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와 사도들의 시대(6 BC - AD 70)

2007. 4. 28. 23:26교회사자료/9.이스라엘 역사

예수와 사도들의 시대(6 BC - AD 70)


예수 그리스도의 뿌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오래 전 유대인들의 역사에까지 올라간다. 그러나 1세기 초 기성 유대교를 비판하고 역사의 빛 속으로 부흥의 운동을 불러 온 것은 다름 아니 나사렛 예수였다. 로마 총독 본디오 빌라도(Pontius Pilate)치하에서 그의 십자가에 달려 처형된후 예수의 가르침은 지중해 전역에 퍼지게 되었다. 바울이라는 이름의 사도가 특히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모든 인류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강조함으로서 기독교를 팔레스타인의 유대 종교로부터 변신시켜 세계종교의 위치에 올려놓게 되었다.
 
1. 왕을 처형하라
A. 예수님과 교회
예수는 유대인이었다. 그는 유대인 가정에서 출생했으며 율법을 공부했고 유대교를 숭상했다. 예수님은 2년 동안이나 하나님의 왕국을 전파하시며 사랑과 용서의 새 언약(New Covenant)을 제정하셨다. 그리고 특별된 공동체를 통해 그의 운동을 시작했다.  복음서와 예수의 행적을 종합해 볼 때 예수는 교회를 창설했다고 볼 수 있다.
B. 예수님 시대의 팔레스타인
예수님 시대의 팔레스타인은 각종 집단이 한데 섞여 존재하고 있었으며 당시 로마에 의해 지배당했던 2백만여 이곳 주민들은 지역차와 종교와 정치에 의해 분열되고있었다. 예루살렘 밖에서는 이방신들에 대한 제사가 만연되어 있었고 유대인들은 외국인 통치자에 대한 경멸과 이교문화에 염증을 느기고 있었다. 이 당시에 유대민족들은 여러 선지자들에 의해 예언되었던 사람이 나타나 그들을 해방시키고 하나님의 왕국을 건설하여 번영을 회복시킬 메시아의 출현을 대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움직임들속에서 여러 분파가 더욱 그 모습을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 바리새인(Pharisees)
a. 이교 문화와 구별되는 유대인들의 전통과 관습 강조
b. “구별된 지들”이라는 의미
c. 유대법의 모든 세칙들을 다 준수함
d. 자기들의 모습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제사법상 깨끗치 못한 자들을 경멸함
d. 경건심과 애국심을 백성들에게 존경을 받음
나. 사두개인(Sadducees) 
a. 보수적인 정치 집단 
b. 로마인들의 통치를 스스로의 이익을 위해 이용
c. 최고 유대인 의회 산헤드린(Sanhedrin)장악
d. 백성들 사이의 영향력 미미
다. 셀롯(Zealots) - 열심당
a. 무장 봉기를 통한 유대 독립 투쟁  
b. 종교적 열정과 무력 저항으로 헬라 압제자들을 몰아내었던 마카비 시대 희구 
c. 게릴라 집단
라. 에세네파(Essens) 
a. 외부와 격리된 수도원 공동체를 이룸
b. 경전을 공부하면서 주님의 왕국 준비
c. 정치나 전쟁에는 관심을 두지 않음
# 예수님은 유대인들 가운데 존재했었던 여러 기존 집단들과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신의 사역을 제자들에게 분명히 주입시키심
C. 예수님의 사역
가. 침례요한의 사역 →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침례요한에게 침례를 받으심)
나. 갈릴리 지방을 사역의 무대로 삼으심
다. 예수님 교훈의 주제 : 하나님 왕국 또는 하나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 
라. 하나밍의 통치가 자기 존재의 구원의 능력 가운데 이미 임재하고 있음을 암시
마. 기적을 베푸신 예수님 (침묵 요구)
D. 예수님의 메세지(회개와 은혜의 메세지)
가. 충성스런 제자들을 거느리심(12제자)
나. 바리새인의 교만과 외식을 경멸하심 
다. 전통적으로 메시아적인 구세주에게 주어진 칭호 사용을 주저함(오해 소지 근절)
라. 이 세상왕국은 세력이 강한 지도자에 의해 통치되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사랑과 봉사에 의해 통치된다고 말씀하심
# 바리새인과 예수 운동의 차이
바리새인 : 유대인들의 종교적 율법을 지키는데 기초 
예수 그리스도 : 자기의 의를 부인하고 오직 하나님의 자비에만 의지
E. 마지막 주간
가. 나귀타고 예루살렘 입성(슥)
나. 성전을 엎으심(마 21:12)
다.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의 동맹 → 가룟유다의 배반 → 십자에 못박힘


2. 헌 포도주 부대와 새 부대
예수님 처형후 예수 운동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산헤드린 공회는 복음이 전파되어지는 것을 금지하고 핍박하였으나 하나님의 복음은 거세게 전파되었다. 그중 스데반 집사는 성전을 공격하고 사두개아인들과 대제사장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율법을 부인했다. 하나님의 역사를 구약부터 설명했던 그는 유대인들에 의해 돌에 맞아 순교했다. 그러나  이것이 오히려 기독교 확산에 도화선이 되었다.
A. 기독교와 유대교
가. 기독교의 뿌리는 유대교
나. 유대교의 두 조직 율법과 성전은 임시적인 존재(스데반 집사의 설교)
다. 예수님의 부활이 기독교 신앙 
B. 최초의 공동체
가. 처음 모인 신자들은 유대이었음
나. 집단 전체가 모두 경건한 듀대인들이었음
다. 유대 율법을 지키고 회당과 성전에서 예배함
라. 외형적인 모습에선 다른 유대교의 분파들과 차이가 없었음 
마. 에클레시아(Ekklesis, Church) 하나님 백성의 모임으로 표현하기 시작함
바.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의 실재성을 의미하는 예식을 그들의 교제에 중심을 둠
a. 침례(Baptism) 
① 요한의 침례가 도래하지 않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고백인 것인 반면 초대교회의 침례는 ‘종말론적’ 의미가 있었음 
②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영적 왕국 안으로 들어감을 의미
# 신자들은 예수님을 주님으로 믿는 신앙으로 그 영적인 왕국에 들어가는 것이고 그 신앙을 침례로서 증언함
C. 헬라파들
사도들의 가르침과 주님의 죽음과 부활의 믿음으로 지방 전체에 확산되기 시작한 이 운동은 당국의 우려와 새로운 교회의 긴장을 야기시켰다. 그 가운데에 헬라파 유대인들의 개종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예루살렘에 정착하기 위해 몰려들기 시작했다.   
가. 70인역(Septuagint) 헬라어 구약 성경 사용
나. 헬라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 
다. 팔레스틴 사람들보다 쉽사리 이방인들과 어울림
라. 새로운 사상들에 대해 보다 개방적임
마. 대표학자 :. 사도 바울(기독교의 형성과정에 큰 영향을 끼친 사람)
a. 율법주의자
b. 다메섹 도상에서 주님을 만남
c. 엄격한 유대의 교육을 받음(가말리엘 문하생)
d. 헬라어를 유창하게 구사 
f. 헬라의 사상과 문학에 정통
g. 로마 시민 
① 자유로이 여행할 수 있었음 
② 여행 중 신분과 안전의 보장
③ 사회의 상류층과 접촉이 가능했었음 
바. 바울의 개종 → 전도 → 이방인 선교의 특수 사명 완수
사. 네로황제(Nero)의 기독교 핍박시(AD 64) 순교
# AD 64 이후 전통적 유대교와 결별한 상태로 이방인 신자들은 할례를 받지 않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안식일 대신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을 예배의 날로 정하고 있었음 
E. 예루살렘의 멸망
가. AD 41년 세배데의 아들 야고보가 헤롯 아그립바에 1세에 의해 살해당함  
나. AD 62년 예수님의 형제 야고보가 유대 대제사장의 명에 의해 살해다. AD 64년 유대인의 성전건축이 끝나고 난 후 수천명이 실직 → 사회적 불만 고조 
라. AD 66년 황제에 제사 거부
마. AD 70년 티투스(Titus)의 베스파시안(Vespasian)군대에 멸망
바. 사도시대의 종말을 의미 → 교회의 지도권 등장


카톨릭 시대 (AD 70-312)
이 시대의 기독교는 로마 제국 전체에 전파되었으며 동쪽으로 인도까지 전파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독교인들은 자기들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거대한 운동의 일부임을 자각하고 되었다. 그들은 이 운동을 ‘카톨릭(Catholic)’이라 불렀다. 이는 곧, 이 집단이야말로 이교도들의 조롱과 로마의 핍박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이며, 예수님의 교훈에 대한 모든 잘못된 오류들에 대항하여 ‘진리’임을 주장하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자기 시대의 여러 도전들에 대항하기 위하여, 이들은 점차 자기들의 감독(Bisop, 주교)들의 영적 지도력에 의지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카톨릭 기독교는 세계적 시야, 전통적 신앙, 감독주의적 교회 조직 등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3. 오직 가치없는 인간들만이
초대 기독교 신자들은 모든 인류에게 복음을 전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1세기의 기독교는 영적 폭발과 같아 지리적, 사회적 모든 방향으로 번져나갔다. 이 시대를 카톨릭 시대로 부르는 이유는 기독교 사상이 사도들의 죽음과 기독교 황제들의 출현사이의 기간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카톨릭이라는 말은 이그나티우스(Ignatius)에 의해 첨음으로 사용되었다. 3세기 후에 기독교는 로마제국 전체의 공식적인 종교가 되었다.
A. 믿음의 확장
바울의 전도 → 서방으로 진출(스페인까지) → 북부 아프리카
B. 복음의 사회적 영향
가. 터툴리안(Tertullian): AD 150년경 카르타고에서 출생
a. 라틴 신학의 아버지
b. 터툴리안의 변증
① 기독교인들에 대한 박해가 법률적, 윤리적으로 비합리적임을 강조
② 순교자에게 용기를 주고 이단자 비판
③ 주기도문과 침례의 의미를 설명
c. 삼위일체에 관한 정통신학의 발전을 도움 : 삼위일체(Trinity)의 라틴어 단어 최초 사용
나. 판티아 누스(Pantaenus)
a. AD 185년 회심한 스토아 철학자 
b. 인도가지 여행. 매우 유능한 사색가
다. 클레멘트(Alxandria of clement) 
a. 판티아누스의 제자
b. 신자들의 신아을 강화시킴
c. 불신자 전도에 큰 역할 감당
# 변증가(Apologist) : 기독교의 적수들의 공격에 응답하고, 이교 신앙의 약점들을 지적함으로서, 기독교에 대한 일반인들의 여론을 변화시켜, 많은 이들을 개종시켜 보고자 했던 사람들(아리스티데스, 저스틴 마터, 타티안, 아테나고라스, 안디옥의 테오필로스, 디오그투스 등)
C. 복음 전파의 원인들
가. 초기 기독교 신자들의 불타는 확신
나. 기독교의 복음이 당시 인간들이 널리 느끼고 있었던 내심(內心)의 필요 충족시켜줌
다. 기독교적 사랑의 구체적 표현이  기독교의 성공을 가져옴 
라. 박해가 기독교의 진정한 모습을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함


