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종족 보고서 개관
2007. 6. 2. 22:58ㆍ선교자료/5.선교자료
몽골 종족 보고서 개관
IP : 211.243.255.14 글 작성 시각 : 2004.08.14 19:02:11
Ⅰ. 일반 개관
ᄋ 공식국명 : 몽골(Mongolia)
- 몽골(Mongol)이란 용어는 원래 '용감함'이란 뜻을 지닌 부족명이었
으나 징기스칸에 의해 통일된 몽골 부족의 발전에 따라 민족명
(Mongol)으로 변화됨. 과거에 사용된 蒙古(몽고)라는 명칭은 중화
사상을 가진 중국인들이 주변민족을 '몽매한 야만인'이라고 경시하
면서 청나라 이후 '몽고'라고 부른데서 유래.
ᄋ 수 도 : Ulaanbaatar '붉은 영웅' 이라는 뜻
ᄋ 정부형태 : 국회 중심의 이원집정부제 (의원내각제적 성격이 강함)
ᄋ 독 립 일 : 1921.7.11 (소련 적군과 연합하여 중국으로부터 독립)
ᄋ 국가선포일 : 1924. 11. 26 (러시아식 헌법을 채택, 몽골인민공화국 선포)
ᄋ 국 화 : 연꽃
ᄋ 공 용 어 : 할흐 몽골어
ᄋ 문 자 : 키릴문자 (러시아문자 차용)
키릴 신문자 사용
ᄋ 1930 국회결의로 라틴화된 키릴 신문자 제정시도
ᄋ 1941 러시아 문자를 기본으로 한 키릴 신문자 제정
ᄋ 1946 키릴 신문자 완전 실시
전통문자 복구사업
ᄋ 1990년부터 몽골 고유문자 복원위원회를 구성하고, 몽골 전통문자 복원사업을 시도하였으나, 현재 국민들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음.
ᄋ 국 기 : 소욤보기(旗)
- 직사각형이 3등분 되어 있고 중앙은 청색, 양쪽은 적색, 좌측 적색
부분에 황색의 국가 상징인 소욤보가 그려져 있음. 소욤보는 표의
문자로 몽골의 자유와 독립을 상징하는 정통문장으로서 1924년 제1
회 대인민회에서 결정함.
ᄋ 국 토
북쪽으로는 러시아, 동서 및 남쪽으로는 중국과 접경
- 러시아 접경 3,485km, 중국 접경 4,676.8km로 총 국경선 8,161.8km에 달함
- 동서 최대거리 2,392km, 남북 최대거리 1,259km
국토전체가 표고 약 1,600m의 고원국가
- 지 형 : 西高東低
- 최고점 : 서부 알타이 산맥중의 묀하이르한산(4,366m)
- 최저점 : 동부 도르노드 지역(522m)
국토 중앙부에서 동부에 걸쳐 목축에 알맞는 대초원 전개
- 서쪽으로 갈수록 높고 험준하나, 천혜의 고원성 초원지대를 이루어 목축이 가능
※ 고비(Gobi, 본래 사막이라는 뜻) : 전국토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남부일대를 고비라고 부르며, 일부는 순 사막, 나머지 지역은 풀이 빈약하게 생육하는 스텝지대
수도 울란바타르市 면적은 1,358㎢로 서울의 2.2배이며, 북위 47도 55분, 동경 106도 53분에 위치
- 위도상으로는 파리, 뮌헨, 시애틀과 경도상으로는 호치민, 자카르타 등과 거의 일치
ᄋ 위 치 :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북방에 위치한 내륙국가(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국과 접경하고 있으며, 국경선의 총
길이는8,162km임)
ᄋ 면 적 : 1,567,000㎢ (한반도의7.4배)
ᄋ 길 이 : 동서 - 2,392 Km
남북 - 1,259 Km
ᄋ 부존자원 : 석탄, 구리, 원유, 몰리브덴, 텅스텐, 주석, 니켈, 아연, 금 등
ᄋ 국토이용 : 목축지(80%), 산림(10%), 경작지(1%), 기타(9%)
ᄋ 지 형 : 고원국가로서 사막이 전국토의 40%이며, 북서부의 알타이
산맥으로부터 동남부의 평원지대로 펼쳐져 있으며, 서쪽
끝에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지대에 솟아있는 후이틍 어르길
(Huityn Origil)이라는 봉우리가 최고 지대로4,374m, 동
부 평원 지대가 최저지대로 522m임.
