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에 좋은 음식
2007. 7. 18. 22:14ㆍ회원자료/1.휴게실
머리에 좋은 음식
견과류는 뇌세포를 성장시킨다.
견과류는 대표적인 건뇌식품이다. 견과류에 60% 이상 함유돼 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뇌신경 세포의 돌기를 성장시키는 데 필요한 인지질을 구성하는 작용을 한다. 호두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뇌신경을 안정시키는 칼슘과 비타민 B군이 풍부하다.
때문에 아이만이 아니라 어른의 신경세포도 안정시키므로 신경이 예민하거나 불면증이 있는 사람에게 권한다. 또 뇌 발달에 필요한 비타민A, 미네랄, 비타민 B도 많아서 두뇌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기름이 필요한 이유식이나 간식을 만들 때는 호두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땅콩에는 필수 지방산과 비타민 B군 E, 잣은 비타민 B군과 철분, 은행은 단백질과 비타민 C, 지방 등이 풍부하다. 견과류는 단단해서 잘게 부순 뒤 샐러드나 요리 등에 조금씩 넣어 꾸준히 먹게 하는 것이 좋다.
좋은 식품으로는 호두, 잣, 아몬드, 땅콩, 참깨, 검은깨, 현미 등이 있다.
▣DHA 식품으로 뇌기능을 강화한다
등 푸른 생선, 해산물 등에는 뇌의 중추 신경계를 구성하는 지방산이 들어 있는데, 어릴 때 먹을수록 뇌에 많이 축적된다. 이 지방산은 몸 속에 흡수되면서 DHA로 변한다. DHA는 뇌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요소이다. 참치, 방어, 고등어, 꽁치, 장어, 정어리 등에 DHA가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을DHA 생선이라고 부른다.
좋은 식품으로는 참치, 고등어, 꽁치, 오징어, 새우, 콩기름, 옥수수 기름 등이 있다.
▣해조류는 두뇌 활동을 활발하게 해 준다.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해조류에는 두뇌 활동을 활발하게 해 주는 성분이 들어 있다. 혈액을 구성하는 요오드를 보충해서 피를 맑게 하고 뇌에 맑은 혈액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요오드가 부족하면 발육 부전 및 지능개발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해조류, 패류 등을 많이 먹는 것이 좋다. 패류는 바다의 현미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이 높은 뇌의 건강에 좋은 식품이다. 하지만 해조류는 아이들이 싫어하는 식품 중 하나로 소스에 무치거나 튀기는 등 아이들 입맛에 맞게 조리해서 준다.
좋은 식품으로는 미역, 김, 파래, 다시마 등이 있다.
▣콩으로 뇌세포의 노화를 막는다.
콩에는 뇌세포의 회복을 도와 주는 레시틴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뇌의 노화를 막아 주는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아이와 어른 모두에게 좋은 식품이다. 콩을 싫어하는 아이라면 두유로 만들어가 강정, 튀김 등으로 만들어 준다.
좋은 식품으로는 대두, 검은콩, 두부, 두유, 밀 등이 있다.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로 스트레스를 없앤다.
단백질의 흡수를 돕기 위해서는 비타민을 함께 섭취해야 한다. 그 중 비타민 C는 스트레스를 없애 주므로 과일, 야채 증으로 비타민을 보충해 준다.
좋은 식품으로는 토마토, 당근, 오렌지, 레몬, 녹황색 채소, 김, 고구마 등이 있다.
▣철분은 두뇌 활동을 돕는다.
철분을 먹으면 두뇌 활동이 활발해 진다. 체내에서 헤모글로빈을 만들고, 산소 공급을 돕기 때문이다. 철분은 푸른 잎 채소보다 육류에 많이 들어 있으며, 동물성 철분이 상대적으로 소화와 흡수가 잘 된다.
좋은 식품으로는 간, 동물의 내장, 쇠고기 등 육류가 있다.
* 이 밖에 칼슘이 부족하면 혈액 산성화가 촉진되어 머리가 맑아질 수 없으므로 게, 말린 새우, 정어리, 치즈 등을 많이 섭취하셔야 한다. 칼슘이 부족하면 쉽게 피로해지고 머리도 맑지 못한 상태에 빠진다. 칼슘은 미역, 녹미채, 썰어말린 무, 말린 표고버섯 등에 많다.
똑똑한 뇌를 만드는 식습관
· 식사의 양은 조금 아쉬운 듯이 하자. 배가 부르면 두뇌 회전도 느리다.
