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에이지(NEW AGE) 운동과 음악
2007. 2. 19. 22:14ㆍ참고자료/7.이단·타종교
뉴에이지(NEW AGE) 운동과 음악
1. 시작하는 말
2. 뉴에이지 운동 (NEW AGE MOVEMENT)
1) 뉴에이지의 기원
2) 뉴에이지의 발전
3. 뉴에이지 음악 (NEW AGE MUSIC)
1) 뉴에이지 음악의 정의와 개론
2) 뉴에이지 음악의 실제
4. 마치는 말
<참고서적>
제임스 사이어 저,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강영안 외, 대중문화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예영 커뮤니케이션
1. 시작하는 말
뉴에이지(NEW AGE)라는 단어는 그리 생소하지만은 않다. 잡지에서 TV에서 흔히 접할 수 있고 뉴에이지라는 장르에 속하는 음악을 우리는 자주 듣고 있다. 사실 자신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뉴에이지는 우리 자신의 삶 속에 깊숙이 파고 들어와 있다. 그렇지만 실상은 뉴에이지에 대해 무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역사도 오래지 않았고 전문가들도 특정 지울 수 없는 평민적 특징들이 그 속에 다수 포함되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뉴에이지에 대해 확실히 개념 정리를 해보고, 그것을 바르게 바라보는 시각도 키워 보도록 하자. 지금부터 크게 뉴에이지 운동(NEW AGE Movement)과 뉴에이지 음악(NEW AGE Music)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자.
2. 뉴에이지 운동(NEW AGE Movement)
1) 뉴에이지의 기원
최초의 뉴에이지는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리스·로마 문명의 기본은 철저한 인본주의 사상으로써 다신론과 인간과 유사한 신들을 기초로 한 문화들이 주류를 이루는 사회였다. 바로 이 문명을 뉴에이지 사상의 시초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로마 제국 붕괴와 함께 철저히 인간성이 말살되고 기독교만이 최고의 가치가 부여된 암흑의 중세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르네상스가 발생한다. 자신을 스스로 보헤미안(Bohemian)이라 부르는 예술가들이 고대의 인본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힘쓰고 이후 포스트모던이즘(Post Modernism)이 정립된다. 인간은 신의 피조물이고 창조자와 함께 삶을 영휘 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땐 아무런 존재도 아니었던 중세시대에 반하여 인간과 신을 동격으로 놓고 인간의 감정과 능력에 중심을 두어 인간스스로 최고가 되고자하는 범신론, 다신론적 입장이 바로 포스트 모던이즘의 기본 사상이다. 사실 인간의 부단한 노력으로 자연을 극복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남녀간의 사랑으로 지구의 종말을 막는 내용의 영화를 보고자란 우리 세대에서는 이 포스트 모던이즘이 당연한 이치로 받아 들여 지겠지만 기독교적 입장에서 보면 굉장히 위험한 사상이란 것이다. 유일신을 배재하고 인간을 신과 동격화 시키며 인간중심의 사고를 한다는 것은 인간을 신의 창조물로 보는 기독교적 입장에 굉장한 도전이다.
이후 1960년대의 미국의 히피족들의 반 문화운동과 1970년대의 자기성취문화운동을 거쳐 1980년대의 들어서자 뉴에이지는 비로써 그 정체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뉴에이지 운동은 먼저 세계종교의 사상을 흡수하고 힌두교와 불교의 환생과 윤회 사상, 선불교의 절대무(絶對無), 동양의 이원론인 태극사상(太極思想)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초대교회 안에서 유행하였던 영지주의사상도 흡입되어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초자연주의와 심령술, 신사고, 신지학 등은 뉴에이지 운동이 전격적으로 출현할 수 있는 철학적인 기반을 마련한 몇 가지 중요한 사상들이라고 한다.
