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이 되면 달라지는 것들
2007. 7. 18. 22:03ㆍ일반자료/5.건강하게 삽시다.
노년이 되면 달라지는 것들 |
---|
올해 나는 4학년 5반이다. 늦깎이 학생이 아니고 나이가 마흔 다섯이라는 뜻이다. 노인복지관에서 일하면서 보니, 언제부턴가 어르신들 사이에서 60대는 6학년, 70대는 7학년, 80대는 8학년으로, 한두 살은 반으로 부르시는 것을 보았다. 63세는 6학년 3반, 75세는 7학년 5반…. 직접 나이를 말하는 쑥스러움도 줄어들고, 학창 시절의 기분도 난다고 하셨다. 요즘 4학년과 5학년들이 모이면 빼놓지 않고 하는 이야기가 바로 노년, 노후 준비, 노인 복지에 관한 것이다. 가깝게 바로 나의 부모님에 대한 걱정과 근심 때문이고, 또 서서히 나이가 들기 시작하는 나의 노년을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하나님께서 바로 눈앞에서 일어날 일도 알지 못하는 인간에게 딱 두 가지만을 미리 알게 하셨는데 곧 ‘늙음’과 ‘죽음’이다. 그런데 죽음은 나이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찾아오는 것이지만 누구나 노인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단 전쟁과 질병과 사고에서 살아남아야 노인이 될 수 있다. 그러니 노년이야말로 하나님께서 주신 큰 선물이며 귀한 축복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위로 부모님 부양에 아래로 자녀 양육으로 어깨가 무거운 ‘낀 세대’인 중년들은 부모님의 노년을 복이라 여기면서 앞으로 다가올 자신의 노년을 선물이라 생각할 만한 여유조차 없는 게 현실이다. 그래도 지금 부모님의 노년은 나의 노년을 미리 헤아려볼 수 있는 거울이 되며, 그 분들은 내가 걸어가야 할 인생을 앞서 가신 선배들이다. 우리는 그 길을 미리 알고 걸어간다면 조금 더 나은 삶이 되지 않겠는가. 준비 없이 맞는 노년은 참으로 위태롭다. 그래서 노년에 대한 이해와 준비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지금 여기’에서 배우고 익혀야 하는 삶의 주요 과제다. 우리가 노년에 대해 알아야 당장 부모님을 도와드릴 수 있고 나의 노년에 대한 그림도 미리 그려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먼저 노년이 되면 달라지는 것들을 살펴보면서 노년에 대한 이해에 한 걸음 다가서 보자. 그러다 보면 어느 새 저절로 말하게 될 것이다. ‘아, 그래서 그러셨구나….’ 하나, 몸이 변한다. 흰 머리카락이나 주름살 같은 것 말고도 보이지 않게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뼈가 가벼워지고 밀도가 낮아져 쉽게 부러지며, 수면 상태가 변하기도 한다. 만약 어르신이 새벽에 너무 일찍 일어나신다면, 낮에 많이 움직이게 하거나 적극적으로 조정해야 서로 괴롭지 않다. 또 밤에 소변보는 횟수가 많아지므로 화장실이 가까운 방을 사용하게 하거나 방 안에 소변기를 준비해 드리는 것도 한 방법이다. 둘, 시각•청각•미각•후각이 전체적으로 둔해진다. 어둠에 적응하는 능력이 많이 떨어지므로 밤 외출에 주의해야 한다. 또 청력 약화로 잘 알아듣지 못해 자신만 빼놓거나 흉을 보는 것으로 여겨 소외감을 많이 느끼신다. 음식을 직접 조리할 경우, 미각의 둔화로 몹시 짜게 드실 수 있으니 항상 관찰해야 한다. 또 가스 냄새를 잘 맡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중간 밸브를 늘 잠그도록 일러 드려야 한다. 셋, 기억력이 많이 떨어진다. 나이 들수록 장기 기억보다 어떤 일을 5초나 10초 후에 회상해 내는 단기 기억 능력이 크게 약화된다. 손에 지갑을 들고 잃어버렸다고 하거나 돋보기를 찾아 온 집안을 헤매게 된다. 간단한 극복 방법은 칠판을 걸어두고 메모하기와 열쇠, 지갑, 휴대폰, 돋보기처럼 자주 쓰는 물건을 늘 한 곳에 두기다. 넷, 노년에도 사랑과 성(性)이 존재한다. 