4. 만약 티베르 강이 넘친다면
서머나 감독 폴리갑(Policarp)의 순교
A. 로마의 정책
가. 정복지역의 종교에 대해 관대함을 보임
나. 피정복 국가들의 전통적 국가 의식에 첨가하여 황제 숭배 의식 첨가
# 황제 숭배 정책 
황제가 곧 주님이시다 (데키우스 AD 249-251 숭배 공식화)
B. 박해의 이유들
가. 초대 기독교인들의 구별된 생활 태도
# 성도들(Saints) : ''''''''다르다(different)''''''''의 어원에서 옴
나. 신자들이 이교도의 신들을 부인
다. 사회적 모임 동참 거부
라. 초대신자들에 대한 헛소문
a. 성적문란
신자들의 모임이 아가페(Agape), 사랑의 연회라 불리웠던 사실과, 신자들이 서로에게 ‘거룩한 입맞춤(Holly Kiss)''''''''을 했던데서 연유
b. 식인(Cannibalism) 
성찬을 비밀리에 시행한데서 연유 - “이 떡은 나의 몸이다. 이 포도주는 나의 피다.” 이교도들이 기독교인들은 피와 살을 먹는다고 결론을 내림 
c. 기독교인들이 무신론자라는 죄목를 받음
형상이 없는 대상에 대한 예배를 이해못함. 그 결과 기독교인들이 제국의 신들을 모욕한다고 비방.
마. 황제 예배의 전통에서 비롯
a. 정치적인 문제 : 백성들의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확인하는 시험


5. 역사의 변호 : 정통신학의 기원 
카톨릭 기독교는 각 지역성에 비교해 볼 때 우주적이며 이단에 대해서는 정통성을 지닌다.
A. 신앙과 신학
가. 신학
a. Theology= Theos + Logos 의 합성어 
b. 종교자체와 동일하지 않음.
나. 정통은 오류에 대항한 복음의 대결에서 발생
B. 가짜 복음들
가. 에비온(Ebionites) : 예수님의 신성 부인
나. 가현설(Dosetism) : 예수님의 인성 부인
C. 지식의 인간들
영지주의(Gnosticism)
가. 케린투스
나. 기본관념 : 이원론(Dualism)
세상은 선과 악으로 구분 (악과 물질은 동일)
다. 부르조아와 프롤레타리아로 양분된 천국을 상상
라. 영지주의의 위험성 : 예수님의 성육신 사건 부인, 복음 상실
마. 사도 신경 등장 : 삼위일체 신앙 기초


6. 경전들의 규율 : 성경의 형성
4 세기 초 로마 관리들 기독교 박해로 성경 소각  
A. 성경의 기초적 문제들
가. 구약은 약속, 신약은 성취   정경(기록된 하나님의 말씀 66권)
나. 오리겐(Origen): 성경은 영에 의해 기록됨 (알레고리 사용)
다. 외경의 문제(Apocrypha)
카톨릭은 정경으로 인정 → 어거스틴(Augustine)
라. 367년 아타나시우스(Athanasius)의 편지와 카르타고 종교회의 (397)


7. 죄인들을 위한 학교 : 감독들의 권위
성령을 받고 침례를 받은 후에 심각한 범죄를 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침례후에 짖는 죄들 가운데 용서받을 수 없는 죄도 있는가?의 문제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다. 몬타누스의 예언과 성령의 계시에 대한 반박과 끝없는 신학의 성찰로 교회는 정통성을 확립하기 시작했고 그러한 죄와 투쟁하는 과정을 통해서감독제도(Episcopacy)를 발전시키게 되었다.


A. 교회의 지도자들
가. 장로 (목사) : 신자 양육, 치리 담당
나. 집사 : 상찬 및 모든 부분에서 장로 보좌
다. 영지주의와 대결 속에 권위 강화
B. 감독들의 위치: 카톨릭에 있어서 절대적인 권위자(교황)
C. 죄에 대한 문제
가. 성적 부도덕(Sexal Immorality)  
나. 살인 : 하나님은 용서할 수 있으나 교회는 용서치 못함
다. 신앙의 배반 
라. 기독교 박해 : 데시우스(Decius 249-251) = wmdaudtj qkfrmq
a. 키프리안(Cyprian)
교회밖에 구원이 없다. 고행의 제도 면죄부 사건
b. 노바티안(Novatian): 교회의 죄사함 권세 부인


8. 지성인들의 사도 : 알렉산드리아인들
A. 제롬(Jerome): 수도사, 성경번역 (라틴 벌게이트판)
인간들과 제국의 상황속에서 기독교의 역할은 무엇인가?
B. 터툴리안 : 기독교와 헬라 철학 비판
C. 클레멘트Clement of Alxandria 와 오리겐(Origan)
가. 교리 문답학파
나. 성경 헬라 철학에 능통
D. 오리겐(Origan)
가.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 모든 진리의 귀속
나. 가이샤랴(Caesarea)에서 성직 안수
다. 무지는 경건의 큰 장애물
라. 6개의 번역판 구약 대조 성경 편찬 (Hexapla)
마. 풍유적 해석(Allegorical interpritation)영역 확장
바. 기독교 신앙에 대한 지성적 기본 골격 마련
사. 254년 사망


기독교 로마 제국의 시대(AD 312 - 590)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기독교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가운데 하나이다. 그의 개종 이후 기독교는 카타콤의 음습(陰濕)한 어두움으로부터 궁정에서 특권을 누리는 위치로 옮겨갔다. 제 4세기를 박해받는 소수의 입장에서 시작했던 기독교가 제국의 공식적 종교로서 그 세기를 마감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교회는 제국의 권력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사회 전체를 위한 도덕적 책임을 담당하게 되었다. 국가를 섬기기 위해 교회는 그 교리를 정비하고 체제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신앙의 세속화에 대한 반발로 수도사들이 나타났다. 또한 이 시기에, 베네딕트 수도회에서 이교도들을 교화시키기 위한 선교사들을 모집하고 파견하는 동안에도 야만족들이 제국의 서부 지역으로 침입해 오고 있었다.
    
9. 제당의 홀(笏)을 내리다
A. 콘스탄티누스(AD 312-590)
가. 카톨릭 기독교 시대에서 기독교 제국의 시대 도래
나. 죽기전 니코메니아 감독 유세비우스에게 세례를 받음
B. 데오도시우스 (Theodosius):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
가. 기독교 제도의 그리스도와 황제의 새로운 계급 제도의 형성
나. 7000명 학살  회개


10.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
기독교외에 어떤 종교도 셋이자 하나이신 하나님을 숭배하지 않는다. 초대교회에서는 “셋이 하나속에, 그리고 하나가 셋속에 존재한다”논쟁은 이단으로 정죄
A. 신비적인 해석
가. 아리우스(Arius of Alxsandria)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육신이 되셨던 말씀은 진정한 하나님은 아니며 전혀 다른 본질이며 영원하지도 전능하지도 않다고 주장
나. 알렉산더(Alxander of Alxandria)
감독으로서 320년경 아리우스 정죄때문 회의소집
다. 콘스탄티누스의 중재 
325년경 니케아 신조(Nicene Creed)성립
“진정한 하나님 가운데 진정한 하나님, 창조되지 않고 잉태되었으며, 성부와 동일한 본질” True God of true God, begotten not made, of one substance with the Father
라. 어거스틴 
a. Hippo의 감독
b. 기억, 지성, 의지 하나의 위격 주장


11. 임마누엘 : 신앙고백들 속의 예수 그리스도
A. 고백
가. “당신은 메시아,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 예수님의 물음에 대한 베드로의 답변
나. 451년 킬케톤 회의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한 하나님이시자 완전한 인간이시며 혼란이나 변화나 분열이나 분리가 없는 두 본질로서 한데 모여 위격을 형성하였다”고 고백   
B. 말씀이 육신이 되시다
가. 기독론(Christology)
a. 이슬람교에 모하메트론이 없으며 불교에 부처론이 없다
b. 과연 그리스도는 누구신가?
나. 제국시대가 성육신에 관한 의문을 새로이 창조한 것은 아니다. 이 시대에 본격적으로 논란되어졌을 뿐이다.
다. 학파(초대교회)
a. 알렉산드리아 학파
대표 학자 : 오리겐(Origen)   하나님과 인간은 계시의 관계 로마지지
b. 안디옥 학파
성경을 단순하고 역사적인 양식으로 해석, 그리스도의 완전한 인간성 강조  콘스탄틴노플과 동맹
C. 그리스도에 관한 중요한 이단들
가. 아폴리나리우스(Apolilinarius) : 심리학적인 방향의 문제 접근
“신적인 말씀이 하나의 육신을 입은 성질(One enfleshed nature of the divine Word)" 381년 콘스탄틴 노플 공의회에서 묵살
나. 네스토리우스
a. 안디옥의 설교자이며 428년 콘스탄틴 노플에 임명
b. 신성을 부인한 적은 없지만 예수의 인간적 행위들과 고통을 신성에 의거한 것으로 돌리기를 거부.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 키릴의 정치적인 이유로 정죄함 수도원에서 축출 페르시아 수도원 생활 번창
다. 유티케스(Eutyches)
a. 그리스도안의 한 본질을 주장 (단성론, monophysistism)을 주장
콘스탄틴노플의 총대주교 플라비안(Flavian)의 정죄
b. 알렉산드라의 총대주교 디오스코루스(Discorus)의 지지
c. 동방정교회로부터 분리  콥트(Coptic)교회 조직


