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9. 19. 18:03ㆍ운영자자료/1.운영자 자료실 1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 때문이다 |
* 계절의 변화
* 지구의 공전이란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1바퀴씩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운동이며 정확한 공전 주기는 365.25일 이다 |
1. 우리나라의 위치와 기후
우리나라는 북위33~43도 사이의 중위도에 위치한다.
또한, 거대한 아시아대륙의 동쪽에 놓여 있는 반도이므로 대륙과 해양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따라서, 계절풍과 중위도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대기의 활동이 활발하고, 날씨변화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진행된다.
(1) 계절풍기후
우리나라가 온대와 냉대에 걸친 계절풍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겨울에는 시베리아로부터 차고 건조한 북풍 또는 북서계절풍이 불어와 나씨가 몹시 춥고 건조합니다. 여름에는 태평양으로 부터 덥고 습기가 많은 바람이 불어와 날끼가 무더우며 비가 많이 내립니다.
(2) 동안기후
큰 대륙의 동쪽해안에 위치한 온대 지방에 나타나는 기후를 동한기후라고 합니다. 동안기후는 대륙의 서쪽지방에 나타나는 서안기후에 비해 여름에는 기후가 높고 습기가 많으며, 겨울에는 기온이 낮고 건조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큽니다.
(3) 대륙성기후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대륙의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육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기후를 대륙성 기후라고 합니다. 대륙성 기후는 일교차와 연교차가 바다나 해안 지바에 비해 매우 큰것이 특징입니다. 대륙에 붙어있으면서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기후는 전체적으로 대륙의 영향을 받고,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 해안가에서 내륙지방으로 들어갈수록 도 대륙의 영향을 받습니다.
(4)삼한사온
우리나라와 중국의 만주,화북지방에서 볼 수 있는 겨울철 기온의 주기적인 변화로, 이것은 시베리아 고기압이 7일을 주기로 세력이 변하기 때문입니다. 즉, 고기압이 발달하는 3일간은 춥고, 고기압이 약해지는 4일간은 비교적 따뜻한 날씨로 보이게 된는 것입니다. 그러나 춥고 따뜻한 날의 비율이 반드시 3:4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5)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
중위도에 위치한 온대와 냉대에 걸친 계절풍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합니다. 남부지방은 사계절이 3개월씩 고르게 나타나지만, 중부에서 북북로 갈 수록 겨울이 길어집니다.
2. 사계절의 변화
ㄱ.봄과 가을철에는 고온 건조한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는데 이 기단은 규칙적으로 우리나라를 통과하므로 주기적으로 날씨 변화를 가져온다.
① 봄철 날씨의 특징
a. 이동성 고기압과 우리나라 서쪽에서 계속해서 다가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흐린날과 맑은 날이 주기적으로 계속된다.
b. 꽃이 피는 이른봄에 쌀쌀한 바람이 두세차례 불어도는데 이를 꽃샘바람이라고 한다.
c. 푄현상(높새바람)
푄이란 산을 넘어 불어내리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으로 우리나라의 영서지방에 부는 건조하로 더운 바람을 말한다. 원인은 오츠크해 고기압이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확장하면서 우리나라에 북동풍을 몰고오기 때문이다.
② 가을철 날씨의 특징
a. 공기가 건조해지고 먼지나 수증기가 적어져서 푸른색이외의 빛은 점점 흩어지기 어렵게되어 말고 파란 가을하늘이 나타나고 최저기온이 8-9℃로 내려가면 나무에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b. 가을장마는 시베리아에서 발생한 이동성 고기압과 북태평양 기단이 부딪쳐서 생기며, 여름 장마보다 더 많은 비를 내리기도 한다.
ㄴ.여름철에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최고 30도를 넘는 무더위가 나타나며, 연 강수량의 45~60%나 되는 많은 비가 내린다.
특히, 우리나라의 강수는 호우 적이고 소나기 성이 특징인데 장마철에 집중호우가 많이 나타난다. 계절풍의 영향으로 바람은 남서 내지 남동풍이 우세하고, 풍속은 겨울철에 비하여 약하다.
ㄷ.겨울철에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차고 건조하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북서풍이 강하게 분다.
① 겨울철 날씨의 특징
a. 차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며 실효 습도가 낮아져서 건조주의보, 화재주의보 등이 실시된다.
b. 삼한사온 현상: 북풍이 부는 겨울철의 기압배치는 서고동저로 나타나며 세찬 북서풍때문에 동쪽의 저기압은 더욱 동쪽으로 밀려나는데 서쪽 고기압과 동쪽 저기압의 차가 크면 클수록 더 강한 북서풍이 불어오게 되고 서쪽으로 부터 이동성 고기압이 서서히 우리나라에 들어오면 따뜻한 날씨가 된다.
c. 대륙에서 불어오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눈이 내린다.
세계의 여러 지역의 기후를 비슷한 것끼리 모아 몇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기후라는 것은 같은 위도 지방이라도 위치나 지형등에 의해 차이가 심하므로 실제적인 분류가 힘들다. | ||||||||||||||||||||
* 분류 방법 가: 기후 분포의 지리적인 차이를 발생하게 하는 위도, 위치, 지형에 세계의 기후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분되고 있으나, 그 중 괴펜(W.Koppen)에 의한 구분이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기후 환경을 잘 반영하는 식물분포에 착안하여 특색있는 지표식물의 분포한계와 일치하는 기온이나 강수량은 한계를 정하고 기호를 붙여 아래와 같이 세계 기후를 11개 기후로 구분하였다. | ||||||||||||||||||||
| ||||||||||||||||||||
|
'운영자자료 > 1.운영자 자료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잘못 쓰기 쉬운 우리말 100가지 (0) | 2007.09.19 |
---|---|
[스크랩] 상식 여행 (0) | 2007.09.19 |
[스크랩] 태극기 (0) | 2007.09.19 |
말씀 아이콘 선물 - 필요하시면... (0) | 2007.09.08 |
다양한 중국차(中國茶)의 종류 (0) | 2007.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