맡은 직책에서 최선을 다하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지도자에게 직책 이나 직위가 주어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모든 사람은 누군가의 지도자이며 누군가의 따르는 자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예을 들자면 어머니는 공적인 직책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그러나 가정에 서 어머니는 자녀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도자이다.
2. 제자들의 왜곡된 지도자관과 주님의 지도자관
가. 제자들의 왜곡된 지도자관: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님께 나와서 "무엇이든지 우리의 구하는 바를 우리 에게 하여주시기를 원하옵나이다. . . . 주의 영광 중에서 우리를 하나는 주의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앉게 하여 주옵소서"(막10:35-36). 제자들이 예수님의 좌우 편에 앉고 싶어했던 것은, 곧 지도자가 되려고 하였던 것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드리기 위한 희생적인 동기에서가 아니라 세상 사람 들처럼 사람들의 영광을 구하고, 무엇이든지 자기들 마음대로 하고 싶은 잘못된 동기에서 나온 것이었음을 주님의 꾸중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방 인의 소위 집권자들이 저희를 임으로 주관하고 그 대인들이 저희 에게 권 세를 부리는 줄을 너희가 알거니와. . ."(42절). 좋지 않은 동기에서 지도자 가 되려고 할 때 교회나 선교지가 어수선해지는데 이것은 잘못된 지도자 관 때문이다.
나. 주님의 지도자관: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아니하니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하는 자는 너희 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막 10:43-45). 주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기독교 지도자는 다른 사람들 보다 크 고자하고 으뜸이 되고자 하고 섬김을 받고자 하는 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기고 모든 사람의 종이 되고 자기 목숨을 희생할 각오를 가진 자 라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그의 교회와 그의 나라를 위해 지도자들을 세우 시는데(시75: 6-7)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지도자 자리를 탐하고 임으로 주 관하는 자세와 권세를 부리려고 하는 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과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섬기고 모든 사람의 종이 되려고 하 는 자를 지도자로 세우신다.
3. 지도자가 되는 과정
하나의 지도자가 만들어지는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과정을 거 치게 된다.
주권적 기반 영적성장 사역성숙
I-------------II-----------III---------IV-
인격성숙 수렴 축제
----------V-------VI--------I
가. 하나님의 주권적 기반 (Sovereign Foundations):
주권을 가진 하나님께서 가족, 환경, 역사적 사건들을 통하여 각 사람에게 지도자의 자질을 위한 기반을 놓으신다. 디모데 (딤후 1:1-5)/ 유대인 diaspora (행11:19-21).
나. 영적성장 (Inner-Life Growth):
사람들은 기도와 말씀의 중요성을 배우게 되며 이 단계에서 지도자 자질 이 나타나게 된다. 하나님께서 인품 개발을 위해 여러 경험들을 통하여 시험(test)하신다. 정직성 여부(딤전 1:19, 3:9; 행 23:1; 24:16), 말씀순종 여부(요14:21; 히5:14), 지도자 순종 여부(마 4:18-22; 눅 5:4-6)는 지도자 개발의 관건이다.
다. 사역성숙 (Ministry Maturing):
출현하는 지도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기 시작하며 사역에 가담하 므로 본인의 영적 은사들을 깨닫게 된다. 성실성 (faithfulness)은 사역 성숙의 척도가 된다. 하나님께서 사역시작(entry), 훈련(training), 관계 배움 (relational learning), 분별(discernment) 단계를 거쳐 지도력을 키워주신다. 하나님께서 일거리를 주시면 기쁘게 받아 충성해야 성장한 다. 눅16:10-12의 "Little-Big Principle". 예: 다윗, 요셉.
사역성숙을 위해서는 훈련을 받아야 하는데 훈련에는
1) 비정규 도제 훈련 (informal apprenticeship training),
2)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훈련 (non-formal training) - 기도, 성경공부, 소 그룹인도 등 - 그리고
3) 정 규 훈련 (formal training) - 학교 교육 등 -이 있다. 선교사들은 현재 하는 사역의 효과뿐 아니라 장래의 사역을 위해서 자기 개발을 위해 계획을 세 우고 부단히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선교사는 효과적인 사역을 위해 선 교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영적 은사들은 흔히 사역을 하게될 때 발견하게 되며 개발이 된다. 고난과 문제들은 성숙을 위한 하나님의 디딤돌이 된다. 권위 (authority), 관계 (relational), 사역갈등 (ministry conflict), 실수 (ministry backlash), 영적싸움(spiritual warfare), 믿음도전 (faith challenge), 기도도전 (prayer challenge), 영향도전(influence challenge) 등을 통하여 성숙 한다.
