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 네시아 (멀로 네시아)와 무 대륙
2005. 12. 29. 00:14ㆍ일반자료/1.일반자료
(1)
태평양에는 세 분류의 '네시아'가 있다. [ 지도 ] 3개의 네시아가 있는 '오세아니아(대양주:大洋洲)'는 '큰 바다'라는 뜻으로 넓은 의미로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태평양 지역의 섬을 뜻한다. 좁게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멜라네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 지역을 의미한다. 오세아니아의 수역(水域) 면적은 약 7000만km2에 이르고, 그 안에 1만 개 이상의 크고 작은 섬이 산재해 있다. 이 지역은 에스파냐,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독일 등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적도 이북의 모든 섬들은 미국의 신탁통치령이 되었다. 1962년 서(西)사모아가 독립한 이후 나우루, 통가, 피지,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투발루 등이 독립국가가 되었다. 1.폴리네시아(폴로네시아:Polynesia) 폴로는 '많다'는 뜻으로, 하와이, 사모아, 쿠크 섬 등이 대표적이다. 폴로네시아는 오세아니아 동쪽 해역에 분포하는 수천 개 섬들로 이루어졌으며, 섬들의 분포된 지역은 태평양의 거의 반을 차지한다. 낮은 섬들은 대부분 산호초로 이루어져 바다와 섬이 아름답고, 높은 섬들은 거의가 새로운 현무암 화산이다. 이 지역에는 1962년 미국령을 제외한 사모아국가, 1970년 통가국가, 1978년 투발루국가(엘리스 제도) 등의 독립국도 생겼다. 주민은 아시아인이 옮겨간 폴리네시아인(人)이며, 언어는 남서단의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가 최북단 하와이의 카나카족에게 까지 통하는 동질성을 보여주며, 공용어는 주로 영어이다. 방사성탄소에 의한 연대측정(카본데이팅)에 의한 거주 연대는 가장 오래된 것이 르키즈의 BC 150년경, 이스터섬 4세기경, 하와이가 9세기, 뉴질랜드가 14세기경으로 추정된다. '폴로 네시아'는 갈색 피부에 코가 높고 잘생기고 균형 잡힌 몸매에 그 중에 가장 문명인이며, 하와이에 '폴로 네시아' 민속촌이 있다. ![]() 폴리네시아계에 이스터 섬이 있다. 이 섬은 1722년4월5일 부활절(Easte)에 발견되어 이런 이름이 되었다. 이스터는 스페인어로는 파스쿠아(Pascua)인데, 그래서 파스쿠아섬 이라고도 한다. 섬은 화산섬이나 활화산은 없고 검은 화성암으로 섬 전체가 검고 야자나무 숲이 없어 황야 한 들판이다. 이 섬에 거석(거대한 석상)이 약2000개정도 있는데, 이를 '모아이'라고 한다. 이 거석을 만든 사람은 어디로 갔는지? 왜 만들었는지? 어떻게(큰 것은 20톤) 운반했는지? 불가사의한 일이다. 7개의 거대한 석상이 특이하다. 이 거석은 무우 대륙 때 만들어 졌다고, 주장하는 이도 있고 여러 설이 있으며, 현재는 칠레령이다. 폴로네시아의 망가이족은 성욕이 대단하여 하루에 3번 30세가 넘어가면 2번이라고 한다. 오래 전에 읽은 기억으로 미국여성 인류학자가 연구 차 폴로네시아 망가이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한 남자와 같이 살기도 하였는데 그들은 식사 후에 습관적으로 성관계를 가졌다고 한다. 같이 산 남자가 잠시 미국에 와서 같이 있을 때에 그도 미국인처럼 닮아갔다고 한다. 그녀는 성이 음식이나 체력에 의한 것보다 환경과 관습에 의한 정신적 작용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2.