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1. 4. 23:19ㆍ선교자료/4.선교회화
코이네 헬라어 역사
1. 사용인구 : 그리스 본토와 키프로스를 중심으로 약 1100만명이 사용
2. 최초의 기록 :
Linear B 문자의 기록 (1450-1400 B.C.)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크레테(Crete)의 크노소스(Knossos)와 그리스 본토의 필로스(Pylos), 미케네(Mycaene)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기록된 문서로서 1952년 벤트리스(M. Ventris)에 의해 해독이 되었다. 이전의 문자로 Linear A 문자가 있으나 아직까지 해독되지 않고 있으며 다만 이 문자 역시 헬라어로 추정되고 있다. 최초의 알파벹 기록은 720 B.C.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디필론(Dipylon)에서 발견된 토기 위의 기록이다
3. 언어계통 : 헬라어는 인도어, 이란어, 슬라브어, 라틴어, 게르만어등과 함께 인도 유럽어족에 속한다.
4. 그리스의 선주민 (Pre-Greeks)
그리스인들이 그리스 본토에 이주한 것은 대략 B.C. 16세기 경으로 추정된다. 이때에 이미 그리스 땅에는 문명화된 선주민들이 있었는데 이들이 어떠한 민족인가에 대하여서는 여러가지 학설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고 다만 흑해연안 쪽에서 이주한 인도 유럽족의 한 갈래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이 헬라어에 남긴 언어적인 흔적은 여러 지명에 나타나고 있다.
-nqo 로 끝나는 지명 (Zakunqo" , Korinqo" )
-sso, -tto 로 끝나는 지명 (Knosso", Parnasso", jUmhtto" )
5. 헬라어의 시대구분
1) Proto-Greek : 3000 - 2000 B.C.
2) Classical Greek : 1400 - 300 B.C.
3) Alexandrian Koine : 300 B.C. - A.D. 300/ 6 C.
(성경헬라어가 이 시기에 속하며 학자에 따라 그 하한연도를 A.D. 300 년이나 아니면 6세기로 잡는다)
4) Medieval!! Greek : 6 C. - 18 C.
(1) Early Middle Age : 6 C - 12 C.
(2) Later Middle Age : 12 C. -15 C.
(3) Turkish Period : 15 C. - 18 C.
5) Modern Greek : 19 C. - 현재
6. 고전 그리스어의 방언
고대 그리스의 각 도시국가들은 정치적으로 독립을 유지하고 있었고 또한 언어적으로도 구분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라틴어와는 달리 고대 그리스의 문헌들은 다양한 방언적 차이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고대 그리스의 방언들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1) Attic-Ionic 방언
아테네를 중심으로 한 아틱반도와 소아시아의 남부 해안지역인 이오니아 지방에서 쓰였으며 특히 이오니아 방언은 호머의 서사시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 아틱방언은 알렉산더 이후 koine 라고 하는 공통방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2) Aeolic 방언
소아시아의 동북구 지역과 본토의 테살리아(Thessalia)와 비오티아(Boeotia)지방에서 쓰였으며 호머의 서사시에 중요한 요소로 등장한다. 특히 사포(Sappho)를 비롯한 서정시인들의 언어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 방언은 다시 레스비아(Lesbian), 테살리아(Thessalian), 비오티아(Boeotia) 방언으로 세분화 된다.
3) Arcado-cypriot 방언
펠로폰네소스의 중앙 산간지역과 키프러스에서 사용되던 방언으로 원래는 전 펠로폰네소스와 남부 에게해 섬에서 쓰였던 듯하나 도리아족의 침입에 의해 펠로폰네소스의 해안지방과 크레테, 로도스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 방언은 Linear B 문자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추정되며 위의 Aeolic방언과 묶어 Achaean 방언을 형성한다.
4) West Greek
그리스의 북서부 지방에서부터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거쳐 크레테와 가르파소스, 로도스에 거쳐 쓰였던 방언이다. 이 방언은 다시 North-west greek 과 Doric 방언으로 나뉘어진다. 이 방언은 비교적 고형을 많이 유지하고 있다.
5) 문학장르에 따른 방언
문학장르에 따른 방언은 고전 그리스어만이 지녔던 독특한 특징이다. 지역적으로 분류한 방언이 아니라 문학 장르별로 한 방언이나 다른 방언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저술활동 한 것을 이르는 것이다. 즉 어떤 문학 장르의 작품을 쓰려면 작가 자신의 출신지역에 관계없이 그 장르에 사용했던 방언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호머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로 대표되는 서사시를 쓰는 경우 모든 작가들은 Aeolic 방언의 영향이 강한 Ionic 방언으로 서사시를 썼으며 비극에서도 Chorus에는 일반적인 Doric 방언이 사용되었으나 대화부분에는 Attic 방언이 쓰였다. 그리고 헤로도토스로 부터 시작되는 산문은 초기에는 Ionic 방언으로 쓰였으나 아테네의 영향이 확대됨에 따라 후기 작가들은(Thucidides, Isocrates, Lysias) Attic방언으로 작품들을 썼다.
7. Alexandrian Koine
페르시아 전쟁후 그리스의 정치, 경제, 문화적 중심은 아테네로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학문적 집중현상은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망한 후에도 계속되었다. 그 결과 고대 그이스 세계의 말기에 이르면 아테네의 방언인 Attic방언이 전 그리이스 세게의 공통방언(Koine)으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그리스의 새로운 맹주로 등장한 Macedonia의 Philip 2세가 Attic방언을 자신의 궁전의 공용어로 선포한 이후부터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어 급기야는 다른 고대 그리스 방언들은 사멸하기에 이르렀다. 이 Koine는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에 의해 지중해에서부터 인도에 이르기까지의 광활한 제국의 영토에서 지식인들과 상인들의 국제어로 발전해 나갔다. 그러나 일부 지방의 언어였던 Attic방언이 국제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변화가 불가피하였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어휘부분에서 일어났다. 여러 방언에서 낱말의 차용은 물론 그리스 바깥의 언어에서도 차용이 일어났다. 또 어휘 이외 부분에서도 Attic 방언에만 나타나는 특이 현상들은 보다 일반적인 형으로 대치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아 언어의 변화는 그리 심한 것은 아니었다. 오늘날 신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공부하는 성경헬라어(Biblical Greek)가 바로 이 시대에 속하는 그리스어이다.
'선교자료 > 4.선교회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랍어 1 (0) | 2012.10.26 |
---|---|
구약 언어학 (0) | 2012.01.04 |
히브리어의 기원 (0) | 2012.01.04 |
[스크랩] English Proverbs for Categories (0) | 2009.02.25 |
중궈 한마디 (0) | 2006.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