12. 삶으로부터의 유배 : 수도원 운동의 시작
A. 최초의 수도사 안토니(Antony)
가. 250년경 코마(Koma)에서 출생
나. 금욕주의, 청빈생활
B. 파코미우스(Pachomius)
가. 320년경 최초의 기독교 수도원 조직
나. 규율에 따르는 생활 공동체 조직 (공동생활 수도주의)
C. 바질 : 희랍정교회의 수도원들 운용하는데 필요한 규율 제정
D. 수도원들의 기본 서약
청빈, 순결, 순종
E. 제롬(Jerome)
가. 수도원 출신의 학자
나. 베들레헴 수도원 은거 성경번역(Vulgate)- 로마 카톨릭 교회의 공인본으로 통용
F. 아타나시우스: 「안토니의 성인」의 저자로 서방에 수도원 생활을 소개함
G. 베네딕트(Benedict of Nursia)
가. 금욕주의 생활
나. 3년간 성경연구, 극심한 자기 부정
다. 수도원장
라. 행정에 뛰어났으며 생활은 기독교인의 이상적인 보습
H. 수도원 주의의 찬반
가. 수도원장의 권한
a. 원장에 절대적인 순종을 서약
b. 수도사들에 의한 원장 선출
c. 나태는 영혼의 적, 충실한 예배강조
나. 수도원 운동의 결점
a. 신도들의 헌금 유산은 수도사의 나태 촉진. 청빈 정신의 변질
b. 수도원에 입원은 정상적으로 세상관계와 절연을 의미하며 기독교 가정의 일체의 아름다움을 회피하는 모습임


13. 시대의 교사 : 어거스틴
A. 시대적 배경
가. 로마의 몰락 : 410년 비시코트(Visigoth)의 알라리(Alaric)의 침입으로 몰락
나. 어거스틴의 배경
a. 354년 누다미아(Nudamia)의 소읍 타카스테(Tagaste)에서 출생
b. 결혼하여 아들 아데오다투스(Adeodatus)를 얻음
c. 마니교에 심취 : 마니교는 신약의 대부분을 인정했으나 구약 전체 부정
d. 밀라노 국립대학의 교수
e. 387년 암브로시우스에 의해 세례를 받음 
f. 390년 Hippo에 사제로 임명
g. 397년에 Hippo에 감독으로 임명
B. 사회속의 기독교 논쟁
가. 도나티스트
a. 순결한 교회의 관념 주장
b. 교회의 오염 주장(배교자의 입교에 대해 반대)
c. 성례의 효력은 성직자의 도덕적 성결성에 있음
나. 어거스틴의 주장
a. 순결한 교회 관념 반박 (알곡과 가라지 마 13:24-30)
b. 성례의 집례자는그리스도에게 속함
c. 사제 중심적 교회 모습 주장
d. 교회의 적수들에 대해 무력 사용 주장
다. 어거스틴 주장의 영향
a. 중세 카톨릭 교회의 극단성
b. 종교재판을 통한 기독교내 분파 박해
라. 어거스틴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
a. 교회는 하나님의 도성을 이룩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 공동체
b. 국가는 범죄를 다스리고 평화유지, 죄위에 건설되었으므로 국가는 기독교의 규율에 복종해야 한다.


14. 대 사제로서의 베드로 : 교황 제도의 시작
교황직의 근거는 어디에 있으며 그 기반은 언제 마련되었는가?
A. 로마 카톨릭의 주장
제 1차 바티칸 공의회(1870)
가. 예수 그리스도는 베드로 사도를 통하여 교황제도를 술비하였다.
나. 로마 감독은 베드로 사도의 후계자로서 전체 교회위에 최고 권위를 가지게 된다. (동방정교회, 프로테스탄트는 반대)
B. 레오의 주장
가. 로마 북부 귀족 출신
나. 베드로 위에 그리스도의 교회를 세우기로 하신 약속에 근거 교황의 우월권 주장 (마 16:13-9; 눅 22:31,2; 요21:15-7)
다. 킬케톤에 소집되었던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지지
라. 레오의 주장에 대한 반박
a.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겸손한 봉사로 남을 지도해야 한다.
b. 베드,로에게 권위가 주어진 것이 아닌 로마감독으로서의 그의 직위에 주어 진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은 모순이다.
C. 폐회속의 지도자
로마를 두 번 구원한 레오는 대 사제의 위치를 차지함으로 베드로의 권위는 확고하게 수립됨


15. 천국과 지상의 어딘가에 : 동방 정교회
오늘날 기독교의 3대 집단은 로마 카톨릭, 동방 정교회(Eastren Orthodoxy), 프로테스탄트가 있는데 이 중 동방정교회가 가장 잘 알려지지 않은 집단이다.


A. 정교회의 이해
가. 동쪽벽에 걸려 있는 성상 (Icon)
나.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창조되었음. 인간 자신속에 하나님의 성상을 간직하고 있다.
다. 콘스탄티누스의 개종으로 국가와 교회사이에 동맹을 맺게 됨
라. 콘스탄티노플은 동방기독교 전통의 본거지이자 비잔틴 문명의 본거지
B. 정교회의 발전
유스티안(Justinian, 527-565)
가. 538년 성지교회(Church of Holy Wisdom) 하기아 소피아(Hagia Sophia)를 중건
나. 로마의 국가적 전통과 기독교를 구별하지 않았으며 완전한 로마황제 이자 기독교의 황제로서 그 스스로를 하나님의 뜻을 집행하는 자이며 제국은 하나님의 계획을 실행시키는 수단이요, 통로라고 생각함
C. 성상에 관한 논쟁
가. 6세기 이후 교회와 제국정부는 기독교의 성상제조와 수도원 출신의 성자들을 숭상하는 행위를 조장
나. 8세기 초 레오 3세 성상들의 반대 운동 전개 - 성성 파괴 운동
다. 니케아 회의(787): 7차 공의회
a. 성상파괴운동 부정 
b. 다마스쿠스의 요한의 견해 지지
D. 동방 대 서방 
가. 유스티니안의 치세와 성상파괴운동을 통하여 동방과 서방사이에는 간격이 점차로 벌어지게 됨
나. 동방정교의 쇠퇴
a. 원인 : 이단의 성행과 군사적 약화로 제국의 퇴색
b. 세력 : 서부 터키, 발칸반도, 키프러스등으로 축소
           
16. 정복자들의 목을 꺽다 : 야만족을 향한 설교
A. 야만족들의 침입
게르민족의 침입 로마의 멸망 새로운 기교 문명의 탄생(476)
B. 북부에로의 선교
가. 아리우스 주의의 영향 
아리우스파는 니케아공의회(325) 이후 반 세기 만에 울필라스(Ulfilas)가 댜뉴브강을 건너 비스고트족 사이에 40년을 사역했으며 기독교는 이들 고트족으로 부터 게르만 민족들에 전파됨
나. 아일랜드 인
a. 원래 겡트족으로 5세기 초 패트릭이 사역한 열매
영국 전체에 대한 선교지의 역할
b. 수도원 설립 : 대륙을 향한 선교 사역 담당
C. 프랑크족에의 전도
가. 부족의 창시자는 클로비스(Clovis, 481-511). 정통 기독교로 개종한 최초의 중요한 야만족장
나. 프랑크족의 집단 개종 
a. 클로비스와 일라만니족의 전투에서 승리  
b. 군사 300명이 침례를 받음
c. 기독교 유럽의 모습을 결정짖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 담당
D. 잉글렌드에로의 통로
가. 프랑크족 고올 브리틴
나. 영국인의 개종
a. 로마 교황이었던 대 그레고리의 수도사 파견. 수도사 켄트 지방에 정착
b. 에델바트(Edelbert)왕의 개종
c. 캔터베리에 수도원 부지헌납 어거스틴 대주교 임명
다. 보니페이스(Boniface)
중세 브리틴 시대의 선교사로서 교황으로부터 독일 복음화를 명령받고 이교도 복음에 대 성공을 거두었으며 마이츠의 대주교가 되었으며 프리지아에서  순교하였음(754년경)


중세 기독교 시대 (590-1517)
유럽은 많은 이들이 생각하는 이상으로 기독교의 혜택을 입은바 있다. 야만족들이 서방의 로마 제국을 파괴하였을 때, 오늘날 우리들이 유럽이라 일컫는 새로운 질서를 마련한 것은 다름아닌 기독교회였다. 교회는 법에 의한 통치, 지식과 학문의 추구, 문화의 창달을 위해 지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기반이 되었던 개념은 기독교권, 즉 제국과 교회의 연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샤를마뉴(Charlemagne)치하에서 8세기에 시작되었으나, 곧 교황들의 영향력이 점증하여 이노센트(Innocent 3tp, 1198 - 1216)때에는 유럽인들이 교황을 세계의 지배자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교황의 부정, 부패에 젖은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교화의 변화와 개혁을 부르짖는 전투적인 개혁가들의 숫자가 증가하게 되었다.