미크로네시아(마이크로네시아:Micronesia) 미크로는 '작다'는 뜻으로, 폴로네시아 와 멀로네시아의 혼합 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곳은 16세기 스페인에 의해 처음 발견된 이래 19세기 말까지 에스파냐의 영향하에 있었다. 미크로 네시아는 필리핀 동쪽 서태평양상에 위치하며 약 800㎢의 면적 약2000개의 섬으로 이루어졌다. 작은 섬들은 대부분 산호초로 이루어져 바다와 섬이 아름답다. 이곳에는 1983년에 독립하여 '팔리키르'를 수도로 하는 미크로네시아연방공화국있다. 1947-89년까지 미국의 신탁통치령으로 있었기 때문에 공용어는 영어를 사용한다. 미크로네시아는 캐롤라인제도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얍 섬, 마이살 군도 등 있다. 얍 섬의 돌 화폐는 다음 장 '돈 이야기'속에 있다. 주로 갈색 피부이지만 다양하다. 종족은 주로 캐너커 족이다. |
![]() <이스터섬의 모아이> |
3.멜라네시아(멀로네시아: Melanesia) 오스트레일리아 북동쪽 남태평양의 약 180°경계선에 연이어 있는 섬들을 말하며, 오세아니아(대양주)의 일부로 뉴기니섬, 비스마르크제도, 솔로몬제도, 피지제도 등이 포함하며 뉴기니를 비롯하여 대형 섬이 많다. 이곳은 열대우림기후지역으로 대부분의 섬에는 화산이 있으며, 해안은 산호초에 둘러싸이거나 숲(맹그로브)으로 뒤덮여, 통행에 지장을 받는 곳도 있다. 주민의 대부분은 원주민인 태평양 흑인인 멜라네시아인으로 세 가지 타입이 있다. 하나는 150cm인 순박한 흑인의 왜소인종이라 '피그미'라고 부르며, 뉴기니의 서부 및 내부에 산다. 이들을 파푸아인 및 멜라네시아인 중에 신체발육불량자로 보는 학자도 있으며 금속은 없으며, 지금도 석기시대의 생활을 하고 있다. 또 하나는 파푸아인은 뉴기니의 주요 종족으로 단일종족은 아니고 혼혈이 많다. 일반적으로 검은 고수머리, 흑색 또는 암갈색의 피부, 돌출한 이마를 하고 있다. 이들은 방언이 심하여 이웃마을과도 언어가 소통되지 않을 정도이며 옷은 입지 않고 몸에 문신과 치장을 많이 한다. 해안지방에서는 피진영어(Pidgin English)를 쓰며 지금도 석기시대의 생활을 한다. 남은 하나는 좁은 의미의 멜라네시아인으로 동부와 북부의 해안지대에 살고 있으며, 이들은 말레이인과 가까운 관계에 있다. 멜라네시아인들은 원주민인 피그미나 파푸아인들을 오지로 쫓아버렸으며, 이들과 피그미 및 파푸아인과 의 사이에 혼혈로 인하여 여러 인종이 생겨난 것으로 본다. 멜라네시아인은 가장 못생기고 문명도 아직까지 석기생활하며 가장 뒤떨어졌다. ![]() 우리가 흔히 '금지하다'를 뜻으로 쓰는 터부(taboo)란 말은 지역을 다스리는 추장이 여러 가지 금령(禁令)을 발하여 행동을 제약하여 왔는데 이것을‘타부(tabu/tapu)'라고 한다. 이 단어는 1777년 영국 선장 J.쿡이 여행기에 쓴 이후 영어가 되었다. 또 멜라네시아 일대에서 추장이나 무당에게서 비를 내리거나 또는 강적을 물리친 무기에 초자연적이 힘이 있다고 믿는 것을 마나(Mana)라고 한다. 아메리카인디언들 사이에 존재하는 마니토이즘(manitoism)도 일종의 마나이다. 이 단어는 1891년 영국의 민족학자 R.H.코드링턴이 저서 '멜라네시아인(人)'에서 처음으로 소개하여 유명해졌다. ![]() 이 지역에는 카니발리즘(cannibalism)이라는 인간의 고기 즉 인육을 먹는 관습을 말하며 최근까지도 행하여졌다. 카니발리즘은 오랜 옛날부터 세계 각지에서 행하여 졌으며 뉴기니, 중앙아프리카, 멜라네시아, 호주,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폴리네시아, 수마트라의 바타쿠족, 남북아메리카의 여러 부족, 그리고 다른 지방에서 볼 수 있었다. 전쟁의 승리자가 또는 복수하기 위하여 먹는 경우는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외에도 많았다. 종교의례가 가장 많았으며 효행 등으로 이유로도 먹었다. 파푸아인(전부 식인종)과 그 외에 많은 종족이 먹은 사람의 영혼과 힘을 얻는다는 주술적 의미로 신체의 일부를 많이 먹었다. 