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 연표

2006. 1. 28. 21:02교회사자료/1.기독교회사

439 북위, 북량을 멸망시키고 화북통일, 남북조 대립의 형세 시작
  446 북위 태무제, 불교 탄압
  460 북위 담요, 운강석굴 개착
  461 송, 사족의 잡혼 금지
  463 북위, 귀족과 백공의 혼인 금지
  483 북위 효문제, 동성통혼 금지, 한화 정책 개시
  485 효문제, 이안세의 건의로 균전법 실시
  493 효문제, 평성에서 낙양으로 천도
  494 북위, 용문석굴 개착, 호복착용 금지
  499 북위, 왕소 백관의 관품을 제정 (정, 종 9품)
  523 북위, 6진의 난 발생
  532 북위 고환, 효무제 추대
  534 효무제, 장안의 우문태에게 도망갔다가 독살당함. 고환, 효정제 추대하고
      동위 정권 수립
  535 우문태, 문제 추대하고 서위 건국
  550 고양, 쿠데타로 북제 건설, 동위 멸망. 우문태, 부병제 시행
  557 우문각, 황제 칭하고 북주 건국, 양 멸망
  575 천태종 창시
  577 북주, 북제 멸망시킴
  581 양견, 황제를 칭하고 수 건국. 민의 출가를 허락
  582 장안에 대흥성 건축
  584 광통거 개착
  585 164만여 명의 부역회피자 검색
  587 과거제 시행
  589 수, 진을 멸하고 중국 재통일
  593 국사의 사찬 금지
  595 향관, 구품중저제 폐지
  598 병력 30만으로 고구려 원정 실패
  605 통제거와 우구 개통. 장안--강도, 40여개 소에 이궁 축조. 서원축조
  606 동경의 완성. 낙구창과 희낙창 축조
  608 당시 군 190, 현 1,255,  호 890만, 인구 4,602만
  609 대운하 완성
  611 산동, 하남을 중심으로 농민 반란
  612 양제의 제1차 고구려원정, 실패
  613 제2차 고구려 원정, 실패
  614 제3차 고구려 원정 실패. 이후 각지에 군웅 할거
  617 양제, 살해됨. 이연, 당건국
  621 개원통보 발행. 장안, 낙양 등에 조로아스터교 사원 건립 허용
  624 무덕율령 공포 (관제를 3공 6소 9시로 하고 균전, 조용조법을 제정)
  626 현무문의 변으로 이세민 즉위
  627 정관의 치
  628 당의 통일 완성. 거란, 당에 복속
  629 현장, 서역행
  635 페르시아인 오르본이 경고 전파
  640 고창국 정벌. 태종, 공영달에게 (5경정의) 편찬 명함
  643 신라, 당에 원군 청함
  645 태종, 고구려 원정, 요동성을 함락했으나 패퇴
  651 사라센 사신에 의해 이슬람교 전해짐
  660 측처무후의 섭정시작
  668 고구려 멸망, 안동도호부 설치
  676 안동도호부를 요동으로 옮기고 한반도 완전 지배 포기
  684 장회태자 사망
  690 무후가 당을 멸하고 주를 세움
  694 마니교 전래

  702무과를 설치
  703 중종 복위, 당의 부활. 무후 병사. 당시 호 615만
  710 최초의 절도사 (하서절도사) 설치, 이후 721년가지 변경 10절도사 성립
  713 개원의 치. 대조영을 바해군왕에 봉함
  714 사적에 비로서 시박사가 나타남
  726 '개원의 치' 의 전성기. 호 706만, 인구 4,141만
  742 안녹산, 평로절도사가 됨
  745 현종, 양태진을 귀비로 삼음
  747 고선지, 탈라스 강변에서 사라센 군에 대패, 종이 제조법 서방 전달
  754 호 906만, 인구 5,288
  755 안사의 난 수습
  756 호 292만, 인구1,692만
  780 양영의 건의로 양세법 실시
  781 대진경교유행중국비 세워짐
  792 환관을 내추밀사에 임용, 군사 모의에 참여케함 (이때부터 환관의 전권)
  820 무종의 폐불 (불교의 금지, 사원 파괴, 승려의 환속)
  857 현존 중국 최고의 목조건축물 오대산 불광사 완공
  868 현존 중국 최고의 인쇄물인 (금강경) 인쇄
  875 황소의 난 바랄. 각지에 절도사 할거
  880 황소군, 낙양, 장안 점거
  882 주전충, 당에 항복
  884 황소, 패사함
  907 주전층, 황제 즉위하여 후량건국, 변경(개봉)에 도읍. 거란의 아율아보기,
      칸이 됨
  910 오월, 항주성 수축, 항주는 이때부터 대도회지로 됨
  916 아율아보기, 황제칭함
  926 거란, 발해를 멸망
  936 하동절도사 석경당, 후당을 멸망시키고 후진을 건국, 이때 거란원조의 대가로 연운 16주를 떼어주고 신하의 예로 대함
  940 이무렵 사천지방에 문화가 발달, 출판사업 성행
  954 후주의 세종, 강력한 중앙 집권책
  958 후주의 남당 토벌, 양자강 이북 점령. 이때 조광윤이 두각을 드러냄
  959 세종 북벌, 연운 16주 일부 탈환했으나 병사.
  960 조광윤, 후주를 멸하고 송 창건
  961 석수신 등으로부터 군사지휘권 회수
  964 차 전매법 실시
  971 처음으로 광주에 시박사 설치. 이어 항주에도 설치.
  973 전시, 처음으로 실시
  977 절도사의 임명권 회수, 절도사 관할의 속주를  중앙에 직속
  973 장서 8만 권의 승무원 설치
  979 북한을 멸망시켜 중국통일 완성
  984 여진 부족, 거란에 복속됨
  993 강남에서의 보리, 콩 재배 장려, 이무렵 조도와 만도의 구별이 존재

