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불교

2007. 9. 28. 15:02참고자료/7.이단·타종교

불교



B.C. 577년 음력 4월 8일에 어머니가 왕궁에서 본가로 가던 중 무수 나무 아래서 출생시켰습니다. 그의 출생은 특이하게 어머니 마야의 옆구리에서 나왔다고 전합니다. 태어난 즉시로 7 걸음을 걸으며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라 했다 합니다. 그 어머니는 7일 후 사망했습니다.

코타마란 생가(姓家)를 뜻하고 시탈타는 작명(作名)이며 소원 성취를 뜻합니다. 석가모니는 사카야 족속의 성자(聖者)라는 뜻이고 시탈타의 존칭어입니다. 불타(佛陀, budda, 부처)는 깨닫는다는 뜻입니다(각자, 覺者, 佛). 석가는 17세 때 어느 성주의 딸(야소다라)과 결혼했으며 사이에서 아들 라훌라가 출생했습니다.
그는 29세 때 출가하여 6년간 고행 끝에 영원히 동요될 수 없는 경지에 도달했다고 합니다. 석가 35세 2월 8일 입니다. 석가 성도후 4년 때 출가 10년만에 고향에 와서 그의 처 야소도라를 최초 비구니(比丘尼)로 만들었습니다. 불타의 이모 아들 난타가 마침 결혼하는 날에 불타의 권고를 듣고 그도 출가(出家)하게 되었습니다. 아버지 정반왕은 아들 환향 후 3개월만에 97세로 죽게 되었습니다.

석가는 다른 사람들을 교화하는데 있어 제자들을 뿔뿔이 헤어지게 했습니다. 2인이 같이 동행토록 했는데 예수의 전도 방법과 유사했습니다. 45년 교법 생활 후 나이 80세 되었을 때 등에 종기가 나서 B.C. 477년 촌락 사라나무 아래서 500인의 시위 중에 죽었습니다. 그의 곁에 있던 제자 아난에게 네 자신이 수호자가 되라고 유언하였다고 합니다.


불교의 십계(十戒)

살생유택 도덕질 말 것, 간음하지 말 것, 거짓말 말 것, 독주 말 것, 간식 먹지 말 것, 무유희, 관광 말 것, 보물 향속을 휴대치 말 것, 안락한 침상 사용 말 것, 금, 은을 받지 말 것입니다.

금욕과 절제를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불교는 무신(無神) 사상인데 후대의 사람들이 석가를 신화(神化)하고 다신사상(多神思想)을 불교의 가르침같이 전한 것입니다. 석가의 가르침에는 인간의 영혼은 없다고 했으나 윤회설이 발생하게 되었고 또한 영혼이 없다고 했는데 전생(前生)이 있다는 현대 불교 신학은 문제입니다.


고려 8만 대장경

현종 때 거란(만주 오랑케족)이 침입해 온즉 불력(佛力)으로써 물리치기 위해 미신으로 대장경 기록했습니다. 처음에는 개성 부인사에 두었습니다. 그후 몽고병이 와서 부인사를 불지를 때 대장경이 탔습니다. 다시 왕은 몽고를 물리치고자 피난 중 16년만에 8만여 목판에다 장경 6529권을 새겼던 것입니다. 이것을 이제 해인사에 두게 된 것입니다.


이조(李朝) 불교

이조 500년은 불교 탄압의 시기였습니다. 이성계(이태조)는 고려 왕실이 전복해 죄감 때문에 불교 신앙으로 안전을 기대했습니다. 무학(無學)을 국사로 세우기도 했습니다. 이태조의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혁명 동지는 정도전 일파와 신자들로 유교 세력들이었고 정도전은 척불론(斥佛論)의 일인자이며 배불정책(排佛政策)의 전통을 세웠습니다.

태가(太家,1400-1418) 이성계 둘째 아들 이방원 때부터 사찰을 제한하고 토지를 몰수하게 되었고 이성계의 4째 아들 이국(李菊, 세종대왕)은 배불정책을 폈으며 승려들을 환속시켰습니다. 제 2 불교 탄압이 성종(9대 왕), 연산군, 중종으로 이어졌습니다. 명종(1545-1567)때 생모가 노력했으나 현종 이후 승유억불 정책은 굳어지고 18세기 영조(英祖)(1724-1776)때는 백성같이 팔천민(八賤民)의 하나로 하락했습니다. 한일합병, 일제 때 일본 불교가 한국에 자라게 되었습니다.


일본 남묘호랭게교(창가학회, 創價學會)

서기 13세기 일본에서 법화경만 준수하고 법화경의 인물과 이름을 담은 검은 상자(고혼존)를 예배 때 제단으로 사용하며 일본 후지 산에 '다이'라는 상자 있다고 합니다. 남묘호랭게교를 반복하여 외웁니다. 염주알을 손바닥에 놓고 비빕니다.

출처 : 은혜(恩惠)
글쓴이 : 은혜 (恩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