景敎(Nestorianism)

2005. 11. 28. 00:12신학자료/1.신학자료

경교 景敎 Nestorianism

 

에페수스공의회에서 이단으로 배척된 네스토리우스파의 그리스도교가 당나라 초기에 중국에 전래된 이후 붙여진 중국식 명칭. 대진국으로부터 전해진 광명의 종교라는 뜻으로 <대진경교>라고도 한다. 635년 선교사단 수석 아라본이 장안에 도착하여 선교를 시작한 것이 시초였으며 당 태종의 인정을 받고 선교의 자유를 얻었다.

에페수스공의회에서 이단(異端)으로 배척된 네스토리우스파그리스도교가 당(唐)나라 초기에 중국에 전래된 이후 붙여진 중국식 명칭. 대진국(大秦國;로마)으로부터 전해광명종교라는 뜻으로 <대진경교>라고도 한다. 635년 선교사단 수석(宣敎師團首席) 아라본(阿羅本)이 장안(長安)에 도착하여 선교를 시작한 것이 시초였으며 당 태종(太宗)의 인정을 받고 선교자유를 얻었다. 만자형(卍字形)십자가를 숭경하고 메시아경전(景專), 신도를 경중(景衆), 경교회를 경문(景門)이라 불렀다. 대표사원은 638년 태종이 건립한 대진사(大秦寺)이고 원(元)나라 때에는 십자가사(十字架寺)가 있었다. 781년에 승려 경정(景淨)이 장안에 세운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는 그 전성기를 말하여 주는 유물이다. 이것이 세워진 해는 통일신라시대의 선덕왕 2년에 해당되는데, 당시 당나라와 통일신라와의 밀접한 관계에 비추어 볼 때, 경교한국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된다. 1956년 경주(慶州)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유물 중 석제·동제 십자가마리아관음상 등이 발견되어 통일신라시대의 경교 전래를 알려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중국에서의 경교는 9세기 중엽에 이르러 무종(武宗)의 탄압을 받아 세력이 급속히 쇠퇴하였다. 그 뒤 원나라 때 일시적인 교세확장이 있었으나 로마 가톨릭교의 전도로 거의 소멸되었다. → 네스토리우스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