식용으로도 사용하였는데 수마트라의 바타쿠족은 네덜란드가 지배하기 전에는 인육을 시장에서 매매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중국의 공자도 인육을 즐겨 먹었다고 한다. 카니발리즘은 그들이 문명을 받아드리고 점차 사라지고 현대에서는 간혹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참고로 인간의 고기을 먹은 것은 아니지만, 에스키모는 캐나다 인디언들이 ‘날고기를 먹는 인간'이라는 뜻으로 그렇게 불렀으나, 자신들은 '이뉴잇( Innui t :인간)이라고 불렀다. |
![]() <폴리네시아의 민속춤> |
![]() 3개의 '네시아'가 하나의 대륙이 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영국의 제임스처치워드 인데, 그의 저서 '잃어버린 무우(Mu-무)대륙(1926년)'에서 처음 주장하여 고고학계를 놀라게 하였다. 그는 인도에서 이 대륙에 대한 전설을 확인 작업 중에 점토 판(토판)을 해독하여 실제로 *태평양속에 문명의 대륙이 있다는 것을 믿게 되였다. 그의 주장은 무우 대륙의 동쪽은 이스터 섬, 서쪽은 마리아나 제도, 남쪽은 쿠크 제도, 북쪽은 하와이이고 동쪽과 서쪽사이는 8000Km이며, 남쪽과 북쪽사이는 5000Km 여서 지금의 태평양의 1/2 크기 해당한다고 한다. 약 5만전에 하나의 왕과 하나의 정부이었고 인종은 여러 갈래라고 하며, 우수한 문화와 건축 그리고 항해에 능하였다고 한다. 인구는 6천만이 넘었고 풍족한 생활을 하여 날로 번창하던 어느 날, 산이라고 없는 이 대륙에 지진과 화산 폭발이 일어났으며, 해일까지 일어나 대륙은 두 번에 걸쳐 갈라지면서 점점 태평양 속으로 사라졌다. 이것이 약 1만5천년 전일이라고 한다. 이 이야기는 힌두사원서 가지고온 토판을 해석한 내용이므로 사실의 확률이 높다. 무우 대륙은 지대가 낮아 노아 홍수 때 사라졌다고 하는 학자도 있다. ![]() 1522년 마젤란이 110일간의 세계일주를 하는 중에 남미 포클랜드 근방을 항해할 때 심한 폭풍을 만나 고생 끝에 현재의 마젤란해협을 통과하자 바다는 고요하였다. 마젤란이 감격하여 'Mare Pacificum(평화, 태평의 뜻)'라고 부른 것이 유래이다. 그 후 청나라에 이탈리아 선교사 마테오릿치가 동양최초의 세계지도 '곤여만국지도'를 간행할 때에 '태평해'라고 표기한 것이 정식 명칭이 되었다. ![]() 대서양의 이름은 신화 아틀라스(Altas)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페르세우스가 괴물 고르곤을 물리치고 돌아오는 길에 아틀라스에게 하루 밤잠자리를 구하였으나 아틀라스는 거절하였다. 화가 난 페르세우스가 고르곤의 머리를 보여주자 아틀라스는 놀라서 돌로 변하였다. 이것이 아틀라스 산맥이며, 아프리카 북서부 알제리와 모르코에 걸쳐 있고, 이 산맥의 앞 바다는 대서양(Atlantic Ocean-아틀라스 바다)이 되었다. ![]() 인도양(India Ocean)은 인도의 바다, 인도나라의 이름이 바다의 이름이 되었다. 참고로 인도네시아는 인도의 섬이라는 뜻인데 유럽사람들이 이 섬들이 인도의 부속 섬으로 잘못 알고 붙인 이름이다. 그리고 5대양은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남극해와 북극해이다. 북극해의 얼음은 물이 얼어 된 것이 아니고 눈이 쌓여서 압축된 것이라고 한다. 북극해는 육지가 없다고 한다. |
'일반자료 > 1.일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리 1000여가지 모음 (요리법 검색) (0) | 2005.12.31 |
---|---|
기능에 따른 자동차의 종류 (0) | 2005.12.29 |
돈과 여러가지 이야기 (0) | 2005.12.29 |
무료 문자 사이트 입니다 (추천) (0) | 2005.12.28 |
순 우리말 사전 (0) | 2005.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