17. 하나님의 집정 : 대 그레고리
590년 초 로마의 전엽병 발생. 교황 펠라기우스 2세(Pelagius 2세)사망 590년 9월 9일 수도사 그레고리를 성 베드로의 정식 후계자로 임명
A. 역사속의 그레고리 위치
가. “하나님의 집정관(Consul of God)이라 불리웠으며 교회의 라틴교부들(어거스틴, 암브로시우스, 제롬등)속에 포함되었다.
나. 뛰어나 ㄴ행정능력과 따스한 사랑을 겸비한 인물
다. 540년경 원로원 출신 가문에서 출생하여 정부 관직을 담당하기 위한 교육을 받음
라. 이탈리아 총독인 나르세스(Narcres)의 콘스탄티노플 지배의 혼란기에 그는 황제 저스틴(Justine)에 의해 로마 시장에 임명됨
마. 수도원의 건축, 가난한 자들의 구제
바. 579년 황궁 대사
사. 585년 성 안드레 수도원장 임명
B. 파괴된 세상의 재건
그레고리의 저서 목회규율(Pastrol Rule) 기독교의 원칙 제시
C. 선교 지도자
가. 수도원의 자주권과 재산 보장
나. 베네딕트파의 어거스틴과 40명의 수도사 잉글렌드 파견 복음 전파
D. 정통 신앙의 수호자
가. 일반적인 신앙과 신학을 체계화하여 중세 카톨릭 교회에 전수 - 미신적인면 포함
나. 그레고리 인간론
a. 아담의 타락성은 후세에 영향
b. 공로적 선행없이 회개가 온전치 못하다.
            c. 죄인들은 성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 성만찬의 기적적인 능력
            연옥을 주장 대화 (Dialogue)-- 미사의 위력을 신봉



 18. 통일과 연합의 추구 : 샤를 마뉴와 기독교권
     샤를 대제(Charles the Great) : 레오의 지원 요청으로 프랑크족의 왕인 샤를은 로마로 진군하였다. 샤를은 어거스틴ㅇ의 신국의 개념에 힘입어 보편적이고 카톨릭적인     교회의 개념을 로마의 전통적 제국의 개념에 연계시켰다. 그리하여 종교적 관심과 세속적 사건들을 한데 결합시키는 종합적 사회의 모습이라 할 수 있는 기독교권의 사상     과 조직을 확립하였다.


     A. 제국의 건설자
        가. 아인할트(Einhart)의 샤를 마뉴 전기 = 투사형의 왕이며 행정가
        나. 바르셀로사 주변 스페이시 마크 (Spanish Mark)정복
        다. 게르만 최후의 독립 부족(바바리안인과 색슨족)정복
        라. 아르바족의 궤멸 - 오스트리아 정복
        마. 교황청과 동맹 강화
        바. 동방 황제도 그를 인정
        사. 학문과 예술을 부흥시켰으며 기독교 문명을 유럽내에 정착
     B. 봉건 제도로의 전락
        가. 샤를마뉴의 사후 부족들의 발흥으로 봉건주의 태동으로 봉건제도 성립
        나. 교회와 봉건 영주들과의 싸움
     C. 하나님의 질서를 잡다.
        교회는 왕들과 황제들에 의해 도전한 상태에 있지 못했으며 우선적으로 교회 내부의 질서를 잡는 것이 중요하였다.
        가. 카놋사의 굴욕(Canossa) : 국가의 황제 하인리히와 교황 그레고리의 싸움에서 교황인 그레고리의 승리 (1077)-- 1122년 보름스 정교협약에서 타결
        나. 보름스 정교 협약은 교황의 우위성 확보


 19. 신비한 방법으로 들리우다 : 교황제와 십자군 원정
     A. 통일 민족 국가의 출현
        가. 제국의 우주적 권세를 약화시킴
        나. 교황청은 그레고리 7세의 개혁으로 강력한 지위로 등장
     B. 교황의 위치
        가. 이노센스 3세(Innocent 3세, 1198-1216)의 등장으로 교황의 권위 군주를 능가
           “하나님 보다는 못하나 인간들 보다는 우월하다” 만인을 심판하나 심판받지 않는 존재
        나. 파문권과 금령
            a. 파문권 : 교회가 특정인에게저주를 발함
            b. 금령 : 전 국가를 상대로 하는 것
        다. 정치적 문화적 영향력의 최고봉
      C. 십자군 원정
         가. 원인
             a. 성지로부터 이슬람교도 축출
             b. 이슬람인들의 동방 황제 포로
             c. 십자군 원정의 성전(聖戰)화
         나. 각 원정의 결과
             a. 1차 원정 : 예루살렘 탈환
             b. 3차 원정 : 자유스런 예루살렘 통행에 동의
             c. 4차 원정 : 성지 회복 계획 망각 - 1204년 콘스탄틴노플 라틴제국 건설
         다. 결과
             a. 결론적으로 참담한 실패 사건이다
             b. 교황청의 권위가 높아짐
             c. 칼은 절대적으로 하나님게서 그의 교회를 확장시키는 방버이 될 수 없다는 명백한 진리의 교훈을 얻게함     


 20. 학문의 신주 : 스콜라 철학
     A. 중세의 건축 양식
        중세의 건축 양식은 고딕식으로 빛과 색깔이 효과적으로 어울어진 성스러운 듯한 분위기로서 하나님과의 친밀감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B. 대학의 발흥
        가. 대학의 발흥 : 인간 세상에 닿은 하나님의 진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갈구 - 스콜라 주의
        나. 중세 교육의 특색
           학문을 연구하는 태도로 열심히 신앙에 따라 사는 삶 - 삶의 목표는 영혼 구원
        다. 일반 신도들의 교육
            a. 성당 부속 학교
            b. 과목 : 문법, 수사학, 노리학, 대수, 기하, 음악, 천문학
     C. 대표적인 학자
        가. 게르바트(Gerbert)
            a. 농노의 아들. 후에 교황 실베스터 2세
            b. 교수로서 로마 원전 연구를 주장
        나. 피터 아벨라드(Peter Abelard, 1079-1142)
            a, 저서 「시에농」
            b. 1121년 소아쏭(Soissons)회의에서 정죄
               수도원에서 갇히고 1140년 상스(Sens)회의에서 정죄 이단 명명
      D. 교육방법
         강의와 논쟁 : 스콜라 철학의 발전
      E. 교황 군주제의 지지
         가. 논쟁적인 교육방법은 교황의 절대적인 권위를 옹호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교회법의 정비와 기독교 신학의 체계적 정리를 싣고하였다.-- 볼로나 대학
         나. 교회법
             a.. 그라티안 「부조화한 교회법의 조화」
             b. 금식과 축일의 규정
             c. 귀천을 막론하고 모두에게 적용
             d. 교황에게 보편적 원위 부여
             e. 기독교 사회를 위한 부동의 합리적인 신학적 체제 정비
       F. 합리적 추구의 절정
          이슬람 철학자 아베로에즈(Aberroses)와 유대인 철학자 마이모니데스(Mamonides)의 사상의 유입으로 성경계시에 대한 의심을 촉구함- 파리대학
          로마는 토마스 아퀴나스를 파리로 급파했으며 그의 저서 「신학대전」
          # 아퀴나스의 신학 #
            a. 은혜는 오직 교회안에만 있다
            b. 7개의 성례 주장
            c. 화체설 답습
            d. 면죄부 사용 인정
               아퀴나스의 이러한 이론은 새로운 것은 별로 없었으나 교황의 왕권주의에 이 세상과 아울러 내세까지도 통솔할 수 있다는 근거를 보강해 주었다.


 21. 청빈이라는 귀부인에게 바친 송가 : 사도적 생활 태도의 복구
     A. 중세의 청빈 운동
        가. 로버트 그로테스트(Robert Groteste) : 성직자들의 생활 비판
        나. 아놀드(Anold)
            a. 이탈리아 Brecia 의 수도원장으로서 성직자들의 악덕은 교회가 세상을 통솔하려는데 원인이 있다고 주장
            b. 아놀드의 운동에 교황 하드리안은 로마에 금령을 선포하고 아놀드를 체포 화형에 처함
        다. 피터왈도(Peter Waldo, 1140-1218)
            a. 리용 출신의 상인으로서 재산을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 줌
            b. 사역을 위하여 두명의 신부 채용
            c. 인간보다 하나님 순종 강조
            d. 교황 루시우스(Lucius)3 세 1184년 파문
      B. 이단에 대해서
         가. 정의 (12세기)
            세례를 받은 신자가 기독교 신앙의 계시된 교리를 어느 하나라도 부정하는 것과, 교황의 위치(기존의 권위체제)에 불복종하는 것
         나. 이러한 이단들의 정의는 사도바울이 원래 사용했던 정의와 거리가 멀다
         다. 이단취급의 교회의 목적은  이단자들의 개종과 기독교 사회의 보호였다.
         라. 대표적 이단
            알피파 : a. 우주는 선과 악의 영원한 전장    
                     b. 결혼과 재산 소유금지
                     c. 그리스도의 인성 무시와 기독교 자체 부인
      C. 도미니 쿠스 수도회의의 시작
         가. 이단의 축출 : 도미니 쿠스라는 스페인인으로서 교황이 알미파 축출을 위해 파견
         나. 청빈 생활로 사역을 시작했으며 도미니 쿠스 수도회 발생
         다. 이노센트 기독교 이단들과 전쟁 선포 - 이단 근절 성공
      D. 종교 재판
         가. 종교 재판 목적 : 숨어 있는 이단 색출 - 처벌
         나. 이단의 고문 인정 - 이단 근절 성공적
      E. 프란체스코 수도회
         가. 소박한 규율 - 젊은 부자에게 주어졌던 충고, 주님의 십자가 명령
         나. 이노센트의 인정
         다. 1223년 교황 호노리우스 3세 “구걸을 동수도회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인정”
         라. 꼰벤트알파(Conventual)와 신령파(Spiritual)로 분리
         마. 교회에 위대한 도전을 던짐


