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풀 마인드
2007. 8. 8. 23:30ㆍ참고자료/4,예화자료
뷰티풀 마인드
영화 ‘뷰티풀 마인드’ 이야기입니다. 1949년, 프린스턴 대학의 천재 장학생 존 내쉬는 27쪽 짜리 ‘균형이론’에 관한 논문으로 세계학계를 깜짝 놀라게 만듭니다.
천재의 가장 탁월한 점은 ‘집중력’입니다. 집중력은 ‘탁월한 성취’도 가져다주지만 ‘지나친 자기 집중’으로 ‘외로운 천재’를 만들기 쉽고 정신분열의 위험성도 많습니다. 내쉬도 미국 정부에서 진행하는 소련암호 해독 프로젝트에 비밀리에 참여하면서 점차 소련 스파이가 자신을 죽일 것이란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정신분열 증상을 보입니다.
1994년, 정신병자였던 내쉬가 ‘균형이론’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받습니다. 그 상을 받기까지 지루한 자신과의 싸움을 이기도록 도운 사람은 아내 알리샤였습니다. 알리샤는 정신이 나간 남편 때문에 극심한 마음의 고통을 당하면서도 남편의 견고한 ‘이성의 성벽(城壁)’에 ‘감성의 성문(城門)’을 내고 남편이 ‘자기 집중’에서 벗어나 ‘자기 밖 세계’로 나가도록 남편을 이해하고 남편의 불행의 현장에 끝까지 함께 있어주었습니다.
스파이가 죽일 것이란 강박관념으로 내쉬가 아내에게 그의 곁을 떠나라고 했을 때 아내는 오히려 그의 곁에 더 가까이 옵니다. 그 순간, 자기 방어 기제로 누구도 침투할 수 없었던 내쉬의 ‘회색 이성세계’에도 ‘녹색 감성세계’가 펼쳐지고, 내쉬가 믿는 가상적 현실은 사랑의 진실에 의해 압도되면서 서서히 그의 영혼은 혼돈에서 질서로 돌아옵니다. 결국 존 내쉬는 ‘천재성의 허상’을 ‘사랑의 진실’로 극복합니다.
이성은 회색이지만 사랑은 녹색입니다. 내쉬의 ‘회색 이성’은 아내의 ‘녹색 사랑’으로 극복되었습니다. 내쉬의 행복의 원천은 ‘자신의 천재성’이 아니라 ‘아내의 사랑’이었습니다. 내쉬는 노벨상 수상 연설에서 아내에게 “당신만이 내 삶의 이유(reason)”라고 말합니다. 아내를 통해 ‘천재의 이성(reason)’이 ‘사랑의 이유(reason)’를 찾은 것입니다. ‘99%의 이성’을 ‘99%의 사랑’으로 극복하는 마음이 뷰티풀 마인드입니다.
제일 잘 사는 사람은 변함없는 사랑으로 생명의 녹색 세계를 확산시키는 사람입니다. 전쟁이 나면 국경지대 사람들이 가장 큰 피해를 입듯이 인생에서도 변덕이 많은 ‘국경지대 인생’에는 평안이 없습니다. 사랑의 승리를 믿고 사랑의 길에 꾸준히 서는 것이 승리의 비결입니다. 기복주의자에게는 복이 없고 기회주의자에게는 기회가 없습니다. 먼저 살려고 하면 먼저 죽지만 참고 기다리면 좋은 날은 옵니다.
약삭빠른 마인드는 부족한 부분을 보면 “어떻게 이 상황을 회피할까?”를 생각하지만 뷰티풀 마인드는 부족한 부분을 보면 “어떻게 이 상황을 보충할까?”를 생각합니다. 약삭빠른 마인드를 가지면 성공할 것 같지만 실패하고 뷰티풀 마인드를 가지면 실패할 것 같지만 성공합니다. 약삭빠른 마음을 가지면 급속히 ‘변질의 주인공’이 되지만 뷰티풀 마인드를 가지면 서서히 ‘변화의 주인공’이 됩니다.
'참고자료 > 4,예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거버거社 신화 (0) | 2007.08.10 |
---|---|
가장 아름다운 발을 가진 발레리나 (0) | 2007.08.10 |
풍랑을 이기는 비결(박순오 목사 / 막4:35-41) (0) | 2007.08.01 |
한마디 말의 힘 (0) | 2007.08.01 |
나의 성공을 방해한 사람 (0) | 200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