ᄋ 평균고도 : 1,500m(오대산의 정상 높이)
ᄋ 기 후 : 건성냉대기후
ᄋ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
- 명확한 계절 구분, 적은 강수량(년간 350mm)
- 길고 추운 겨울(10월-4월), 짧고 더운 여름
ᄋ 심한 온도변화
- 수도 울란바타르는 월간 평균기온이 1월에는 -24.3℃(기록된 최저온도
-48℃), 7월에는 16.6℃(기록된 최고온도 39℃)로 전세계 수도중 가장 추운 지역
- 5,6월의 봄은 아름다운 초원을 보여주나, 기압의 변화가 심하고 때로는
심한 돌풍 수반
-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겨울이 길고 추우며, 여름이 매우 짧음
- 1년에 구름이 없는 날이 257일이나 되는 등 맑고 높은 하늘을 항
상 볼 수 있음.
ᄋ 평균기온 : 11월부터3월까지는 영하를 나타내고 특히1월~2월은 영하
20℃가 보통이며, 겨울철 야간에는 영하 40℃이하까지 내
려가는 반면, 여름에는 33~38℃로 무더움
ᄋ 평균기압 : 1,036mb
ᄋ 인 구 : 약 247.5만명(약81만명이 수도에 거주, 2002.12월현재)
ᄋ 인구밀도 : 1.56명/㎢
ᄋ 평균수명 : 65.2세(남62.9세, 여67.6세)
ᄋ 종 족 : 할흐몽골족(79%), 카자흐족(5.9%), 중국계(2%) 등17개 부족
ᄋ 언 어 : 할흐몽골어(Khalkh Mongolian)
ᄋ 종 교 : 라마불교. 최근 기독교 인구 증가추세
1) 라마불교
ᄋ 몽골은 13세기초 전래된 라마교(티벳 불교)를 국교로 하고 인구의
90%이상이 라마불교를 믿고있으나, 헌법상 종교 및 신앙의 자유를 보장
ᄋ 현재 울란바타르에 라마불교 사원인 강단사(Gangdan
Monastery)에는 100여명의 라마승이 있으며, 부설 승원을 운영
※ 몽골 서부지역의 카자흐족은 수니파 회교를 믿음
2) 샤머니즘
ᄋ 몽골역사 초기부터 16세기까지 몽골인들의 심성에 가장 깊이 자리잡은
신앙체계로서 오늘날에도 몽골인들의 생활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ᄋ 초기 몽골제국 시절 무당에게 전쟁에 대한 자문을 구할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
ᄋ 몽골지역 곳곳에 우리의 서낭당과 유사한 '어버'를 쉽게 발견할 수 있음.