 22. 잠자는 인간들과 필요의 법칙 : 교황제의 타락
     교황 보니페이스 8세 : 희년 선포 = 왕관의 사치


     A. 국가의 발전과 교황 권위에 도전
        가. 아비뇽 유수 : 영국의 Edward 1세와 프랑스의 Phillip왕의 대립으로 전쟁기금이 필요할 때 교황에 도전, 교황의 국가 권력 독점의 무력화
        나. 교황의 대분열(39년간) : 아비뇽의 교황(클레멘트 7세)과 로마의 교황(우르만 6세)
        다. 파사의 종교회의 : 알렉산더 5세 임명(37명의 교황)
        라. 콘스탄틴 공의회 : 대 분열의 종식(마틴 5세 선출)
     B. 교황 대 분열의 결과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도전에 영향


 23. 역사 과정의 심판 : 위클리프와 후츠
     A. 위클리프
        가. 북부 잉글랜드 출신으로 옥스퍼드에서 수학, 1372년 박사학위로 교수
        나. 정부의 부패한 성직자 재산 압류 주장
        다. 이신칭의 교리의 출현 - 개인과 하나님의 장벽을 허물다
        라. 교황의 적그리스도 사상
        마. 중세교회의 모든 신조와 제도에 도전 (면죄부, 사제에 의한 사죄, 순례/성상 숭배등)
        바. 모든 개인들의 성경 탐독의 권리 주장
        사. 라틴 성경을 영어로 번역
        아. 1384년 사망
     B. 후스
        가. 위클리프의 영향
        나. 프라하 대주교 즈비넥(Zbynek)후스 파문
        다. 면죄부 발행에 대해 비판 - 프라하에 금령
        라. 저서「 교회론」 (On the church)   
        마. 콘스탄틴 종교회의 이단 정죄로 145년 7월 6일 화형



종교 개혁의 시대 (1517-1648)


  개혁의 정신이 16세기에 놀랄만한 위력으로 쏟아져 나왔다. 그리하여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탄생시키고, 서방 기독교의 교황 지도권을 종식시켰다. 초기 프로테스탄트 진영내에서는 4개의 주요한 집단들이 있었는데 루터파, 개혁주의, 재침례파, 성공회 등이었다. 한 세대 후에야 예수회의 주도하에, 로마 카톨릭 진영도 그 도덕적 개혁에 성공하였다.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진영 사이에는 곧 피에 젖은 전쟁들이 벌어졌으며 유럽은 이로 말미암아 황폐하게 되었으며 이제 서방 기독교권의 분열이 영속화될 것이라는 사실은 누가봐도 명백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일부 개척자들은 교단적인 교회의 성립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였다. 


 24. 포도원 속의 메세지 : 마틴 루터와 프로테스탄티즘
     A. 마틴루터
        가. 1483년 색슨 지방에서 출생
        나. 교회의 중보기능의 불필요성 역설
        다. 면죄부 발행의 비판
            a. 95개 신조문 작성
            b. 면죄부 죄사함 부인, 연옥의 적용 부인
            c. 종교개혁의 발화점 : 이단으로 공격을 받음 - 성경적 증명 요구
        라. 성례제도 비판
            a. 성찬과 셰례만 인정     
            b. 모든 신도의 제사장 직분 주장 (초대 교회로 회귀)
        마. 교황 레오 10세 1520년 루터를 이단으로 정죄하여 1521년 파문
      B. 프로테스탄티즘
         가. 정의
             에른스트 트릴취(Ernst Troeltsch) : 카톨릭 주의의 수정된 형태로 카콜릭 문제들은 그대로 남아 있는데 이에 대하여 다른 해답을 제시한 것
         나. 질문
             a. 인간들은 어떻게 구원받는가?
             b. 종교적 권위의 근원은 무엇인가?
             c. 교회란 무엇인가?
             d. 신자의 생활의 본질은 무엇인가?
       C. 루터의 유산
          가. 1522년 비텐베르크 영적 개혁 운동 시작 -주교직 폐지
          나. 미사 중심에서 말씀의 선포와 가르침
          다. 루터의 경제, 정치적 입장
             하나님 앞에 평등은 영적인 분야에는 적용되나 세속적인 분야는 미적용
          라. 루터파 영주들 1531년 슈말카탄 동맹(Schmalcald League) 조직
              1546 - 1555년 아우그스 부르크 회의 (Peace of Augsburg)
             # 내용
               a. 영주들이 자기 영토내에서 종교 결정 
               b. 루터파외 일체의 프로테스탄티즘은 부인
               c. 루터파로 개종하는 사제들의 재산 포기
           마. 독일의 국교로 정착
              # 루터가 역사에 남긴 중요한 공헌은 정치적인 것이 아닌 종교적인 것이었으며 프로테스탄티즘의 4가지 질문에 대한 핻답이었음
                a. 구원 → 믿음           b. 권위 → 성경
                c. 교회 → 공동체         d. 신자생활본질 → 하나님을 섬기는 것


 25. 철저한 제자의 길 : 재 침례파
     A. 제자도
        가. 하나님의 말씀에 철저히 순종하고 맹세하지 않을 것 (마 5:34,5)
        나. 완전 순수 진리 외에 타협이나 합리화가 있을 수 없음
     B. 사랑의 원칙
        가. 비폭력적이며 박해자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지도 않았음
        나. 국가의 강제적 성격을 띤 행위에 불참
        다. 상부상조, 공동체 생활
     C. 회중주의적 이해
        가. 제사장 직분 - 불신자를 위한 선교
        나. 일체의 교회문제는 회중 전체의 의견을 수렴
        다. 교회문제 - 성경해석에 의거
     D. 교회와 국가의 분리
        기독교 신자들은 “자유롭고 강제 당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신앙을 결단한 사람들”
        가. 무력을 통한 복음 대변 행위 금지
        나. 현대에서 최초로 안전한 종교의 자유를 주장한 인물들
     E. 유아 세례 금지
        가. 초대교회로의 귀환을 주장 - 유아세례는 카톨릭 교회의 정교일치가 일치함
        나. 유아세례는 비성서적
     F. 후예들
        가. 스위스 형제단 : 콘라드 그라벨과 펠릭스 만츠
        나. 모리아 지방의 루터파
        다. 메노파 : 네덜란드와 북부 통일
     G. 재침례파에 대한 박해
        가. 1526년 취리히 당국의 처벌 강구 - 1527년 1월 7일 “펠릭스 만츠”최초 순교
        나. 1529년 스파이어 제국 의회 - 재세례파 이단 정죄 - 4-5천명 순교
     H. 재침례파 업적
        오늘날 많은 기독교 신자들은 이들의 많은 원칙을 대부분 수용하고 있다.


 26. 하나님 주권의 산물 : 존 칼빈
     A. 존 칼빈(John Calvin, 1509-1564)
        가. 파리 북서쪽의 작은 도시 태생 
        나. 1528년 파리대학 졸업 문학석사, 학자, 법률가
        다. 조직력과 행정력의 귀재 - 프랑스 종교 개혁에 투신
        라. 저서 「기독교 강요」: 프로테스탄트 교리에 관한 해석, 논리적이며 읽기 쉬운 책
            - 프로테스탄트 입장을 대변하는 지도자로 등장
     B. 존 칼빈과 제네바
        가. 1533년 동료 니콜라스 콥(Nicholas Cop)의 총장 취임 연설문 작성으로 제네바로 피신
        나. William Farel을 만남 (1536년) - 칼빈 시의회 「성경학 교수」의 직위
        다. 교회와 시의회 권한 싸움으로 1538년 제네바에서 추방
        라. 1541년 「제네바」 입성 ; 교회헌법의 합결화
        마. 셀버투스(Michael Servetus) 화형에 동조
     C. 존 칼빈의 사상
        가. “당신의 뜻이 하늘ㄹ에서 처럼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 예정론의 교리
        나. 구원빋았는지 파난할 수 있는 기준 3 가지
            a. 세례와 성찬에 참여
            b. 의로운 윤리적 생활
            c. 자기 신앙의 공공고백
        다. 지상에 하나님의 왕국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는 것
        라. 독재적 권리에 저항할 수 있느 국민적 권리 강조
        마. 교회는 세속 정부 관할하에 있지 않음  
     D. 존 낙스(John knox) 와 스코틀랜드
        가. 불굴의 행동파
        나. 영국의 갤빈주의화에 노력
        다. 스코틀랜드의 캘빈주의와 성공


 27. 왕실 위의 저주 : 영국 성공회
     A. 영국과 로마의 분열
        가. 헨리 8세의 결혼 문제 : 왕비 캐더린과의 혼인 무효 선언하고 궁중시녀였던 앤 블레인과 결혼 (영국 교회 법원 인정, 1533년)
        나. 헨리의 교황권위에 도전, 전복을 시도 - 영국 성직자와 교황과 연락 금지
        다. 1534년 수장령 반포(Act of Supremacy)
            국왕 폐하는 정당하고 옳바르고 마땅히, 앵글라크나 에클레시아라고 불리는 이 지구상에 영국교회의 유일한 수장이시다
      B. 수장의 권한
         가. 주교 지명권 : 안수나 임직을 할 수 없음
         나. 신앙고백 수호
         다. 성직자 본연의 임무 수행은 영국 국교 최고 성직자인 캔터베리 대 주교에 돌아감
      C. 영국 국교내의 변화
         가. 1521년 헨리 「7성례 변호」
             교황에게 “신앙의 수호자(Defender of the Faith)” 칭호 받음
         나. 수도원 폐지 : 수도사의 50% 정도가 세속을 택함
         다. 영어판 성경 번역 : 교회내 성경 영어판 비치
      D. 영어번역의 활기
         가. 윌리암 틴테일
             a.. 신약성경 번역, 구약 일부 번역
             b. 1536년 화형
         나. 바일스 커버데일 (Miles Coverdale) : 틴데일 판을 기반으로 라틴어와 독일어판으로 보존
         다. 매튜성경
             존 로저스(John Rogers)의 작품으로 틴데일과 커버데일의 작품을 세심하게 편집
             - 개정 “대 성경(The Great Bible)”으로 명명
      E. 영국 교회의 변천 사
         가. 헨리 : 「수장령」 반포로 영국교회 성립 (1547년 사망) 
         나. 에드워드 6세
             a. 프로테스탄트로 전환
             b. 성직자 결혼 허용
             c. 1553년 42개 신조문 발간
         다. 메리의 즉위
             카톨릭으로 회귀 시도, 300명의 프로테스탄트 화형
         라.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1, 558-1603)
             a. 「교회의 수장」- 최고의 집정관으로 명칭 변경
             b. 성경을 최고 권위로 인정
             c. 교회 예배의식은 카톨릭적, 39개 신조문은 프로테스탄트적
       F. 청교도 탄생
          메리의 박해 때 피신했던 개혁주의자들로 성경에 따른 영국의 이상적인 종교 개혁 시도 - 국가의 순수성 강조 