( 가, 나, 다 단계에서는 하나님께서 주로 부상하는 지도자를 통한 사역의 활동이나 열매 보다 그 지도자의 속 사람의 성장을 위해 일하신다. )
라. 인격성숙 (Life Maturing):
본인의 영적 은사를 확인하고 사용하므로 사역에 만족을 느낀다. 사역의 열매도 생기고 고난 갈등 등의 의미도 깨닫고 사역이 기술이 아닌 인격에 서 흘러나오는 것을 실감하고 하나님을 더욱 깊이 의지한다. "Ministry flows out of being." 좋은 열매를 맺기 위해 먼저 좋은 나무가 되어야 한다 (눅 6:43-45).
고립 (Isolations), 갈등 (conflicts), 생의 위기 (life crises) 등은 인간 성숙을 위해 하나님께서 허용하시는 것들이다.
마. 수렴 (Convergence):
하나님께서 지도자의 은사와 경험에 부합하는 일을 하게 하심으로 사역 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하신다. 지도자가 자기의 은사와 경험에 따라 사역을 하는 본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는 이유는 본인이 자기의 은사를 모 르거나 알지라도 욕심 때문에 결단을 못 내려서 그런 수가 있고 혹은 조직 이나 상관 (supervisor)이 그를 그의 은사를 따라 사역하도록 놓아두지 않고 조직이나 개인의 목적을 위해 붙잡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바. 축제 (Afterglow or Celebration):
이 단계는 지도자가 자기의 사역의 열매를 보며 기쁨을 누리는 단계이다.
6. 자기개발에 힘쓴 성서 지도자들
출현하는 지도자들에 대한 기성 지도자들의 태도가 훌륭한 지도자들을 길 러내는데 관건이 된다. 기성 지도자는 출현하고 성장하는 지도자의 지도력 과 성장을 크게 도울 수 있고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부정적인 예: 사울
긍정적인 예: 요셉 / 다윗
나가는 말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각 분야는 훌륭한 지도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교 회는 목회자의 성숙도 이상으로 성장할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선교의 성 패도 선교사의 성숙도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선교사들은 부단히 자기 개 발에 힘써야 한다. 자기사 성장해야 다른 사람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지 도자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인 줄 알고 지도자의 위치를 확보하려는 노 력보다 자신의 실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자신의 지도력 향상을 위해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자신의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특히 목회 사역은 기술에 의하여 되어 지는 것이 아 니라 인격에서 흘러나오는 것 (Ministry flows our of being)이라는 사실 을 알고 다른 노력과 함께 자신의 신앙인격 성숙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 한다
- 박기호(Fuller 교수) -
들어가는 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종교계를 막론하고 '지도력' (leadership) 문제가 요즈음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누가 공동체의 지도자 가 되느냐에 따라 공동체의 문명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선교사역의 성패도 선교사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지도자가 되고 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 차분히 덕망과 지식과 실력을 쌓아 가는 사람은 많지 않다. 덕은 있는데 실력이 부족한 사람이 있고, 지식은 있는데 덕이 부족한 사람이 있다. 또 덕과 실력은 있 는데 지도력이 부족한 사람이 있다. "추수할 것은 많으나 일꾼은 적으니 그러므로 추수하는 주인에게 청하여 추수할 일꾼들을 보내어 주소서 하 라" (마 9:37-38)하신 주님께서는 오늘도 좋은 지도자들을 필요로 하신다.
우리 모두가 좋은 지도자들이 되기를 원하신다. 선교의 성패는 선교사에 게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 각자가 좋은 선교 지도자들 이 되기 위하여 자기 개발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지도자란?
성서를 통해 보면 "지도자란 하나님께서 주신 재능과 책임을 가지고 특정 한 하나님의 사람들의 무리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여 그 무리를 위한 하나 님의 목적들을 향해 나아가도록 하는 자이다" "A person with a God-given capacity and a God-given responsibility to influence a specific group of God's people toward His purposes for the group" (J. Robert Clinton, THE MAKING OF A LEADER, Colorado Springs, Colorado: NavPress. 1988. p. 245).