나이 들어 달라지기도 하지만 유지되는 것 중 하나가 노년의 사랑과 성(性)인데, 주책으로 치부해 버리는 것은 젊은 사람들의 오만이다. ‘사랑의 질’(Quality of Love)을 빼놓고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말할 수는 없는 법이다. 주위의 눈 때문에, 자식들의 체면 때문에 고통 받는 노년이 바로 우리 곁에 있다. 다섯, 우울증 경향이 늘어난다. 신체적•경제적•사회적•정신적•정서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노년의 상황은 쉽게 우울증으로 연결된다. 불면증, 체중 감소, 두통, 복통, 관절 통증 같은 신체 증상에 가려져 있는 경우가 많아 ‘가면성 우울증’(masked depressiv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래서 노인들이 몸이 아프다고 하실 때 신체 증상만 볼 게 아니라, 심리적 우울에서 오는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 여섯, 융통성이 없어지고 경직성이 증가한다. 옹고집에 고집불통이 된다. 살아오면서 익숙해진 방법과 습관만을 고집해 손주 양육, 집안 살림, 재산 관리에서 가족 간 불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노년의 특성 중 하나이므로 젊은 사람들이 한 번 더 이해하고 넘어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일곱, 자꾸만 과거를 돌아본다. 왕년에 한 가락 하지 않은 할아버지가 없고, 젊어서 예쁘지 않은 할머니가 없다. 남은 시간이 얼마 없다는 생각은 노인들을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게 만든다. 좋았던 시절로 돌아가 행복해 하기도 하고, 못 다한 것들을 후회하기도 한다. 노인들의 옛날 이야기에 지겹다고 외면할 것이 아니라, 당신이 살아온 생에 나름의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여덟, 친숙한 물건에 대한 애착이 심해진다. 오래된 물건을 버리지 않으려는 노인들과 새 것을 찾는 젊은이들 사이의 갈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추억을 간직하고 싶은 마음과 익숙함 속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그 심정을 헤아려야 한다. 치매가 시작된 줄 몰랐던 노인이 애지중지하던 물건이 없어지자 혼란이 오면서 치매가 급속히 진행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어르신의 물건을 함부로 버릴 일이 아니다. 아홉, 자기 중심이 되기도 한다. 너그럽게 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살면 얼마나 산다고, 무조건 나부터’라고 하는 노인들이 의외로 많다. 지하철에서 자리 양보 문제도 좀더 부드럽게 해결하실 수 있으련만, 자기만 생각해 소리부터 지르신다. 어느 한 군데 아프지 않은 곳이 없고 항상 기운이 없으며, 신명나는 일이 별로 없는 노인들의 하소연쯤으로 생각하고 젊은 사람들이 한 발 물러나는 것이 어떨까. 열, 노인이라고 모두 같지는 않다. “노인들, 다 그렇지 뭐….” 이 말부터 없애야 한다. 우리는 늘 ‘노인’이라는 범주 안에 모든 노인들을 가두려 한다. 모든 아줌마들이 전부 염치없고 뻔뻔하지 않은 것처럼, 요즘 아이들이 다 버릇없는 것이 아닌 것처럼 노인들도 마찬가지이다. 우리와 똑같은 한 사람으로 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노년 이해의 길이다. 이 다음에 내가 대접받고 싶은 대로 지금 노인들을 대접하자. |
'일반자료 > 5.건강하게 삽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운동의 유익한 점 (0) | 2007.07.26 |
---|---|
감기에 대한 10가지 오해 (0) | 2007.07.18 |
젊어지는 78가지 방법 (0) | 2007.07.18 |
건강하게 오래 사는 30가지 방법 (0) | 2007.07.18 |
건강한 중년을 맞이하는 방안 (0) | 2007.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