 28. 만레사의 또 다른 사람 : 카톨릭측의 개혁 운동
     A. 로욜라(1491-1556) : 스페인 출신. 예수회 창설
     B. 신애회(Oratory of Divine Love)
        가. 경건한 신앙 교제 집단
        나. 신념 : 교회와 사회의 개혁은 개인들의 영혼으로부터 시작
        다. 수도원의 개혁 자극
        라. 추기경단에 영향력 행사
     C. 예수회(Society of Jesus)
        가. 교황 바울 3세의 공인
        나. 인간의 선택권을 주장 (예수 또는 사탄)
        다. 전통적인 정절, 청빈, 복종에 서약외 교황에 충심 서약 첨가
        라. 이교도 개종 및 프로테스탄트의 유럽을 카톨릭으로 재개종 목표 - 일본까지 진출
     D. 근대 카톨릭 교회 형성
        가. 트랜트 종교회의
            a. 프로테스탄트 배격
            b. 교황의 7성례. 미사의 희생적 성경 유지 및 성자들의 고해성사, 면죄부 유지
        나. 트랜트 종교회의 결과 : 카톨릭과 칼빈주의 공존
         # 카톨릭과 칼빈주의는 각자 정통이라고 주장하고 한쪽만 존재하리라고 생각했으나 한 국가 안에서 혹은 같은 대륙에서 공존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한 바였다.


 29. 바위를 뚫고 : 아메리카와 아시아
    A.. 아메리카 선교
        가. 대 발견의 시대 : 프랑스, 홀랜드, 영국, 포루투갈, 스페인인들의 식민지 정책 및 교역의 독점 정책으로 서부 아프리카 콩고, 앙골라, 인도와 세일론, 브라질, 모잠비크, 밀리야등에 카톨릭 교회당 건축
        나. 엔코미얀다(Encomienda)정책 : 스페인의 대 인디언 정책으로 인디언들의 관습을 중단시킴 (500개 이상 신전과 20,000개 이상의 우상 파괴)
        다. 바달로류 드라스 카사스 : 신세계에서 최초로 안수 받는 자
        라. 신세계에 있어서 기독교 제국 주의 : 민족 우월론 등장 (복음전파의 방해물)
     B. 아시아(극동)선교
        가. 사비에르(Francis Xivier, 1506-1552)
            a. 포루투갈 왕의 지지를 업고 선교
            b. 1534년 인도 남동부 해안에 어부를 수 백명씩 세례를 줌
            c. 1537년 교회 설립
            d. 사비에르의 일본 선교
              개종자들의 도시 건설 「나가사끼」- 30만명 개종, 수백개의 교회 설립, 그곳에 기독교 대학 설립
            e. 사비에르 중국 선교
         나. 마태오 릿치(Matthew Richi, 1552-1610)
             a. 마태오 릿치의 중국 설교는 중국에 선교를 위해 세계제도와 월력을 제작해 주었으며 황제에게 시계를 선물로 줌
             b. 수학 및 천문학자로 북경에서 일하며 귀족과 학자들에게 세례를 줌
             c. 약 2000개 교회 개교
         다. 아담샬 (Adam Schall)
             a. 마태오 릿치의 후계자로 중국에 입국
             b. 중국 황실 천체 연구소 소장직
             c. 1650년 북경에 교회 건축 : 약 27만의 신자
         라. 중국의 제사의식 논쟁 : 교황들에 따라 찬반이 바뀌었으므로 선교는 혼란에 빠졌으며 일 세기 후 중국 선교는 크게 쇠퇴함


 30. 성도들의 통치 : 청교도 주의
      A. 청교도 신앙
         가. 1560 - 1660년 등장
         나. 선경의 진리에 의해 통치되는 국가 실현
         다. 청교도와 성경관 : 언약(Covenant)이라 일컫는 근본적인 성경 개념
         라. 「순교서」: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생명을 바쳤던 생애와 죽음의 감격 묘사(필독서)
       B. 군주와의 대결
         가. 1603년 스코틀란트의 여왕 메리의 아들 제임스 6세가 영국왕 제임스 1세로 즉위
         나. 1604년 햄프던 코트 회의에서 청교도들의 개혁안 제출했으나 대부분 무시, 흠정역 성경 탄생
         다. 제임스 1세의 왕권 신수설 주장
         라. 1620년 9월 약 100명 메이플라워를 타고 현재 메사추세츠주 믈리머스 상륙
         마. John Smith 목사 유아세례 부인 - 영국 침례교 탄생(1609년)
         바. 찰스 1세 즉위(1625년) : 왕권 신수설 실현 추구
      C. 성도들의 통치
         가. 크롬웰 (Oliver Cromwell, 1599-1568)등장
             1646년 찰스의 항복을 받아 냄 (찰스처형, 1649)
         나. 호민관이된 크롬웰
             a. 군사 독재
             b. 종교자유 허용(1653)
             c. 크롬웰 사망(1658)
         다. 영국 왕정 복고
         라. 아메리카 대륙의 하나님 왕국 건설


 31. 교파들의 등장 : 옛 사상을 위해 희생하지 않다
      A. 교파
         가. 포괄적이 용어이다
         나. 특정 교파로 불리우는 일정 기독교 집단은 전체 기독교의 일부임을 인정
         다. 교파주의 이론은 어느 한 교파가 전체 교회로 대표하지 못한다.
         라. 교파의 등장 원인은 지역 분할 원칙(루터 ↔ 카톨릭)에 분리되었다
         마. 칼빈주의와 루터파 분리
      B. 교파주의 원칙 (웨스트민스트 소수파 형제들 주장)
         가. 진리 파악 능력이 없는 인간에게 서로 다른 의견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나. 서로간의 차이점은 무시되어질 문제가 아니라 성령이 가르친다고 믿고 신봉해야 한다. 
         다. 하나님의 진리를 완전히 소유한 교회는 없다 → 완전한 대표 교회도 없다.
         #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서로 분리되어 있으면서도 계속 그리스도 안에 연합하는 것은 가능하다.
      C. 종교 자유법 : 장로교, 회중파, 침례교, 케이커교드 예배의 자유를 누림
         # 결론적으로 교파의 형태가 근대 기독교의 특징으로 자리잡는 것은 이것이 가장 이상적인 모습이기 대문이 아니라  당시의 상황속에서 주어졋던 선택들 가운데 가장 최선의 것이기 때문이다.


이성과 부흥의 시대 (1648 - 1789)


  종교개혁 시대의 특징은 기독교 신자 사이에 구원의 방도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는 것이다. 이성의 시대의 특징은 일체의 초자연적 종교를 부정하는데 있다. 기독교 신앙대신 과학과 인간 이성에 대한 외경이 서구 문화의 근간을 차지하였다. 많은 프로테스트 신자들은 이러한 신앙의 위기들을  논쟁에 의해서가 아니라 초자연적 개종의 경험으로 대적하였다. 신앙이란 교의보다는 경험이라는 생각이었다. 이러한 복음적 기독교는 단지 설교의 능력에만 의지해서도 신속하게 전파되었다. 그리고 많은 이들은 교회가 생존하기 위해선 더 이상 국가의 도움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현대 기독교 신자들은 종교의 자유라는 관념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32. 기반을 겨냥하다 : 이성의 사교 (邪敎)
     A. 이성시대의 정신
        중세와 종교개혁 시대의 이성<신앙 , 권위>지성
        카톨릭 시대의 권위는 교회, 프로테스탄트 시대 권위는 성경
     B. 르네상스시대의 대표적인 인물
        가. 에라스무스 : 「우신예찬(Praise of Folly)」 수도원 주의와 스콜라 철학 비판 ↔ 제자인 루터와 충돌
        나. 코페르니쿠스 : 태양이 우주의 중심
        다. 요한 케플러(Johann Kepler, 1571-1630) : 궤도 순행론
        라. 뉴턴(Isaac Newton, 1642-1727)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들」→ 중령의 법칙
        마.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 : 「인간 오성론」→ 하나님의 존재는 이성이 발견하는 가장 확실한 진리 - 하나님은 합리적 증명의 산물
     C. 이신론자들
        가. 이신론자
           a. 지존한 존재(Supreme being)을 믿음
           b. 성경을 통한 특별계시, 하나님의 세상 참여 부인
        나. 대표적인 학자
           a. 볼테르(Vultaire, 1694 - 1778) : 카톨릭, 프로테스탄트를 무차별 비판
           b. 데니스 디드로(Denis Diderot, 1713 - 1784) : 과학의 지존성과 종교자유 주장
     D. 반 이신론자
        조셉 버틀러(Joseph Butter, 1692 - 1752)
        가. 영국의 주교
        나. 저서 : 「종교의 유추(Anology of Religion)」
        다. 지성인들간에 논쟁을 멈추게 함