· 음식을 오랫동안 꼭꼭 씹으면 치아의 활동이 뇌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 꾸준히 뇌에 영양을 공급해 주는 게 중요하므로 아침은 꼭 챙겨 먹는다.
· 고칼로리, 저영양가인 인스턴트 음식(햄버거, 콜라, 라면 등)은 피한다.
· 요리할 때는 육류보다 생선을, 소금보다 식초를 사용하여 조리하자.
뇌에 활력을 주는 영양소와 식품
기억력 향상에 좋은 '레시틴' 식품 - 두부, 된장, 청국장, 호두, 잣
뇌에 활력을 주는 '지방' 식품 - 깨, 정어리, 호두, 콩
두뇌회전을 빠르게 해주는 '단백질' 식품 - 우유, 두유, 김, 다시마, 미역, 생선, 조개류
뇌의 에너지원이 되는 '당질' 식품 - 쌀, 보리, 감자, 고구마, 메밀
사고력 향상을 위한 '비타민B' 식품 - 효소, 소맥배아, 녹황색 채소, 뱀장어,
멸치, 정어리, 콩
스트레스를 완화해 주는 '비타민C' 식품 - 토마토, 당근, 귤, 오렌지, 레몬,
녹황색 채소, 김, 고구마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비타민E' 식품 - 현미, 깨, 녹황색 채소, 소맥배아
집중력을 향상시켜주는 '칼슘' 식품 - 깨, 멸치, 호두, 두유, 우유, 콩
공부에 지칠 땐 엿이나 꿀
옛날부터 과거 공부 하는 집에서는 엿 고는 단내가 난다고 했다.
과거 공부로 지쳐 있을 때 엿을 고아 먹어서 체력도 늘리었던 것이다.
공부에 지친 아이에게 대추차나 오미자차에 꿀이나 엿을타서 자주 마시게 하면
학생들의 몸이 몰라볼 만큼 튼튼해지고 능률도 아주 좋아진다.
기억력
수험생 건강 관리의 요령을 요약한다면 첫째, 체력과 기억력 증진.
둘째, 수면 조절과 신경 안정
셋째, 성적 충동 억제 이런 것이다. 우선 체력 보강을 위해서 땅콩을 속껍질 있는 그대로
식초에 일주일 정도담갔다가 밤에 공부할 때마다 서너 알씩 꺼내 가지고 씹어서 먹으면
뇌의 피로가 풀리고 기억력이 증진된다.
인삼과 오미자를 함께 끓여 하루에 6~8g씩 마시게 하든지 녹차를 마시게 한다.
녹차는 머리를 맑게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며 잠도 쫓는다.
수험생들에겐 참깨
참깨에 대해서 동의보감에서는 "오래 먹게 되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장이 윤택해지면서
머리가 좋아진다"고 하며 "꿀 한 되와 참깨 한 되를 찧어서 반죽해 가지고
알약을 만들어서 먹으면 좋다고 했다.
이것을 '정신환'이라고 한다"고 했다.
참깨를 9번 찌고 9번 말려 절구로 찧어서 꿀로 반죽해서 알약으로 만들어 먹이면
머리가 좋아진다. 다른 방법으로 깨를 그냥 먹으면 소화가 안되는 수도 있으므로 깨를
분마기에 곱게 빻아 우유에 타서 먹으면 좋다.
잠많은 수험생에게는 대추씨를 날로 먹이세요
가장 바람직한 수면 시간은 6시간~6시간 30분 정도 이다.
못 자도 6시간~6시간 30분은 자야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영양수면 시간이라고 부른다.
잠이 많은 아이에게 좋은 음식: 잠이 너무 많은 아이들이나 수험생들은
산조인을 날 것으로 먹게 해보자.
멧대추의 씨 속에 있는 알맹이가 바로 산조인인데 신경안정 효과가 굉장히 뛰어난다.
잠이 너무 많은 아이들이나 수험생들은 산조인을 날 것으로 먹게하면 잠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숙면을 취하려고 하려면 산조인 볶은 것10g~20g을 물을 붓고 끓여
하루 양으로 차처럼 마시게 하면 된다.
정서불안이나 불면증에 좋은 처방: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히스테리가 있으며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 어린아이들 중에 유난히 부산스럽고 밤중에 자주 께서 울거나
자지러지게 놀라는 아들에게 좋은 것이 감맥대조탕이다.
견과류는 뇌세포를 성장시킨다.
견과류는 대표적인 건뇌식품이다. 견과류에 60% 이상 함유돼 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뇌신경 세포의 돌기를 성장시키는 데 필요한 인지질을 구성하는 작용을 한다. 호두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뇌신경을 안정시키는 칼슘과 비타민 B군이 풍부하다.
