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6. 21. 23:56ㆍ일반자료/1.일반자료
24절기를 모두 알고 있나요?
24절기는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에 따라 나눈 계절적인 구분이다.
황도란...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이 지구를 도는 것처럼 보이는 궤도를 말한다.
입춘 -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 봄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말함.
양력으로 2월 3일이지만 음력으로는 1월이므로 새해를 상징하기도 함.
각 가정에서 대문이나 기웅, 대들보, 천장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이는데
그것을 '입춘축'이라고 한다. 立春大吉(입춘대길)이나
開門萬福來(개문만복래) 같은 글을 주로 붙인다.
우수 -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이 있다. 우수는 날씨가 많이 풀려 봄 기운이 솟는
때로 양력 2월 19일경이다.
경칩 - 양력 3월 6일경으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땅 속에서 나오는날이다. 농촌에서는
이 날 개구리 알을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좋다고 하여 개구리 알을 먹는 풍습이 있어다.
춘분 - 양력 3월 21일 경으로 태양이 적도 위에서 비추어 밤과 낮의 길이가 똑같아지는 날이다.
음력으로는 2월이라 꽃샘추위가 있었다.
청명 - 양력 4월 5일경으로 한식일과 식목일이 겹치기도 하는 날이다.
곡우 -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하는 날. 양력 4월 20일 경. 서해에서는 조기가 많이 잡힌다.
입하 - 양력 5월 5일경으로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리는 절기. 농촌에서는 농작물이 잘
자라지만 해충과 잡초가 많아 이것들을 없애느라 바쁘다.
소만 - 양력 5월 21일경으로 식물이 빠르게 성장하는 때. 농촌에서는 모내기와 밭농사의
김매기가 한차이다.
망종 - 망종은 벼나 보리 같은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적당한 때. 양력 6월 6일경인데
보리가 익어서 먹게 되는 절기.
하지 - 양력 6월21일~22일경으로 1년 중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 모내기를 모두
끝내고 비가 오기를 기다린다.
소서 - 양력 7월7일경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때.
온갖 과일과 채소가 풍성해지기도 하는 절기.
대서 - 큰 더위라는 뜻. 양력 7월23일경으로 몹시 덥고 장마가 오기도 한다.
과일 맛이 가장 좋은 때이기도 하다. 그런데 과일은 비가 적게 와야 맛있다.
입추 - 양력 8월7일~8일경으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다는뜻.
무와 배추를 심고 서리가 내리기 전에 거두어서 겨울 김장에 대비하게 된다.
농촌에서는 한가해지는 절기.
처서 - 양력 8월23일경으로 여름이 지나고, 더위가 가신다는 뜻.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옛말이 있다. 처서에 비가 오면 앞으로 뜻하지
않은 재앙으로 흉년이 든다는 말도 있다.
백로 - 밤에 기온이 내려가고 풀잎에 이슬이 맺히고 가을 기운이 나나탄다는 뜻. 양력9월8일경.
추분 - 양력 9월20일 전후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때.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고 고추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한로 - 양력 10월8~9일경으로 찬 이슬이 맺힌다는 뚯.
농촌에서는 타작이 한창일 때다.
상강 - 상강은 서리가 내린다는 뚯.
양력 10월 23일경으로 밤에는 기온이 내려가 서리가 맺히기도 한다.
입동 - 양력 11월 8~9일경으로 겨울로 접어든다는 뜻. 이때를 전후로 김장을 한다.
소설 - 양력 11월 22일경으로 살얼음이 얼고 땅도 차츰 얼기 시작해서 겨울 기분이 드는 때.
바람이 심하게 불기도 한다.
대설 - 눈이 많이 내린다는 뜻. 양력 12월7일경.눈이 많이 오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든다고 한다.
동지 - 양력 12월22~23일경으로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북반구에서는 밤이 가장 길지만
남반구에서는 반대다.) 이날엔 팥죽을 먹기도 한다.
소한 - 소한은 작은 추위라는 뜻. 양력 1월 5~6일경인데, 사실은 소한 때가 가장 춥다.
그래서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죽었다는 속담이 있다.
이것은 중국에서 절기를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한 - 양력 1월 21일경으로, 아주 심한 추위라는 뜻. 그러나 소한보다 덜 추워서
소한때 얼었던 얼음이 대한 때 녹는다고 하는 속담도 있다.
'일반자료 > 1.일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부대 마크 및 흉장,휘장 (0) | 2006.06.22 |
---|---|
[스크랩] 한국 지폐 1902년부터 지금까지~~ (0) | 2006.06.21 |
아름다운 우리말 (0) | 2006.06.21 |
◐ 새 한글 표준어 맞춤법 일람표 ◑ (0) | 2006.06.21 |
세계를 바꾼 20인 (0) | 2006.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