 33. 내심의 이유들 : 파스칼과 경건주의자들
     A. 파스칼과 경건주의자들의 공통점
        교회나 신조에서가 아니라, 인간의 內心에서 진정한 신앙을 찾고자 하였음
     B. 파스칼(Blaise Pascal, 1623 - 1662)
        「팡세」: 신학을 뛰어넘어 인간의 도덕적 문제의 중심을 관통하는 종교적 천재의 모습을 보여줌
     C. 경건주의자들
        가. 목표
            a. 개인의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기독교란 개인들로 부터 시작하는 것)
            b. 신자생활의 중심을 국가 교회로부터 신앙을 가진 자들끼리 밀접한 교제로 이전시키고자 함
        나. 대표적인 학자
            a. 필립 야곱 스패너(Philip Jacob Spener, 1635 - 1705) : 이신칭의의 교리를 신조로서가 아닌 영적인 중생의 체험을 통해 이해 하였으며 헌신적인 일단의 신자들과 함께 일주에 두 번씩 경건한 자들의 모임을 갖기 시작했으며 여기서 “경건주의(Pietism)"가 탄생
            b.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1633 - 1727) : 라이프니치 대학교수로서 각종 영적, 사회적 사역을 하기 시작했으며 가난한 자들을 위한 학교 건립, 고아원 건립, 병원 건립, 선교사 모집등을 함
            c. 진젠도르프(1700 - 1760) : 연합 형제단(United Brethren)교회에서 정식으로 안수, 선교사역 지도(모라비안 교파)
     D. 경건 주의자들의 역사속 위치
         가. 경건주의는 현재 모든 부흥 운동의 근원이며 현재가지도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지 않은 복음주의적 기독교를 생각할 수 없다.
         나. 종교생활의 감정을 중요시 했기 때문에 이성적인 면에 소홀한 면이 있다.
         다. 경건주의는 교회의 존재를 전제하고 생겨난 교회이다.
         라. 경건주의의 전통은 기독교 전체속에 살아있다.


 34. 불에 그슬린 나무 토막 : 웨슬레와 나무 토막
     A. 존 웨슬레(1703 - 1791) : 영국국교회 목사의 아들로 링컨대학에서 수학했으며“모라비안”의 영향을 받음
     B. 아르미니우스주의(Arminianism) : 홀랜드 신학자 야곱 아르미니우스로 비롯된 사상으로 칼빈의 예정론에 강력히 반대되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강조한 사상이다.
     C. 감리교의 구조
        속회의 조직으로 감리교회 운동은 성공적이었으며 웨슬러의 보좌역들을 사병처럼 사용하였다.
      
 35. 시대의 새질서 : 대각성 운동
     대각성 운동은 하나님의 축복과 징벌 모두를 아는 운동이며 이를 통해 식민지 기독교에 회개의 눈물과 구원의 기쁨이 모두 복원되었다.
     A. 종교자유의 주창자들
        가. 아이작 박쿠스(Isaac Backus)
            a. 진리란 곧 계시된 성경의 진리로서 미국이 기독교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국가와 조직된 교회들 사이에 일체의 직접적 연결을 단절해 버려야 한다.
            b. 교회는 국가의 간섭을 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
        나. 존 웨슬레
        다. 조지 휫 필드
           a. 현대 부흥 운동의 아버지
           b. 막강한 음성과 사람을 끈 스타일로 많은 사람을 회심케 함



진보의 시대(1789 - 1914)


  과학이 기독교 신자들에게 새로운 의문을 던졌듯이, 프랑스 혁명은 일반인들을 위한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였다. 이제 일반 시민들이 권력을 장악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이는 기독교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지성적 회의에 부가하여 새로이 사회적 불안의 문제가 출현한 것을 의미하였다. 과연 기독교 신자들은 어떻게 도시 군중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겠는가? 과연 인간은 단순히 진화론적 힘의 산물에 불과한 것일까? 신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는 방법을 두고 심각한 의견의 차이들을 보이게 되었다. 더 이상 국가로부터 전통적인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된 많은 프로테스탄트 신자들은 억압받는 자들과 가난한 자들을 돌보고, 먼 나라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자발적 단체들에게 의존하게 되었다. 


 36. 성채의 복원 : 진보 시대의 카톨릭 교회
     A. 새시대 탄생
        가. 프랑스 혁명
            a. 1789년 구 체제의 상징인 바스티유감옥 습격 → 혁명의 시발점
            b. 혁명구조 : 자유, 평등, 박애
            c. 삼부회 소집 : 귀족, 성직자, 평민
            d. 결과 : 나폴레옹 보나팔드 권력 쟁취
        나. 미국독립전쟁
     B. 카톨릭 자유주의
        프랑스에서 자유주의자들의 성공은 유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교황 “피우스 9세”가 출현하였으나 교황은 교황무오설을 선포하였고 피우스 9세는 현대 세계        와의 대화를 거절하였다.
     C. 결론적으로 교황지상권 주의자의 전락은 로마 카톨릭 신자들의 신앙 생활을 영위하였지만 성채 복원의 약점은 결코 교황무오설로 감추어질수 없엇으며 교황청의        공간의 제약으로 창조적 해석ㅇ 불가능해졌으며 성밖에는 중요한 세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착각에 빠지게 되었다.


 37. 새로운 사회적 미개척지 : 19세기의 왕국
     A. 클라팜파(Clapham Sect)
        일상생활속의 성결을 추구하며 영원을 의식하고 사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인물들의 친밀한 가족과 같은 소집단
        # 운동방향
          가. 노예폐지운동 → 1807년 2월 23일 영국의회 노예매매운동금지
          나. 노예해방법통과 → 토마스 포웰 빅스틴
     B. 옥스퍼드 운동
        교회에 대한 세속의 침입을 막기 위해 시작된 교회 자유주의 운동으로서 “소책자파(Tractariaans)"라고도 한다.
        대표적 학자로는 존 케블, 존 헨리 뉴먼, 에드워드 퓨지가 있으며 이들에 의해 주도된 옥스퍼드운동은 앵글로 카톨릭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동방 정교회나 로마 카톨릭 교회의 전통과의 연관을 중요시하면서도 교황이나 총대주교의 수위권은 인정하지 않는 앵글리칸을 가리키는 용어였다. 이러한 복음주의적, 혹은 앵글로 카톨릭적 경향은 오늘날가지 많이 남아 있다.


 38. 지구의 끝 까지 : 프로테스탄트 선교
     A. 윌리암 캐리(William Carey)
        가. 현대 선교의 아버지
        나. 1783년 세례를 받고 침례교 목사가 됨 → 침례교의 앤드류 퓰러(Andrew Fuller)목사와 동역
        다. 「불신자들의 개종을 위한 방법들을 사용해야 할 기독교인들의 의무에 관하여」 출판 → 세계를 향한 획기적 복음서
        라. 1792년 10월 침례교 선교 협회 구성(Baptist Missionary Society)
        마. 1824년 성경전체를 6개 언어로, 성경일부를 24개 언어로 번역
     B.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 1813 - 1873) : 아프리카 선교
     C. 자발적인 선교단체의 결성
        가. 케리의 선교적 역할로 성직자와 평신도를 망라한 회사 조직 제안
        나. 범 교파적인 선교협력(성공회, 침례파, 회중파, 감리교등) → 19세기 기독교 모습 격변
        다. 각 교파별 선교전담기구 결성
        라. 기독교 공동체의 모습이 생김
     D. 현대 기독교 선교의 특징
        가. 19세기 개혁교의 선교는 약간의 제외를 제외하고 국가의 보조나 통솔없이 이루어 졌다.
        나. 복음 전파가 신자 전체들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다. 복음 전파와 함께 각종 인도적 사역들이 동시에 진행되었다(학교들, 병원들, 각 훈련기관들)
         # 결론적으로 선교운동은 복음을 기독교내에서 원래의 중심적위치에 돌려 놓게 되었으며 카톨릭 교회의 개념을 회복시켰다고 할 수 있겠다.


 39. 한 국가의 운명 : 기독교 아메리카
     A. 19세기 미국의 정치적 배경
        가. 서부 국경의 계속적인 확장의 시기 : 1792 - 1821 까지 13개주에서 22개주로 증가
        나. 서부 개척의 시대 → 기도교 영향력 최저 (5% - 10%)
     B. 미국의 부흥 운동
        가. 영국의 클라팜 공동체 운동개념 도입
        나. 자발적 단체 출현 : “미국성서공회”, “미국개척협회”, “미국주일학교연합”,“미국교회협회”등
        다 부흥의 개최 → 제2차 대각성운동
     C. 부흥사 제임스 맥그리드(James McGready)목사
        가. 펜실베니아주 스코틀랜드 - 아일랜드 출신
        나. 설교제목 「목이 곧은 죄인들에 내리시는 하나님의 진노」→ 부흥운동에 점화
        다. 강한 성령운똥 : 천막에서 건물안으로 전통이 이어짐
     D. 노예제도와 미국
        가. 찰스 지 피니(Charles G. Finney) : 반 노예주의 부흥운동 주도
        나. 테오도르웰드(Thedoreweld) :「성경의 반 노예적 입장, 1837」「 노예제의 실상」은 노예제 폐지 운동의 뇌관역할이 됨
        다. 에이브러험 링컨(Abraham Linccoln) : 남부,북부의 동일한 성경을 읽으므로 하나님께 도움을 청한다 → 노예해방전쟁승리
        라. 막대한 숫자의 흑인 교회 설립
     E. 남북 전쟁후의 미국
        부흥사 드와이트 엘 무디(Dwight L. Moody) : 그리스도를 위한 영혼 구원 강조