때문에 아이만이 아니라 어른의 신경세포도 안정시키므로 신경이 예민하거나 불면증이 있는 사람에게 권한다. 또 뇌 발달에 필요한 비타민A, 미네랄, 비타민 B도 많아서 두뇌활동을 활발하게 한다. 기름이 필요한 이유식이나 간식을 만들 때는 호두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땅콩에는 필수 지방산과 비타민 B군 E, 잣은 비타민 B군과 철분, 은행은 단백질과 비타민 C, 지방 등이 풍부하다. 견과류는 단단해서 잘게 부순 뒤 샐러드나 요리 등에 조금씩 넣어 꾸준히 먹게 하는 것이 좋다.
좋은 식품으로는 호두, 잣, 아몬드, 땅콩, 참깨, 검은깨, 현미 등이 있다.
▣DHA 식품으로 뇌기능을 강화한다
등 푸른 생선, 해산물 등에는 뇌의 중추 신경계를 구성하는 지방산이 들어 있는데, 어릴 때 먹을수록 뇌에 많이 축적된다. 이 지방산은 몸 속에 흡수되면서 DHA로 변한다. DHA는 뇌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요소이다. 참치, 방어, 고등어, 꽁치, 장어, 정어리 등에 DHA가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어 이들을DHA 생선이라고 부른다.
좋은 식품으로는 참치, 고등어, 꽁치, 오징어, 새우, 콩기름, 옥수수 기름 등이 있다.
▣해조류는 두뇌 활동을 활발하게 해 준다.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해조류에는 두뇌 활동을 활발하게 해 주는 성분이 들어 있다. 혈액을 구성하는 요오드를 보충해서 피를 맑게 하고 뇌에 맑은 혈액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요오드가 부족하면 발육 부전 및 지능개발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해조류, 패류 등을 많이 먹는 것이 좋다. 패류는 바다의 현미라고 불릴 정도로 영양이 높은 뇌의 건강에 좋은 식품이다. 하지만 해조류는 아이들이 싫어하는 식품 중 하나로 소스에 무치거나 튀기는 등 아이들 입맛에 맞게 조리해서 준다.
좋은 식품으로는 미역, 김, 파래, 다시마 등이 있다.
▣콩으로 뇌세포의 노화를 막는다.
콩에는 뇌세포의 회복을 도와 주는 레시틴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뇌의 노화를 막아 주는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아이와 어른 모두에게 좋은 식품이다. 콩을 싫어하는 아이라면 두유로 만들어가 강정, 튀김 등으로 만들어 준다.
좋은 식품으로는 대두, 검은콩, 두부, 두유, 밀 등이 있다.
▣비타민 C가 풍부한 과일로 스트레스를 없앤다.
단백질의 흡수를 돕기 위해서는 비타민을 함께 섭취해야 한다. 그 중 비타민 C는 스트레스를 없애 주므로 과일, 야채 증으로 비타민을 보충해 준다.
좋은 식품으로는 토마토, 당근, 오렌지, 레몬, 녹황색 채소, 김, 고구마 등이 있다.
▣철분은 두뇌 활동을 돕는다.
철분을 먹으면 두뇌 활동이 활발해 진다. 체내에서 헤모글로빈을 만들고, 산소 공급을 돕기 때문이다. 철분은 푸른 잎 채소보다 육류에 많이 들어 있으며, 동물성 철분이 상대적으로 소화와 흡수가 잘 된다.
좋은 식품으로는 간, 동물의 내장, 쇠고기 등 육류가 있다.
* 이 밖에 칼슘이 부족하면 혈액 산성화가 촉진되어 머리가 맑아질 수 없으므로 게, 말린 새우, 정어리, 치즈 등을 많이 섭취하셔야 한다. 칼슘이 부족하면 쉽게 피로해지고 머리도 맑지 못한 상태에 빠진다. 칼슘은 미역, 녹미채, 썰어말린 무, 말린 표고버섯 등에 많다.
똑똑한 뇌를 만드는 식습관
· 식사의 양은 조금 아쉬운 듯이 하자. 배가 부르면 두뇌 회전도 느리다.
· 음식을 오랫동안 꼭꼭 씹으면 치아의 활동이 뇌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
· 꾸준히 뇌에 영양을 공급해 주는 게 중요하므로 아침은 꼭 챙겨 먹는다.
· 고칼로리, 저영양가인 인스턴트 음식(햄버거, 콜라, 라면 등)은 피한다.