- 돌이나 흙무덤에 버드나무 가지를 꽂아 놓고, 재난방지와 가축의 번성을 위해 기도
3) 기독교의 전파
ᄋ 영국인 John Gibbens가 선교활동을 시작하였고, 한국․미국 등이 활발한 선교활동으로 신자수 점증 추세
- 2002.5월 현재 약 10,000명 추정
ᄋ 주요도시 : 다르한(Darhan, 8만명), 에르데넷(Erdenet, 5.4만명),
초이발산(Choibalsan, 2.7만명)
ᄋ 문자해득률 : 86%
ᄋ 언 론
1) 신 문
ᄋ 주요 일간지
- Urdiin Sonin(Daily News), Zunny Medee(Century News),
Unuudur(Today), Mongoliin Medee(Mongolian News) 등
ᄋ 영자지
- Montsamee News, Mongoliathisweek(주간) Mongol Messenger(주간),
Ulaanbaatar Post(주간)
ᄋ 기타 200여개 신문 발간
2) 잡 지
ᄋ Turiin Medeelel(정부발간 정보지), Eruul Mend(건강잡지), Shya- Medee(과학아카데미 뉴스) 등
3) 방송사
ᄋ Mongol TV.Radio : 국영, 유일하게 전국에서 시청가능한 몽골 최대 방송사
ᄋ Ulaanbaatar TV : U.B.시영, 수도일원에서만 시청 가능
ᄋ MN Channel 25 : 민영 TV 방송국
ᄋ Eagle TV : 미국(선교재단)과 몽골과의 합작으로 설립된 민영TV 방송사
ᄋ 기타 FM 라디오 음악채널, U.B.시 라디오 채널 등
4) 통신사
ᄋ Montsame(Mongol Tsahilgoan Medeenity Ayentlag) : 1957년 창설, 국영
ᄋ Mongol Press : 1986년 설립
ᄋ 시 차 : 몽골은 세 가지 시간대를 실시하고 있는데, 울란바타르는
한국보다1시간 늦음
* 하절기 일광절약시간제 실시로 한국과 동일 시각
ᄋ 공 휴 일 : 신년 휴일(1.1), 차강사르(몽골력1.1~2, 우리의 음력설에
해당), 모자의 날(6.1), 나담절(7.11~13), 건국기념일(11.26)
나담(Naadam) 축제
1) 유 래
ᄋ 현재의 나담은 몽골인민혁명 정부가 사회주의 혁명이 달성된 1921년 7월 11일을 기념하기 위해 도입한 관제행사로서, 매년 7.11-13간 전국적으로 개최됨
- 사회주의 혁명이전 7명의 봉건제후가 주최하던 전통 나담 행사와 몽골민족의 영산인 복드산, 헨티산 및 어버에 바치는 제2대 나담행사를 합친 형태
ᄋ 원래의 나담은 종교적 의미와 군사훈련의 의미가 강하였으나, 오늘날은 전국적 축제행사를 통한 국민결속이라는 정치적 의미가 보다 강함
2) 나담의 의미 : Play 또는 Rest의 개념
3) 주요행사 내용
ᄋ 축하연회
ᄋ 축하군중 대회
ᄋ 축하공연(활쏘기, 경마, 씨름 등 민속경기)
Ⅱ. 정 치
⑴ 정치체제 : 민주공화제(92.1.13新민주헌법 발효, 2000.12.14 헌법 개정)
- 과거 대통령중심제와 내각책임제의 중간 형태인 이원집정부제였으
나, 헌법 개정으로 의회와 내각의 권력을 대폭 강화하여 의원내각제
적 성격이 강화됨.
⑵ 주요 지도자
ᄋ 대 통 령 N. Bagabandi
ᄋ 총 리 N. Enkhbayar
ᄋ 국회의장 S. Tumur-Ochir
⑶ 주요 정당
ᄋ 몽골인민혁명당(Mongolian People's Revolutionary Party)
- 1990년 초까지 헌법으로 보장된 일당독재체제 유지
- '96.6.30 총선 패배 후 야당으로 전락(25석)
- 2000.7.2총선 압승(76석 중72석)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도 가입하는 등 중도좌파적인 성격으로 변신
- 당수 Enkhbayar
ᄋ 몽골민주당(Mongolia Democratic Party)
- 구집권 세력인 몽골민족민주당(MNDP)과 몽골사회민주당(MSDP)이
2000.12.6통합
- 현재 국회의원2명
- 당수 Doligjav
ᄋ 몽골민의당(Mongolia Civic Will Party)
- 국회의원1명
- 당수 Oyun
* 2002.1월 공화당(Republican Party)과 합당
ᄋ 몽골민주신사회당(MDNSP)
- 국회의원1명
- 당수 Eredenebat
Ⅲ. 경 제(2002년, 몽골통계청 자료)
ᄋ G D P : 약 10억 9천만불
ᄋ G D P 성장율 : 3.9%
ᄋ 1인당 G D P : 약 446불
ᄋ 물가상승율 : 1.6%
ᄋ 무 역 액 : 약 12.15 억불
- 수 출 : 약 5.24억불
- 수 입 : 약 6.9억불
ᄋ 주요 무역품목 및 교역국
- 수출품 : 동, 금, 형석, 몰리브덴 등 광물 및 캐시미어, 피혁, 양모 등
축산품
- 수입품 : 기계류, 자동차, 석유제품, 일상 소비재 등
- 주요 무역상대국 : 중국, 러시아, 미국, 한국, 일본 順
ᄋ 화폐단위 : Tugrik(US$1 = 1,130Tg, 2003.3현재)
3. 행정구역
가. 수 도 : Ulaanbaatar
나. 아이막(Aimag : 道) : 21개
ᄋ 아이막 밑에는 331개 솜(Som : 郡)과 1538개의 박(Bagh : 面)이라는 하부 단위
가 있음.