 40. 현대 지식인을 위한 가교 : 프로테스탄트 자유주의
     A. 프로테스탄트 자유주의의 목표들
        가. 많은 이들은 프로테스탄트 자유주의가 하나의 “신학”이라는 자체를 부인한다.
        나. 키네스콘 교수의 자유주의 분류
           a. 복음적 자유주의 : “진지한 기독교 신자”들로서 “지성적인 현대인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신학을 찾아 헤메는 이들이다. 신자의 경험을 중시
           b. 현대적 자유주의 : 어더한 의미에서든 “진지한 신자”들로 받아들여지길 원한다. 따라서 신학적 자유주의를 탐구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우선 “현대 사상”의 정체를 살펴보고 다시 “기독교인의 경험”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B. 성경의 비평
        가. 하등(Lower)비평 : 성경의 여러 사본을 비교 분석하여 가장 오래되고 원본에 가까운 본문을 찾아 내고자 하는 것
        나. 고등비평 : 본문의 정확성 보다는 단어들의 의미에 더 관심을 갖는다.
     C. 성경비평의 결과
        자유주의자들은 고등비평을 환영하였는데 그 이유는 성경전체를 하나님의 무오한 말씀이라고 구태어 변증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41. 사슬외에는 뺏길 것이 없다 : 사회적 위기
    산업혁명의 시작과 도시의 인구 집중은 기독교에 새롭고도 복잡한 도전을 가져다 주었다. 산업혁명의 결과는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으로 부제한 경쟁시대에 돌입햇으며 이것은 곧 빈,부의 격차를 가져왔다. 그러나 교회는 이러한 사회적 위기속에 어더한 영향력도 행사할 수 없으므로 노동자들에게 외면을 당하고 있었다. 이러한 때에 칼 맑스와 헤겔의“공산주의자 선언”이 발표되었고 로마 카톨릭 진영에서는 노동자 문제에 개입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문제로의 교회의 개입은 진정한 사명을 상실할 가능성은 있으나 신자들이 인간들의 보다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필요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한 인간들의 영원한 운명을 위한 괸심을 표현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데올로기 시대(1914 - 198-)


  20세기에는 정치적 군사적 거인들의 엄청난 대결상을 보여왔다. 이들 거인들은 나치즘, 아메리카즘 등이라 부를 수 있다. 새로이 이교사상(New Paganism)들이 경제적 법칙, 동족애, 그리고 범할 수 없는 개인들의 권리등을 주장하며 출현하였다. 기독교 신자들은 이제 새로운 모습으로 사고하고, 행동하고, 고통하고, 단결하는 것을 배워야만 했다. 프로테스탄트들은 서로의 연합을 위해 새로운 길들을 모색하였다. 로마 카톨릭은 교회를 현대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그리고 제3세계의 기독교 신자들은 이 시대의 거대한 새로운 세력으로 등장하였다. 


 42. 수치의 벽 위에 쓰여진 낙서 : 20세기의 사상들
    A. 20세기의 사상들
       가. 민족주의 : 범 게르만 주의와 슬라브 주의 충돌, 1차,2차 대전 발발
       나. 공산주의 : 독일의 나치즘과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의 공산화
       다. 개인주의
       # 이들 3개의 사상들은 모두 종교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모두 인간들의 궁극적인 충성을 요구한다. 즉 애국심, 계급투쟁, 혹은 인본주의 등이다.
    B. 독일의 나치즘
       가. 파시즘(Fascism)이라고도 하며 국가 개념을 신격화한다.
       나. 유대인의 대량학살(기독교인 박해)
       다. 1937년 교황 파우스9세 회칙 「깊은 슬픔으로」반포 → 나찌즘 최초 비판 교회 문서
    C. 러시아 혁명과 기독교
       가. 러시아 혁명
          a. 노동자 게급 강조
          b. 폭력 혁명 주장
          c. 레닌 주도
          d. 공산주의는 누신론에 기초 
       나. 기독교계의 대응
          a. 1937년 3월 교황 파우스 11세 회칙 「무신론 공산주의」발표 → 카톨릭 교 회 교리 제시
          b. 1961년 소련 정교회 「세계교회협의회」가입 → 모스크바 입장 지지


 43. 병든 사회의 뿌리 없는 이민들 : 미국의 복음주의자들
     A. 기독교 개신 운동
        가. 빌리 그래함(Billy Graham)
            a. 「오늘의 기독교」정기 간행물 발행
            b.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에 대한 완전한 의존성에 찬성함
            c. 모든 영역을 복음에 적용, 제시함
        나. 오순절 운동
            a. 1960년대 경제적 하류층에 있던 신자들로 대부분 방언을 동반하는 성령 세례
            b. 은사와 기도회 기룹
            c. 장로교, 루터파로 이전
        # 결론적으로 복음자들의 숫자는 실제로 증가하였으나 미국 사회는 범죄, 이혼, 인종차별, 폭력, 성적변태, 알콜중독등 마약문제로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44. 조반을 위한 새 신앙 고백 : 에큐메니칼 운동
     A. 에큐메니칼(Ecumenical)운동
        교회연합운동으로써 16세기까지 프로테스탄트 진영내에서는 4개의 교파(루터, 개혁, 성공회, 재침례파)등이 있었으나 20세기에 들어서면서 200여 교회가 난립하였다. 따라서 각 기독교회 교회는 전 세계에 흩어진 신자들의 통일성을 시사하게 되는데 곧 교회연합을 통하거나 새로운 단체의 조직, 교회들의 연맹을 통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 동일하거나 유사한 신앙고백을 가지 교회들과 기관들
          가. 국제 회중파 협의회(The International Congregational Council)
          나. 메노나이트  교회 세계 총회(The Mennonite World Conference)
          다. 세계 감리교 총회(The World Methodist Conferene)
          라. 침례교 세계 연맹(The Baptist World Alliance)
          마. 루터교 세계 연맹(The Lutheran World Federation)
          바. 개혁파 및 장로 교회 세계 연맹(The World Alliaance of Reformd and Presbyterian Church)등
     B. 보수적 복음 주의자들
        가. 조직적인 에큐메니즘을 지속적으로 비판하였으며 특히 세계교회협의회가 제 3세계의 정치적 문제들에 점점 더 깊숙히 간여하는 모습에 우려를 나타내었다.
        나. 복음주의자들은 신앙의 경험을 강조하였으며 이들의 주된 관심은 전도와 선교사업이었다.
        다. 에큐메니칼 정신과 복음주의자들의 차이점
           에큐메니칼 정신은 사회문제들에 관한 관심을 기독교 일치의 표현으로 보았으며 보수 복음주의자들은 전도와 선교를 교회의 사명의 중심위치로 복원시키는데 성공하였다.  


 45. 자비의 의약 : 로마 캐톨릭 교회
     A. 제 1차 바티칸 공의회 : 교황의 무오성을 교리로서 확정
     B.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 교회정부의 틀 안에서 주교들 전체의 권위가 교황의 권위와 어떤 상관 관계를 갖고 있는가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물론 보수파는 교황의  절대적 권한을 강조했으며 진보파들은 주교들의 집단성에 더욱 큰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C. 결정사항 : 구원사역을 썽취하기 위해 그리고 교회가 결정하는 종교적 필요를 위하여 공공권력을 사용할 수 있다.



 46. 역류의 시간 : 제 3세계의 기독교
     A. 서양의 세속화
        가.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1차 세계 대전은 새로운 전환점을 의미함
        나. 18세기 이후 서양의 변모는 「세속화」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교회가 국가 권력에 귀속되어 가는 것을 말함
     B. 아시아의 기독교
        가. 힌두교 6억(인도)
        나. 이슬람교 3억
        다. 중국 12의 인구
        라. 기독교의 획기적인 성장지역 : 한국, 필리핀, 버마, 인도네시아 일부지역(8천            만)
     C. 아프리카 대륙의 기독교
        가. 암흑대륙에서 기독교 대륙으로
        나. 1975년까지 42개 국가들 독립 → 교육기관들의 기독교 학교화
        다. 1978년 케냐의 이프리카 내지 선교회
     



비평


  예수님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종교적인 사건과 갈등의 반복 속에서 예수님은 전능한 삼위일체의 하나님에서부터 때로는 인성이 부인되고, 신성이 부인되어 오는 곡절을 거듭하는 속에서 기독교 로마 시대의 삼위일체 교리가 정립되고 중세 기독교 카톨릭의 혼란 시대와 종교 개혁 시대, 이성과 부흥의 시대, 진보의 시대, 이데올로기의 시대로 연결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각 단원들마다 시대적인 대표 인물이 등장하는데 본 교회사 책에서는 각 인물들의 소개가 미흡하였다고 생각이 된다.
 또한 역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사실에 입각한 기술보다는 당시의 소문, 유래(예화)가 너무 지루하게 기술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물론 각 단원에서 예화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수는 있으나 예화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연대기를 앞뒤가 틀리게 기술된 부분이 많이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역사를 연결하는데 혼란을 가져온 적이 많았다.
  단원과 단원의 연결에 있어서도 이해되지 못하는 연결 부분이 많았다고 생각되는데 특히 각 단원의 소제목과 책의 내용과의 거리감을 느낄 수 있었다.
  교회사를 통하여 등장하는 가 교파들의 교리에 대해서도 저자의 비평은 미미하였으나 거의 언급하지 않은 부분이 많았는데 이는 혹 여러 교파들 간에 얽혀진 이해관계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즉 현존하는 기존의 교파들을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이 책의 전체적인 내용이 전개된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교회사가 진행되어 오는 역사성 속에서 그 비판 정신과 대안이 부족하였다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저자의 의도는 역사는 있는 그대로 사실만을 기록하고 그 판단은 독자들에게 맡긴 것이라고 생각함으로써 위안을 삼고자 한다.


출처 : 미상

'교회사자료 > 9.이스라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의 지정학(Geopolitical) 개요  (0) 2007.06.15
출애굽기 -애굽에서 시내산  (0) 2007.06.15
이스라엘 역사개요  (0) 2007.02.23
이스라엘 역사에 관하여  (0) 2006.08.11
중동전쟁사  (0) 2006.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