· 요리할 때는 육류보다 생선을, 소금보다 식초를 사용하여 조리하자.
뇌에 활력을 주는 영양소와 식품
기억력 향상에 좋은 '레시틴' 식품 - 두부, 된장, 청국장, 호두, 잣
뇌에 활력을 주는 '지방' 식품 - 깨, 정어리, 호두, 콩
두뇌회전을 빠르게 해주는 '단백질' 식품 - 우유, 두유, 김, 다시마, 미역, 생선, 조개류
뇌의 에너지원이 되는 '당질' 식품 - 쌀, 보리, 감자, 고구마, 메밀
사고력 향상을 위한 '비타민B' 식품 - 효소, 소맥배아, 녹황색 채소, 뱀장어,
멸치, 정어리, 콩
스트레스를 완화해 주는 '비타민C' 식품 - 토마토, 당근, 귤, 오렌지, 레몬,
녹황색 채소, 김, 고구마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비타민E' 식품 - 현미, 깨, 녹황색 채소, 소맥배아
집중력을 향상시켜주는 '칼슘' 식품 - 깨, 멸치, 호두, 두유, 우유, 콩
공부에 지칠 땐 엿이나 꿀
옛날부터 과거 공부 하는 집에서는 엿 고는 단내가 난다고 했다.
과거 공부로 지쳐 있을 때 엿을 고아 먹어서 체력도 늘리었던 것이다.
공부에 지친 아이에게 대추차나 오미자차에 꿀이나 엿을타서 자주 마시게 하면
학생들의 몸이 몰라볼 만큼 튼튼해지고 능률도 아주 좋아진다.
기억력
수험생 건강 관리의 요령을 요약한다면 첫째, 체력과 기억력 증진.
둘째, 수면 조절과 신경 안정
셋째, 성적 충동 억제 이런 것이다. 우선 체력 보강을 위해서 땅콩을 속껍질 있는 그대로
식초에 일주일 정도담갔다가 밤에 공부할 때마다 서너 알씩 꺼내 가지고 씹어서 먹으면
뇌의 피로가 풀리고 기억력이 증진된다.
인삼과 오미자를 함께 끓여 하루에 6~8g씩 마시게 하든지 녹차를 마시게 한다.
녹차는 머리를 맑게하고 눈의 피로를 풀어주며 잠도 쫓는다.
수험생들에겐 참깨
참깨에 대해서 동의보감에서는 "오래 먹게 되면 몸이 가뿐해지고 오장이 윤택해지면서
머리가 좋아진다"고 하며 "꿀 한 되와 참깨 한 되를 찧어서 반죽해 가지고
알약을 만들어서 먹으면 좋다고 했다.
이것을 '정신환'이라고 한다"고 했다.
참깨를 9번 찌고 9번 말려 절구로 찧어서 꿀로 반죽해서 알약으로 만들어 먹이면
머리가 좋아진다. 다른 방법으로 깨를 그냥 먹으면 소화가 안되는 수도 있으므로 깨를
분마기에 곱게 빻아 우유에 타서 먹으면 좋다.
잠많은 수험생에게는 대추씨를 날로 먹이세요
가장 바람직한 수면 시간은 6시간~6시간 30분 정도 이다.
못 자도 6시간~6시간 30분은 자야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영양수면 시간이라고 부른다.
잠이 많은 아이에게 좋은 음식: 잠이 너무 많은 아이들이나 수험생들은
산조인을 날 것으로 먹게 해보자.
멧대추의 씨 속에 있는 알맹이가 바로 산조인인데 신경안정 효과가 굉장히 뛰어난다.
잠이 너무 많은 아이들이나 수험생들은 산조인을 날 것으로 먹게하면 잠을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숙면을 취하려고 하려면 산조인 볶은 것10g~20g을 물을 붓고 끓여
하루 양으로 차처럼 마시게 하면 된다.
정서불안이나 불면증에 좋은 처방: 감정의 기복이 심하고 히스테리가 있으며
불면증에 시달리는 사람, 어린아이들 중에 유난히 부산스럽고 밤중에 자주 께서 울거나
자지러지게 놀라는 아들에게 좋은 것이 감맥대조탕이다.
'회원자료 > 1.휴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적으로 유명한 위인들이 한 명언들 (0) | 2007.07.18 |
---|---|
두뇌를 천재로 만드는 방법 (0) | 2007.07.18 |
역발상 (0) | 2007.07.18 |
복음편지(1~10회) (0) | 2007.07.18 |
예수안믿으면 손해보는77가지이유 (0) | 200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