다. 3개 자치시와 아이막(Aimag)에는 지방의회(Local Hural)가 있음.
Ⅳ. 사회 * 문화
가. 생활양식
1) 유목문화의 전통
ᄋ 몽골인은 전통적으로 소나, 양, 말 등을 몰고 목초지를 찾아다니는 유목생활을 영위
ᄋ 현대의 몽골은 계획적이며 집단적인 목축이 성행
ᄋ 산업발전과 경제개발에 따라 이농과 인구 도시집중 현상 심화
2) 주거환경
ᄋ 몽골인들은 전통적으로 이동식 텐트 가옥인 겔(Ger)에서 생활
- 내몽골 지역에서는 파오로 불림
ᄋ 현대식 아파트는 1960년대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까지 몽골
인들의 아파트 거주율은 49.1% 수준으로, 50.9%가 게르 안에서 생활
3) 식생활
ᄋ 목축업을 주로하는 몽골인들은 봄과 겨울에는 주로 양고기를, 여름과
가을에는 버터,치즈 등 유제품을 상식
ᄋ 말젖으로 만드는 마유주(알콜도수 1도 전후의 발효주)를 즐겨마시며,
아침에는 수테차(Suteychai 몽골전통차)를 마심
4) 의 상
ᄋ 몽골인들은 우리나라의 두루마기와 닮은 겉옷 델(Del)과 모자격인 말가이(Malgai), 긴 장화 모양의 신발인 고탈(gutal) 등 전통의상을 즐겨 착용
Ⅴ. 교 육
1) 교육제도
ᄋ 3단계 교육제도
- 유치원(3-6세), 초.중등교육(7-16세), 고등교육(17세이상)
ᄋ 초.중등교육 학제 : 10학년제
- 초등교육(의무교육) : 6년으로 전국에 683개 초등학교가 있음.
- 중․고등교육 : 4년
ᄋ 대학교육 : 대학교, 기술학교, 직업학교
※ 한국인 유학생 수 : 몽골국립대를 중심으로 약 20여명 유학중
2) 교육현황
ᄋ 교육여건과 시설의 낙후에도 불구, 97.8%의 높은 문자 해득율을 보이고 있음
ᄋ 유치원 취학대상 아동중 1/3정도만이 유치원에 등록하고 있으며, 초.중등교육은 1-8학년 까지는 96%의 높은 취학비율을 나타 내고 있으나 9-10학년 이후 50% 이하로 급격히 떨어짐.
ᄋ 고등교육 과정으로 몽골국립대학 등 7개의 고등교육 전문기관과 40개 직업기술학교가 있음
ᄋ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 과정을 반영, 건설.공업계열 학교의 진학율이 높으며, 과거 러시아어가 제1외국어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었으나, 점차 수요가 줄어들면서 영어,일어 및 한국어에 대한 수요 증가추세
3) 교육기관 현황(2001년)
교 육 기 관 수 학 생
초 등 학 교 683 560,100
고등교육기관 63 78,600
IP : 211.243.255.14 글 작성 시각 : 2004.08.14 19:02:11
Ⅰ. 일반 개관
ᄋ 공식국명 : 몽골(Mongolia)
- 몽골(Mongol)이란 용어는 원래 '용감함'이란 뜻을 지닌 부족명이었
으나 징기스칸에 의해 통일된 몽골 부족의 발전에 따라 민족명
(Mongol)으로 변화됨. 과거에 사용된 蒙古(몽고)라는 명칭은 중화
사상을 가진 중국인들이 주변민족을 '몽매한 야만인'이라고 경시하
면서 청나라 이후 '몽고'라고 부른데서 유래.
