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힌두교( Hinduism)
2007. 9. 28. 15:01ㆍ참고자료/7.이단·타종교
(1) 힌두교의 정의
힌두교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Hinduism, Hinduismus, Hinduisme의 번역어 이다.
브라만교의 철학을 배경으로 하는 전통적이고 민족적인 제도와 관습을 망라한 인도의 민족종교이다. 힌두란 본디 인더스강의 산스크리트 명칭인 신두(Sindhu;大河의 뜻)의 페르시아 발음으로 인도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므로 힌두교는 넓은 의미로 인도에서 발생한 모든 종교를 포함하는 말이 될 수 있 으나,
일반적으로는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불교?자이나교를 배제한 좁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실제에 있어 힌두교는 하나의 종교를 넘어서 인도인의 삶 전체를 지배해 온 성스럽고 다양한 사상적 전통들과 행위의 관습들을 총망라한 매우 포괄적인 문화적 전통을 가리킨다.
(2). 힌두교의 성격
힌두교는 매우 복잡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신(神)관념 및 교리, 신앙내용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신관념이나 사상에 대하여 살펴보기에 앞서 그 성격상 중요한 점을 들어보고자 한다.
1. 신관념에 있어서는 베다 종교의 전통을 계승한 힌두교는 기본적으로 다신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힌두교도는 그 집단의 특정한 신을 믿도록 강요받지는 않는다. 대체로 자신이 태어난 가정의 전통적인 `가정의 신(kula-evata)', 그 마을의 `촌락의 신(grama-demata)'을 믿고, 다시 `자기 자신이 믿는 신(ista-devata)'을 가진다. 이 세 신은 동일하든 다르든 상관없다.
2. 힌두교는 다신교적이지만, 여러 신의 배후에 `最高神'의 존재를 예상 한다.
이것이 브라흐만?비슈누?쉬바 신으로 현현한다고 생각하여 삼신일체설(三神一體說)을 전개하였다.
3.힌두교도의 신관념 가운데 화신(化神, avatara)이라는 관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것은 비슈누 신이 신격,인격,동물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이 세계에 현현하는 것으로서, 비아리아적 성격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여러 지방?부족?카스트의 신들을 비슈누,쉬바 신으로 통일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4.다양한 성격을 가진 신들을 이렇게 통일하는 방법은 그러한 신들과 인간이 어떤 관계를 맺게 되는지도 규정한다.
힌두교에서는 이슬람교나 유대교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신을 두려워하는 경향은 비교적 적다. 또 유대교나 기독교에서처럼 신과의 계약이라는 관념도없다. 파괴의 신으로서 두려움을 주는 쉬바 신의 경우에도 지상에 자비를 베푸는 면이 있으며, 그 신에게 절대적인 신앙, 즉 박티(信愛)를 바치면 어떠한 사람도 쉽게 구제를 받는다고 생각해 왔다.
5.이들의 신관념은 유대교,이슬람교와 같은 일신교와 근본적으로 다른 면을 가지고 있으나, 힌두교에서는 이로 인해 일반적인 이단(異端)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6.이와 같이 힌두교에 이단이 없는 것은 힌두교가 다른 종교?사상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관용의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힌두교는 이들 대립하는 모든 종교?사상에 대하여 정면으로 대결하기보다는 자신의 울안에 틀어 박혀 이에 대항하지 않거나, 혹은 그들을 자기 안으로 흡수 동화시켰다. 예컨대 사회적인 신분제도에 저항했던 불교도 실제로는 힌두교의 한 파로 간주함으로써 붓다는 비슈누 신의 아홉번째 화신으로서 힌두교 의 신화속에서 융화된다
(3) 역사 1.BC2300~BC1800년 모헨조다로?하라파를 중심으로 인더스문명이 번영하였는데, BC1500년무렵 아리아인이 서북인도에 진입해 인더스문명 유적 근처인 펀자브지방에 정착하여 BC1200년 무렵 《리그베다》를 편찬하였다.