흔히들 '지도자' (leader) 라고 말할 때 공적인 직책(position)이나 직위 (title)를 생각하게 되며, 한 공동체의 최고의 책임자만을 지도자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최고의 지도자들이 되기를 원하며, 최 고의 지도자가 되기 전에는 지도자가 되지 못한 것으로 생각하고, 자기의 맡은 직책에서 최선을 다하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지도자에게 직책 이나 직위가 주어지는 것이 사실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니다. 모든 사람은 누군가의 지도자이며 누군가의 따르는 자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예을 들자면 어머니는 공적인 직책을 가진 사람이 아니다. 그러나 가정에 서 어머니는 자녀들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지도자이다.
2. 제자들의 왜곡된 지도자관과 주님의 지도자관
가. 제자들의 왜곡된 지도자관: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님께 나와서 "무엇이든지 우리의 구하는 바를 우리 에게 하여주시기를 원하옵나이다. . . . 주의 영광 중에서 우리를 하나는 주의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앉게 하여 주옵소서"(막10:35-36). 제자들이 예수님의 좌우 편에 앉고 싶어했던 것은, 곧 지도자가 되려고 하였던 것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드리기 위한 희생적인 동기에서가 아니라 세상 사람 들처럼 사람들의 영광을 구하고, 무엇이든지 자기들 마음대로 하고 싶은 잘못된 동기에서 나온 것이었음을 주님의 꾸중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방 인의 소위 집권자들이 저희를 임으로 주관하고 그 대인들이 저희 에게 권 세를 부리는 줄을 너희가 알거니와. . ."(42절). 좋지 않은 동기에서 지도자 가 되려고 할 때 교회나 선교지가 어수선해지는데 이것은 잘못된 지도자 관 때문이다.
나. 주님의 지도자관:
"너희 중에는 그렇지 아니하니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하는 자는 너희 를 섬기는 자가 되고 너희 중에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하리라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막 10:43-45). 주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기독교 지도자는 다른 사람들 보다 크 고자하고 으뜸이 되고자 하고 섬김을 받고자 하는 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 들을 섬기고 모든 사람의 종이 되고 자기 목숨을 희생할 각오를 가진 자 라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그의 교회와 그의 나라를 위해 지도자들을 세우 시는데(시75: 6-7) 자신의 영광을 위하여 지도자 자리를 탐하고 임으로 주 관하는 자세와 권세를 부리려고 하는 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영광과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섬기고 모든 사람의 종이 되려고 하 는 자를 지도자로 세우신다.
3. 지도자가 되는 과정
하나의 지도자가 만들어지는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정과정을 거 치게 된다.
주권적 기반 영적성장 사역성숙
I-------------II-----------III---------IV-
인격성숙 수렴 축제
----------V-------VI--------I
가. 하나님의 주권적 기반 (Sovereign Foundations):
주권을 가진 하나님께서 가족, 환경, 역사적 사건들을 통하여 각 사람에게 지도자의 자질을 위한 기반을 놓으신다. 디모데 (딤후 1:1-5)/ 유대인 diaspora (행11:19-21).
나. 영적성장 (Inner-Life Growth):
사람들은 기도와 말씀의 중요성을 배우게 되며 이 단계에서 지도자 자질 이 나타나게 된다. 하나님께서 인품 개발을 위해 여러 경험들을 통하여 시험(test)하신다. 정직성 여부(딤전 1:19, 3:9; 행 23:1; 24:16), 말씀순종 여부(요14:21; 히5:14), 지도자 순종 여부(마 4:18-22; 눅 5:4-6)는 지도자 개발의 관건이다.
다. 사역성숙 (Ministry Maturing):
출현하는 지도자는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기 시작하며 사역에 가담하 므로 본인의 영적 은사들을 깨닫게 된다. 성실성 (faithfulness)은 사역 성숙의 척도가 된다. 하나님께서 사역시작(entry), 훈련(training), 관계 배움 (relational learning), 분별(discernment) 단계를 거쳐 지도력을 키워주신다. 하나님께서 일거리를 주시면 기쁘게 받아 충성해야 성장한 다. 눅16:10-12의 "Little-Big Principle". 예: 다윗, 요셉.