ᄋ 수 도 : Ulaanbaatar '붉은 영웅' 이라는 뜻
ᄋ 정부형태 : 국회 중심의 이원집정부제 (의원내각제적 성격이 강함)
ᄋ 독 립 일 : 1921.7.11 (소련 적군과 연합하여 중국으로부터 독립)
ᄋ 국가선포일 : 1924. 11. 26 (러시아식 헌법을 채택, 몽골인민공화국 선포)
ᄋ 국 화 : 연꽃
ᄋ 공 용 어 : 할흐 몽골어
ᄋ 문 자 : 키릴문자 (러시아문자 차용)
키릴 신문자 사용
ᄋ 1930 국회결의로 라틴화된 키릴 신문자 제정시도
ᄋ 1941 러시아 문자를 기본으로 한 키릴 신문자 제정
ᄋ 1946 키릴 신문자 완전 실시
전통문자 복구사업
ᄋ 1990년부터 몽골 고유문자 복원위원회를 구성하고, 몽골 전통문자 복원사업을 시도하였으나, 현재 국민들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음.
ᄋ 국 기 : 소욤보기(旗)
- 직사각형이 3등분 되어 있고 중앙은 청색, 양쪽은 적색, 좌측 적색
부분에 황색의 국가 상징인 소욤보가 그려져 있음. 소욤보는 표의
문자로 몽골의 자유와 독립을 상징하는 정통문장으로서 1924년 제1
회 대인민회에서 결정함.
ᄋ 국 토
북쪽으로는 러시아, 동서 및 남쪽으로는 중국과 접경
- 러시아 접경 3,485km, 중국 접경 4,676.8km로 총 국경선 8,161.8km에 달함
- 동서 최대거리 2,392km, 남북 최대거리 1,259km
국토전체가 표고 약 1,600m의 고원국가
- 지 형 : 西高東低
- 최고점 : 서부 알타이 산맥중의 묀하이르한산(4,366m)
- 최저점 : 동부 도르노드 지역(522m)
국토 중앙부에서 동부에 걸쳐 목축에 알맞는 대초원 전개
- 서쪽으로 갈수록 높고 험준하나, 천혜의 고원성 초원지대를 이루어 목축이 가능
※ 고비(Gobi, 본래 사막이라는 뜻) : 전국토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남부일대를 고비라고 부르며, 일부는 순 사막, 나머지 지역은 풀이 빈약하게 생육하는 스텝지대
수도 울란바타르市 면적은 1,358㎢로 서울의 2.2배이며, 북위 47도 55분, 동경 106도 53분에 위치
- 위도상으로는 파리, 뮌헨, 시애틀과 경도상으로는 호치민, 자카르타 등과 거의 일치
ᄋ 위 치 :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북방에 위치한 내륙국가(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국과 접경하고 있으며, 국경선의 총
길이는8,162km임)
ᄋ 면 적 : 1,567,000㎢ (한반도의7.4배)
ᄋ 길 이 : 동서 - 2,392 Km
남북 - 1,259 Km
ᄋ 부존자원 : 석탄, 구리, 원유, 몰리브덴, 텅스텐, 주석, 니켈, 아연, 금 등
ᄋ 국토이용 : 목축지(80%), 산림(10%), 경작지(1%), 기타(9%)
ᄋ 지 형 : 고원국가로서 사막이 전국토의 40%이며, 북서부의 알타이
산맥으로부터 동남부의 평원지대로 펼쳐져 있으며, 서쪽
끝에 러시아와 중국의 국경지대에 솟아있는 후이틍 어르길
(Huityn Origil)이라는 봉우리가 최고 지대로4,374m, 동
부 평원 지대가 최저지대로 522m임.