2.그 뒤 BC500년 무렵까지 주요 베다성전(聖典)이 편찬되었으며, 브라만계급을 정점으로 한 브라만교가 전성시대를 맞았다.
3. 그러나 BC500년 무렵부터는 사회적 대변동을 배경으로 반(反)브라만교적인 자유사상가가 배출되면서 불교?자이나교가 성립하였다.
4. 불교가 종교?사상계의 주류를 이루던 BC2~AD3세기 무렵 베다문화의 틀이 붕괴되고 브라만교가 토착의 비(非)아리아적 민간신앙?습속 등을 흡수하면서 크게 변모하여 힌두교가 성립하였다.
힌두교는 브라만교를 기반으로 하면서 오늘날의 힌두교가 성립되기에 이르렀다.
(4) 힌두교의 범위
원래 인도인의 종교'를 뜻하는 힌두교는 어떤 경우에는 문자 그대로 인도에서 발생하여 전개된 과거 및 현재의 인도인의 사상?종교 전체를 뜻하는 것으로 사용되었고, 또 어떤 경우에는 더 한정된 것으로 사용되었다.
이들을 넓은 의미로부터 좁은 의미의 용법 순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인도에서 발생, 전개된 모든 인도인의 가르침.
2. 그것에서 불교를 제외한 것.
3. 다시 자이나교를 제외한 것.
4. 그것에서 옛 브라만교를 제외한 것.
현재 힌두교라고 할 때, 맨 마지막에 든 제한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이 종교에는 특정한 개조(開祖)가 없다. 교리 내용도 베다.우파니샤드 아리아계의 것에서 원주민의 토착적인 요소, 샥티나 링가의 숭배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사회생활, 일상생활의 측면에서도 해당 카스트에 따라서 여러가지 차 이를 보이며, 종교적 의무?의례?습관도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들을 모두 힌두교라고 부르며, 과거 수천년에 걸친 인도 문화는 힌두교에 바탕을 둔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힌두교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5) 사상
현실에서는 고를 느끼게 되며, 이 고를 벗어나기 위하여 수행을 해야한다. 인간은 '무지'와 '집착'으 로 인하여 고를 느끼게 된다. 특히 집착은 업을 생성하며 쌓인 업에 의하여 인간은 윤회를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수행을 통해 해탈에 이르고자 하는데 해탈의 길에는 진리의 길, 신애의 길, 행위의 길이 있다.
여기서 진리의 길은 내속에 있는 아트만(아트만과 우주의 본질 브라만은 동일)을 찾는 것이 진리의 길이며 행위의 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행의 방법은 요가이다.
힌두교에서는 서로 모순되는 사상?교의가 공존하며, 다른 종교에서 보이는 정통과 이단을 둘러싼 엄격한 대립?항쟁은 별로 없다.
이런 힌두교의 성격상 교의를 총괄적으로 개관하기는 어렵고, 다만 널리 용인된 중심사상은 다음과 같다.
1.우주관
우주 창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절대자 브라마(梵天)가 유희(리라)를 위해 우주를 창조하여, 이 현상세계를 브라마의 환력(幻力;마야)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본래는 환영처럼 실재하지 않고 브라만만이 실재한다고 설법할 때가 있다. 우주의 중간에 있는 대지는 메루산〔須彌山〕을 중심으로 한 원반으로, 그 중요부분이 바라타바르샤 즉 인도이다. 이 우주는 브라마의 하루 동안 즉 1칼파(劫;지상의 43억 2000만 년) 동안 지속되고, 하루가 끝나면 다시 우주는 브라마로 돌아간다. 우주는 1칼파마다 창조와 귀멸(歸滅)을 반복한다는 것이다.
2.업(業)과 윤회
인간은 죽어서 무로 돌아가지 않고 각자의 업에 따라 내세에서 다시 새로운 육체를 얻는다. 이처럼 생사를 끝없이 반복하는 것이 윤회로서, 현재 각자의 성격?계급?행복?불행 등은 모두 과거에 행한 업의 과보(果報)이다. 업?윤회 사상은 우파니샤드 가운데에 처음으로 명확한 형태를 취한 것으로 힌두교의 핵심적 교의가 되었지만, 운명론이나 결정론과는 본질을 달리하고 있다.
