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해 10년만의 대풍이라며 배급제를 재개한다고 선언했지만 한
달만에 유야무야 되고 있다. 2006년을 맞았지만 북한주민들은 배고프고, 삶은 고달프다.
북한 장마당 물가는 북한 주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면이다. 북한은 자체 생산이 거의 마비돼 식량과 대부분의 물품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장마당은 화폐 유통속도가
매우 빠르고 내외적 변동 요인을 즉시 반영한다. 국수를 팔고 옷과 신발을 사고, 채소와 약초를 팔아 식량을 사는 형태다. 식량가격의 상승은 북한
식량사정의 악화를 반영한다.
북한 노동자들은 월급을 2,000∼3000원 받는다. 그러나 쌀값은 800원에 육박하고, 고기라도
먹으려면 한 달 월급이 필요하다. 생필품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수 밖에 없다. 인민들의 등골만 녹아나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쌀과 옥수수, 채소 이외에는 맛보기가 힘들다. 겨울이 닥쳤을 때 솜옷 하나 마련하려면 집안이 나서야 한다. 돈을
벌기 위해 여자가 장사를 하거나 남편들이 산에서 약초를 캐 내다 팔면서 그럭저럭 버텨나간다.
데일리NK는 북한 내 물가를 2회에
걸쳐 보도한다. 조사기간은 1월 2일부터 10일까지 북한 내 장마당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는 북한을 내왕하며 장사를 하는 화교들의 도움을
얻었다. 먼저 새해를 맞은 함경북도 무산, 온성, 회령, 라선, 청진 지역 물가를 조사했다.
환율 및 각종 세금 |
환율 |
인민폐 350:1 / 달러 2.715:1 / 100달러: 85유로 |
전기세 |
전구 한 알 80원 |
자리세(하루) |
250~300원 |
물세 |
한 사람당 15원 |
잡화 - 250원 |
땅 한평당 세금 |
39원 |
공업품 - 300원 |
식료품 |
쌀 |
750원 |
좁쌀 |
500원 |
찹쌀 |
850원 |
보리 |
450원 |
안남미 |
700원 |
돼지고기 |
3.000원 |
닭고기 |
3.000~4.000원(크기에따라 다름) |
달걀 |
1개 150원 |
식용유 |
노란색 - 1kg당 1.930원 |
조미료 |
500g 1.500원 |
흰색 - 1.660원 |
옥수수 |
380원 |
의류 및 신발 |
속옷 |
팬티 |
500~1.000원 |
운동화 |
가내수공업 |
6.000원 |
브래이지어 |
4.000~5.000원 |
개인생산품 |
3.000원 |
양말 |
500~1.000원 |
중국산 |
12.000~17.000원 |
구두 |
15.000~20.000원 |
편리화 |
2.000원 |
집 가격 |
집세(사용료) |
1개월에 60원/ 분기별 납부(3개월) |
최 고급 아파트 |
4000~5000달러(30평정도) |
비교적 좋은 아파트 |
3000달러(25평) |
괜찮은 아파트 |
1500~2000달러(20평) |
작은 아파트 |
1000~1500달러(15평) |
보통 평집(단층집) |
800달러 |
안좋은 평집 |
450~500달러 |
의약품 |
감기약 |
20원(1알) |
비타민 B1 주사 |
20원(1대) |
아스피린 |
20원(1알) |
항생제(아목실린) |
28원(250mm) |
구충제(내벤다롤) |
60원(1알) |
물약 구충제(싼토닌) |
120원(한곽) |
지사제 |
15원(1알) |
진통제 |
15원(1알) |
-진찰
받을 때는 거의 뇌물이 필요 없음
-진단서
발급이나 약이 필요할 때는 뇌물 필요
-담배
한 막대기(보루)/ 1.000원짜리 약의 경우 700원정도 뇌물
학용품 |
연필 |
보통연필 |
25원 |
공책 |
큰것 |
25원 |
수지연필(샤프펜슬) |
200원 |
작은것 |
15원 |
볼펜 |
50~100원 |
교복 |
인민학교 |
1.500원 |
가방 |
10.000원 |
고등중학 |
2.500원 |
-매달
학교에 내야 하는 비용 : 유치원- 1.000원/ 인민학교- 2.500원/ 고등중학- 4.000원
-매달
학교에 내야 하는 물품 : 파철, 유리 15kg, 나무 40단
-비
정기적으로 내야 하는 물품 : 비닐, 파지, 벵끼, 휘발유
철도 요금 |
신의주 - 평양 |
상급 - 650원 |
신의주 - 청진 |
1.000원 |
하급 - 450원 |
신의주 - 개성 |
1.000원 |
신의주 - 남포 |
600원 |
신의주 - 용천 |
200원 |
사리원- 평양 |
200원(하급) |
평양 - 단동(평양-북경 국제열차) |
인민폐 10원정도(조선돈 3300원) |
단동 - 평양 |
인민폐 400원 |
자동차나 버스 요금 |
신의주 - 평성 |
8.000원 |
신의주 - 정주 |
5.000원 |
신의주 - 염주 |
3.000원 |
신의주 - 원산 |
10.000원 |
사리원 - 원산 |
8.000~10.000원 |
사리원 - 평양 |
1.000원 |
사리원 - 평성 |
8.000~10.000원 |
사리원 - 해주 |
6.000원 |
숙박비용 |
호텔 |
보통 100달러, 최하 60달러 |
여관 |
50~100원 |
개인이 운영하는 여관 |
100~200원 이하 / 가장 좋은방은 500원 |
여행 증명서 받는데 드는 비용 |
통행증 |
도내 |
3.000원 |
도강증 |
100달러 |
도외 |
4.000~5.000원 |
여권과 비자 |
40.000원(조선돈) |
시장 매대 가격 |
크기, 장소, 업종에 따라 |
15.000원~50.000원 |
전자 제품 |
흑백 TV |
5~6만원 |
컴퓨터 |
팬티엄3 |
170~190달러 |
컬러 TV |
20만원(새것) |
팬티엄4 |
300~400달러 |
라디오 |
중국산 - 20.000원~30.000원(인민폐 100원 정도) |
유선전화와 핸드폰 가격 및 통화료 |
유선전화 |
1대 설치비용 |
40만원(200달러정도) |
우편국 전화 사용 |
시내 |
2원 |
1개월 사용료 |
1.500원 |
시외 |
40~50원 |
중국 옌지(延吉) = 김영진 특파원
kyj@dailynk.com중국 단둥(丹東) = 권정현 특파원
kjh@dailynk.com편집/ 이현주 기자
lhj@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