ᄋ 평균고도 : 1,500m(오대산의 정상 높이)
ᄋ 기 후 : 건성냉대기후
ᄋ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
- 명확한 계절 구분, 적은 강수량(년간 350mm)
- 길고 추운 겨울(10월-4월), 짧고 더운 여름
ᄋ 심한 온도변화
- 수도 울란바타르는 월간 평균기온이 1월에는 -24.3℃(기록된 최저온도
-48℃), 7월에는 16.6℃(기록된 최고온도 39℃)로 전세계 수도중 가장 추운 지역
- 5,6월의 봄은 아름다운 초원을 보여주나, 기압의 변화가 심하고 때로는
심한 돌풍 수반
-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겨울이 길고 추우며, 여름이 매우 짧음
- 1년에 구름이 없는 날이 257일이나 되는 등 맑고 높은 하늘을 항
상 볼 수 있음.
ᄋ 평균기온 : 11월부터3월까지는 영하를 나타내고 특히1월~2월은 영하
20℃가 보통이며, 겨울철 야간에는 영하 40℃이하까지 내
려가는 반면, 여름에는 33~38℃로 무더움
ᄋ 평균기압 : 1,036mb
ᄋ 인 구 : 약 247.5만명(약81만명이 수도에 거주, 2002.12월현재)
ᄋ 인구밀도 : 1.56명/㎢
ᄋ 평균수명 : 65.2세(남62.9세, 여67.6세)
ᄋ 종 족 : 할흐몽골족(79%), 카자흐족(5.9%), 중국계(2%) 등17개 부족
ᄋ 언 어 : 할흐몽골어(Khalkh Mongolian)
ᄋ 종 교 : 라마불교. 최근 기독교 인구 증가추세
1) 라마불교
ᄋ 몽골은 13세기초 전래된 라마교(티벳 불교)를 국교로 하고 인구의
90%이상이 라마불교를 믿고있으나, 헌법상 종교 및 신앙의 자유를 보장
ᄋ 현재 울란바타르에 라마불교 사원인 강단사(Gangdan
Monastery)에는 100여명의 라마승이 있으며, 부설 승원을 운영
※ 몽골 서부지역의 카자흐족은 수니파 회교를 믿음
2) 샤머니즘
ᄋ 몽골역사 초기부터 16세기까지 몽골인들의 심성에 가장 깊이 자리잡은
신앙체계로서 오늘날에도 몽골인들의 생활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ᄋ 초기 몽골제국 시절 무당에게 전쟁에 대한 자문을 구할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
ᄋ 몽골지역 곳곳에 우리의 서낭당과 유사한 '어버'를 쉽게 발견할 수 있음.
- 돌이나 흙무덤에 버드나무 가지를 꽂아 놓고, 재난방지와 가축의 번성을 위해 기도
3) 기독교의 전파
ᄋ 영국인 John Gibbens가 선교활동을 시작하였고, 한국․미국 등이 활발한 선교활동으로 신자수 점증 추세
- 2002.5월 현재 약 10,000명 추정
ᄋ 주요도시 : 다르한(Darhan, 8만명), 에르데넷(Erdenet, 5.4만명),
초이발산(Choibalsan, 2.7만명)
ᄋ 문자해득률 : 86%
ᄋ 언 론
1) 신 문
ᄋ 주요 일간지
- Urdiin Sonin(Daily News), Zunny Medee(Century News),
Unuudur(Today), Mongoliin Medee(Mongolian News) 등
ᄋ 영자지
- Montsamee News, Mongoliathisweek(주간) Mongol Messenger(주간),
Ulaanbaatar Post(주간)
ᄋ 기타 200여개 신문 발간
2) 잡 지
ᄋ Turiin Medeelel(정부발간 정보지), Eruul Mend(건강잡지), Shya- Medee(과학아카데미 뉴스) 등
3) 방송사
ᄋ Mongol TV.Radio : 국영, 유일하게 전국에서 시청가능한 몽골 최대 방송사
ᄋ Ulaanbaatar TV : U.B.시영, 수도일원에서만 시청 가능