3. 법(다르마)
행위규범으로서, 중심과제는 종성법(種姓法)과 생활기법(生活期法)이다. 종성법은 브라만?왕족?서민?노예의 4계급에 부과된 법이다. 생활기법은 학생기
가주기(家住期)?임서기(林棲期)?유행기(遊行期)라는 인생의 4시기에 관해 규정한 규범이다. 종성제도는 카스트제도와 연결된 것으로 오늘날에도 농촌사회를 중심으로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다르마의 실천은 물질적 이익을 추구하는 실리, 애정?성애를 추구하는 애욕, 그리고 해탈과 함께 힌두교도 인생의 4대 목적으로 되어 있다.
4. 해탈
우파니샤드의 사상가들은 업?윤회로부터의 완전한 자유 즉 해탈을 인생의 최고 목표로 삼았다.
해탈의 방법의 다양화 해탈에 이를 수 있는 길로 명상과 요가 수행을 통해 신비지식을 깨달음으로써 해탈에 이르는 우파니샤드의 지혜의 길만이 아니라 신애의 길, 행위의 길도 해탈의 방법으로 제시된다
5. 카스트 제도
업과 윤회개념과 관련해서 언급될 필요가 있는 인도 사회의 엄격한 사회계급 제도이다. 카스트 제도의 도덕적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것이 바로 업과 윤회사상이다. 사회적인 관점에서 카스트 제도의 목표는 사회의 안정 및 지속성의 유지에 있었다고 할 수 있는데 따라서 진보 적인 사상이 발전할 수 없었다. 카스트 제도의 이러한 특성은 인도 사회를 경직화시키고 발 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6) 종파와 의례
다신교적 성격을 반영, 다른 종파는 다른 주신(主神)을 중심으로 하는 그룹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종파는 비슈누교와 시바교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그러나 힌두교의 경우 종파라고 해도 막연한 것이며, 조직화된 교단?교회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다.
힌두교 사원은 인도 각지에 무수히 존재하고 있으나 독립적이며 횡적인 조직은 없다. 사회적 조직은 카스트제도가 대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세 인도에는 이슬람신비주의(수피즘)가 침투해, 16세기 무렵부터는 힌두교에 이슬람교와 융합된 종교개혁의 기운이 생성되었으며 시크교 등이 성립되었다. 1858년 인도가 영국의 직할식민지가 된 뒤 서양 사상?문물과의 접촉을 계기로 19~20세기에 힌두교의 르네상스라 하는 큰 변동이 일어나 새로운 종파가 성립되었다.
1. 힌두교에서는 아침마다 강이나 저수지에서 목욕하고 시바신 등의 신상(神像)에 예 배한 뒤 식사를 한다.
2. 의례에는 염주를 사용하고 만트라(神歌)를 부른다.
3. 의례 가운데 개인의 일생을 통해 실행해야 하는 약 40가지에 이르는 삼스카라(통과 의례), 특히 탄생제, 남자가 정식으로 힌두사회의 일원이 되는 입문식, 결혼식, 장례식은 중요하다.
힌두교 전통에 의하면 사람들은 각자의 성향과 관심에 따라 자기가 선택한 신을 섬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또한 여러 신들을 동시에 섬기는 것에서도 힌두교도들은 아무갈등이나 모순을 느끼지 않는다.
출처 : 은혜(恩惠)
글쓴이 : 은혜 (恩惠) 원글보기
메모 :
'참고자료 > 7.이단·타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교(道敎) (0) | 2007.09.28 |
---|---|
[스크랩] 불교 (0) | 2007.09.28 |
이단 분별 사이트 (0) | 2007.09.26 |
크리스찬 사이언스(Christian Science) (0) | 2007.09.23 |
이슬람교 (0) | 2007.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