사역성숙을 위해서는 훈련을 받아야 하는데 훈련에는
1) 비정규 도제 훈련 (informal apprenticeship training),
2)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훈련 (non-formal training) - 기도, 성경공부, 소 그룹인도 등 - 그리고
3) 정 규 훈련 (formal training) - 학교 교육 등 -이 있다. 선교사들은 현재 하는 사역의 효과뿐 아니라 장래의 사역을 위해서 자기 개발을 위해 계획을 세 우고 부단히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선교사는 효과적인 사역을 위해 선 교에 대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영적 은사들은 흔히 사역을 하게될 때 발견하게 되며 개발이 된다. 고난과 문제들은 성숙을 위한 하나님의 디딤돌이 된다. 권위 (authority), 관계 (relational), 사역갈등 (ministry conflict), 실수 (ministry backlash), 영적싸움(spiritual warfare), 믿음도전 (faith challenge), 기도도전 (prayer challenge), 영향도전(influence challenge) 등을 통하여 성숙 한다.
( 가, 나, 다 단계에서는 하나님께서 주로 부상하는 지도자를 통한 사역의 활동이나 열매 보다 그 지도자의 속 사람의 성장을 위해 일하신다. )
라. 인격성숙 (Life Maturing):
본인의 영적 은사를 확인하고 사용하므로 사역에 만족을 느낀다. 사역의 열매도 생기고 고난 갈등 등의 의미도 깨닫고 사역이 기술이 아닌 인격에 서 흘러나오는 것을 실감하고 하나님을 더욱 깊이 의지한다. "Ministry flows out of being." 좋은 열매를 맺기 위해 먼저 좋은 나무가 되어야 한다 (눅 6:43-45).
고립 (Isolations), 갈등 (conflicts), 생의 위기 (life crises) 등은 인간 성숙을 위해 하나님께서 허용하시는 것들이다.
마. 수렴 (Convergence):
하나님께서 지도자의 은사와 경험에 부합하는 일을 하게 하심으로 사역 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하신다. 지도자가 자기의 은사와 경험에 따라 사역을 하는 본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는 이유는 본인이 자기의 은사를 모 르거나 알지라도 욕심 때문에 결단을 못 내려서 그런 수가 있고 혹은 조직 이나 상관 (supervisor)이 그를 그의 은사를 따라 사역하도록 놓아두지 않고 조직이나 개인의 목적을 위해 붙잡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바. 축제 (Afterglow or Celebration):
이 단계는 지도자가 자기의 사역의 열매를 보며 기쁨을 누리는 단계이다.
6. 자기개발에 힘쓴 성서 지도자들
출현하는 지도자들에 대한 기성 지도자들의 태도가 훌륭한 지도자들을 길 러내는데 관건이 된다. 기성 지도자는 출현하고 성장하는 지도자의 지도력 과 성장을 크게 도울 수 있고 큰 장애가 될 수 있다.
부정적인 예: 사울
긍정적인 예: 요셉 / 다윗
나가는 말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각 분야는 훌륭한 지도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교 회는 목회자의 성숙도 이상으로 성장할 수 없다는 말이 있듯이 선교의 성 패도 선교사의 성숙도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선교사들은 부단히 자기 개 발에 힘써야 한다. 자기사 성장해야 다른 사람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지 도자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인 줄 알고 지도자의 위치를 확보하려는 노 력보다 자신의 실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자신의 지도력 향상을 위해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자신의 성장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특히 목회 사역은 기술에 의하여 되어 지는 것이 아 니라 인격에서 흘러나오는 것 (Ministry flows our of being)이라는 사실 을 알고 다른 노력과 함께 자신의 신앙인격 성숙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여야 한다
'운영자자료 > 1.운영자 자료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함마드의 생애와 사상 ( Write : 2003/04/03 ) (0) | 2007.06.02 |
---|---|
샤리아 (회교 율법) ( Write : 2003/04/03 ) (0) | 2007.06.02 |
복음화율이 낮은 10개 국가 (0) | 2007.06.02 |
101가지 세계선교를 돕는 창의적 아이디어들 (0) | 2007.06.02 |
회개 용어의 정리 (0) | 2007.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