ᄋ MN Channel 25 : 민영 TV 방송국
ᄋ Eagle TV : 미국(선교재단)과 몽골과의 합작으로 설립된 민영TV 방송사
ᄋ 기타 FM 라디오 음악채널, U.B.시 라디오 채널 등
4) 통신사
ᄋ Montsame(Mongol Tsahilgoan Medeenity Ayentlag) : 1957년 창설, 국영
ᄋ Mongol Press : 1986년 설립
ᄋ 시 차 : 몽골은 세 가지 시간대를 실시하고 있는데, 울란바타르는
한국보다1시간 늦음
* 하절기 일광절약시간제 실시로 한국과 동일 시각
ᄋ 공 휴 일 : 신년 휴일(1.1), 차강사르(몽골력1.1~2, 우리의 음력설에
해당), 모자의 날(6.1), 나담절(7.11~13), 건국기념일(11.26)
나담(Naadam) 축제
1) 유 래
ᄋ 현재의 나담은 몽골인민혁명 정부가 사회주의 혁명이 달성된 1921년 7월 11일을 기념하기 위해 도입한 관제행사로서, 매년 7.11-13간 전국적으로 개최됨
- 사회주의 혁명이전 7명의 봉건제후가 주최하던 전통 나담 행사와 몽골민족의 영산인 복드산, 헨티산 및 어버에 바치는 제2대 나담행사를 합친 형태
ᄋ 원래의 나담은 종교적 의미와 군사훈련의 의미가 강하였으나, 오늘날은 전국적 축제행사를 통한 국민결속이라는 정치적 의미가 보다 강함
2) 나담의 의미 : Play 또는 Rest의 개념
3) 주요행사 내용
ᄋ 축하연회
ᄋ 축하군중 대회
ᄋ 축하공연(활쏘기, 경마, 씨름 등 민속경기)
Ⅱ. 정 치
⑴ 정치체제 : 민주공화제(92.1.13新민주헌법 발효, 2000.12.14 헌법 개정)
- 과거 대통령중심제와 내각책임제의 중간 형태인 이원집정부제였으
나, 헌법 개정으로 의회와 내각의 권력을 대폭 강화하여 의원내각제
적 성격이 강화됨.
⑵ 주요 지도자
ᄋ 대 통 령 N. Bagabandi
ᄋ 총 리 N. Enkhbayar
ᄋ 국회의장 S. Tumur-Ochir
⑶ 주요 정당
ᄋ 몽골인민혁명당(Mongolian People's Revolutionary Party)
- 1990년 초까지 헌법으로 보장된 일당독재체제 유지
- '96.6.30 총선 패배 후 야당으로 전락(25석)
- 2000.7.2총선 압승(76석 중72석)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도 가입하는 등 중도좌파적인 성격으로 변신
- 당수 Enkhbayar
ᄋ 몽골민주당(Mongolia Democratic Party)
- 구집권 세력인 몽골민족민주당(MNDP)과 몽골사회민주당(MSDP)이
2000.12.6통합
- 현재 국회의원2명
- 당수 Doligjav
ᄋ 몽골민의당(Mongolia Civic Will Party)
- 국회의원1명
- 당수 Oyun
* 2002.1월 공화당(Republican Party)과 합당
ᄋ 몽골민주신사회당(MDNSP)
- 국회의원1명
- 당수 Eredenebat
Ⅲ. 경 제(2002년, 몽골통계청 자료)
ᄋ G D P : 약 10억 9천만불
ᄋ G D P 성장율 : 3.9%
ᄋ 1인당 G D P : 약 446불
ᄋ 물가상승율 : 1.6%
ᄋ 무 역 액 : 약 12.15 억불
- 수 출 : 약 5.24억불
- 수 입 : 약 6.9억불
ᄋ 주요 무역품목 및 교역국
- 수출품 : 동, 금, 형석, 몰리브덴 등 광물 및 캐시미어, 피혁, 양모 등
축산품
- 수입품 : 기계류, 자동차, 석유제품, 일상 소비재 등
- 주요 무역상대국 : 중국, 러시아, 미국, 한국, 일본 順
ᄋ 화폐단위 : Tugrik(US$1 = 1,130Tg, 2003.3현재)
3. 행정구역
가. 수 도 : Ulaanbaatar
나. 아이막(Aimag : 道) : 21개
ᄋ 아이막 밑에는 331개 솜(Som : 郡)과 1538개의 박(Bagh : 面)이라는 하부 단위
가 있음.