 

  1004 전연의 맹
  1012 점성도 수입, 강남, 회남, 양절의 등지에 보급
  1022 한전법 실시, 관호 형세호의 토지소유를 제안하려 했으나 곧 철회
  1023 당시 일반에 유통되었던 지폐를 흡수, 공식화. 교자무 설치
  1032 탕구르 족의 이원호 자립, 서하 건국, 해마다 송 침공, 막대한 피해 줌
  1034 이 무렵 남방출신 관료의 진출이 두드러짐
  1038 이 무렵 시(市) 방(坊)제 거의 붕괴 
  1041 필승, 활자 발명
  1044 서하와 화친
  1069 왕안석, 균수, 청묘법 등 신법 실시
  1074 심괄, 제거사천감이 됨
  1080 이 무렵 소주에 쌀, 보리 2모작 행해짐
  1085 사마광 등 구법당, 모든 신법 철폐
  1102 호 2,020만. 남중국과 북중국간의 비율은 약 6.5 대 3.5
  1115 여진족의 아골타, 황제를 칭함. 금의 발흥
  1118 송, 금과 요 협공의 맹약 체결
  1121 방납의 난 진정. 양산박의 송강 투항
  1122 송의 연경 공략 실패, 금의 성공
  1125 요, 금에 멸망당함
  1126 금의 개봉함락
  1127 금, 휘종, 흠종 등 사로잡아 철수. 북송 멸망, 남송 시작
  1130 한세충과 악비, 수차례 금군 격파
  1132 요의 유족 아율대석, 투르케스탄에 서요국 건설
  1138 임안(항주)를 수도로 정함
  1141 진희, 항전파 악비등 옥사시킴
  1142 금과의 화약, 남송이 신하의 예를 갖춤. 금, 여진인 100만 명 화북 이주
  1161 회자 유통
  1161 금의 최성기 세종 즉위, 이무렵 몽고 고원에서 테무진 탄생
  1175 주희와 육구연의 이학 토론
  1194 황하 범람, 산동반도 두 줄기로 흐름이 나뉨
  1199 이 무렵 양자강 하류지역을 중심으로 항조운동 빈발
  1206 테무진, 몽고부족을 통일하여 칭기스 칸으로 즉위
  1215 몽고, 금의 수도인 연경 함락
  1219 칭기즈 칸의 서역원정 시작. 호라즘 왕국 정벌
  1224 차가타이, 오고타이 한국 건설
  1225 몽고, 서하를 멸함. 칭기즈 칸 사망
  1234 금, 송과 몽고 연합군에 멸망
  1237 몽고, 역참제  비. 바투 원정군, 모스크바 점령
  1243 킵차크 한국 건설
  1258 훌라구, 압바스 왕조 멸망시킴. 일한국 건설
  1260 쿠빌라이 칸 즉위
  1265 하이두의 난
  1269 마르코 폴로, 동방여행길에 오름
  1271 몽고, 국호를 원으로 개칭
  1274 고려와 일본원정
  1279 남송 멸망
  1280 곽수경, 수시력 시행
  1293 자바 원정
  1303 하이두의 아들 항복, 하이두의 난 종식
  1307 무종 즉위, 황실을 중심으로 라마교 성행
  1346 이븐 바투타, 천주 경유, 대도에 도착
  1351 홍건적의 난 발발. 점차 주원장이 두각
  1361 홍건적, 고려의 개경을 함락시킴
  1368 주원장, 명을 건국
  1373 대명률을 제정
  1402 연군, 남경 점령, 혜제 분사하고 연왕 즉위(성조, 영락제)
  1405 환관 정화의 제 1차 남해 원정
  1414 영락제의 오이라트 친정
  1421 북경으로 천도
  1435 환관 왕진, 사례감이 됨
  1449 토목의 변
  1479 명군, 조선과 함께 여진과 싸움
  1483 타타르, 명군을 격파


'교회사자료 > 1.기독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世界史 年代表  (0) 2006.04.22
敎會史 硏究  (0) 2006.04.08
한국과 세계의 역사 연표  (0) 2006.01.15
간추린 세계사  (0) 2006.01.03
이집트(애굽)문명 (BC3000- BC332)  (0) 200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