다. 3개 자치시와 아이막(Aimag)에는 지방의회(Local Hural)가 있음.
Ⅳ. 사회 * 문화
가. 생활양식
1) 유목문화의 전통
ᄋ 몽골인은 전통적으로 소나, 양, 말 등을 몰고 목초지를 찾아다니는 유목생활을 영위
ᄋ 현대의 몽골은 계획적이며 집단적인 목축이 성행
ᄋ 산업발전과 경제개발에 따라 이농과 인구 도시집중 현상 심화
2) 주거환경
ᄋ 몽골인들은 전통적으로 이동식 텐트 가옥인 겔(Ger)에서 생활
- 내몽골 지역에서는 파오로 불림
ᄋ 현대식 아파트는 1960년대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까지 몽골
인들의 아파트 거주율은 49.1% 수준으로, 50.9%가 게르 안에서 생활
3) 식생활
ᄋ 목축업을 주로하는 몽골인들은 봄과 겨울에는 주로 양고기를, 여름과
가을에는 버터,치즈 등 유제품을 상식
ᄋ 말젖으로 만드는 마유주(알콜도수 1도 전후의 발효주)를 즐겨마시며,
아침에는 수테차(Suteychai 몽골전통차)를 마심
4) 의 상
ᄋ 몽골인들은 우리나라의 두루마기와 닮은 겉옷 델(Del)과 모자격인 말가이(Malgai), 긴 장화 모양의 신발인 고탈(gutal) 등 전통의상을 즐겨 착용
Ⅴ. 교 육
1) 교육제도
ᄋ 3단계 교육제도
- 유치원(3-6세), 초.중등교육(7-16세), 고등교육(17세이상)
ᄋ 초.중등교육 학제 : 10학년제
- 초등교육(의무교육) : 6년으로 전국에 683개 초등학교가 있음.
- 중․고등교육 : 4년
ᄋ 대학교육 : 대학교, 기술학교, 직업학교
※ 한국인 유학생 수 : 몽골국립대를 중심으로 약 20여명 유학중
2) 교육현황
ᄋ 교육여건과 시설의 낙후에도 불구, 97.8%의 높은 문자 해득율을 보이고 있음
ᄋ 유치원 취학대상 아동중 1/3정도만이 유치원에 등록하고 있으며, 초.중등교육은 1-8학년 까지는 96%의 높은 취학비율을 나타 내고 있으나 9-10학년 이후 50% 이하로 급격히 떨어짐.
ᄋ 고등교육 과정으로 몽골국립대학 등 7개의 고등교육 전문기관과 40개 직업기술학교가 있음
ᄋ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 과정을 반영, 건설.공업계열 학교의 진학율이 높으며, 과거 러시아어가 제1외국어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었으나, 점차 수요가 줄어들면서 영어,일어 및 한국어에 대한 수요 증가추세
3) 교육기관 현황(2001년)
교 육 기 관 수 학 생
초 등 학 교 683 560,100
고등교육기관 63 78,600
'선교자료 > 5.선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교하는 교회 부흥된다? 안된다? (0) | 2007.06.02 |
---|---|
불교권 선교현황 (0) | 2007.06.02 |
선교역사 강의(아세아 신대학/ 이교욱 교수님 (0) | 2007.06.02 |
일본인의 기원 - 4 (일본 왕실의 기원) (0) | 2007.06.02 |
일본인의 기원 - 3 (일본인의 종교) (0) | 2007.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