위와 같이 사상적 관점에서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는 뉴에이지 운동은 기독교를 배척한다. 인본주의는 과학주의, 진화론, 유물론적인 생활철학과 무신론을 골간으로 하는 인본주의자 선언문Ⅰ(Humanist ManifestoⅠ)에 의해서 세상에 공개적으로 표출되었으며, 제2의 인본주의 선언에 이르러 무신론적 태도가 보다 강경해졌다고 한다. 이것은 곧 기독교에 대한 혐오를 가중 시켰고 물질문명에서 오는 모순과 부조리에 지친 서양인들의 관심을 끌기에 적합했다. 이와 같은 서구인의 영적 공백은 1960대 대거 미국으로 이주한 힌두교 종교지도자들에 의해 알려진 동양종교의 요가와 명상, 심령술과 혼합되었고, 이것이 바로 뉴에이지 운동의 시초가 된 것이다.
2) 뉴에이지의 발전
첫째, 명상 및 요가를 통해서 뉴에이지 운동은 발전해 왔다. 인간은 본래 신과 하나였기에 이제 육체를 벗어나 우주의 신이 되기 위해서, 육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명상과 요가를 쓴다는 주장을 한다. 뉴에이지 운동은 여기서 더 쉽게 명상이나 요가를 하기 위해서, 마약이나 최면술을 써도 좋다고 주장하는데 이것은 기독교적 관점으로나 사회적 관점으로도 커다란 문제점이다.
둘째, 심령술을 통해서 뉴에이지 운동이 발전해 왔다. 뉴에이지 운동의 지침서들은 모두 이상한 신 "블레바트스키"의 마하-도마엠이나 베일리의 티벳 악령들에 의해서 쓰였다고 한다. 그래서 New Age 운동가들은 이 신을 만나려고 한다. 심령술에는 네 단계가 있는데 첫째는 사람이 깊은 명상의 단계에 이르면 이 신을 만날 수 있다고 하고, 둘째는 점쟁이를 통해서 죽은 영혼을 불러내서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셋째는 살아있는 영들 즉 아주 뛰어난 종교인(인신)을 만나는 것이고, 넷째는 4대 정령을 만남으로써 신을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허황된 심령술을 통해서도 뉴에이지 운동은 계속해서 발전해 온 것이다.
셋째, 초능력, 마법, 최면술 등을 통해서도 뉴에이지 운동이 확산 되었다. 이것들은 모두 뉴에이지 운동이 만화나 영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분야이다. 대부분의 만화와 에니메이션은 초능력이나, 마법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인간이 이런 능력을 얻어서 사대 정령을 다스리게 된다는 것이다. 또 뉴에이지 운동은 공간이동, 부영, 축지, 텔레파시 등이 가능하다고도 한다. 그러나 많은 책이나 만화에서 보면 인간이 이런 능력을 얻으려면, 자신의 영을 루시퍼, 마귀,
1. 시작하는 말
2. 뉴에이지 운동 (NEW AGE MOVEMENT)
1) 뉴에이지의 기원
2) 뉴에이지의 발전
3. 뉴에이지 음악 (NEW AGE MUSIC)
1) 뉴에이지 음악의 정의와 개론
2) 뉴에이지 음악의 실제
4. 마치는 말
<참고서적>
제임스 사이어 저,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강영안 외, 대중문화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예영 커뮤니케이션
1. 시작하는 말
뉴에이지(NEW AGE)라는 단어는 그리 생소하지만은 않다. 잡지에서 TV에서 흔히 접할 수 있고 뉴에이지라는 장르에 속하는 음악을 우리는 자주 듣고 있다. 사실 자신도 알지 못하는 사이에 뉴에이지는 우리 자신의 삶 속에 깊숙이 파고 들어와 있다. 그렇지만 실상은 뉴에이지에 대해 무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역사도 오래지 않았고 전문가들도 특정 지울 수 없는 평민적 특징들이 그 속에 다수 포함되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기회를 통해 뉴에이지에 대해 확실히 개념 정리를 해보고, 그것을 바르게 바라보는 시각도 키워 보도록 하자. 지금부터 크게 뉴에이지 운동(NEW AGE Movement)과 뉴에이지 음악(NEW AGE Music)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자.
2. 뉴에이지 운동(NEW AGE Movement)
1) 뉴에이지의 기원
최초의 뉴에이지는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그리스·로마 문명의 기본은 철저한 인본주의 사상으로써 다신론과 인간과 유사한 신들을 기초로 한 문화들이 주류를 이루는 사회였다. 바로 이 문명을 뉴에이지 사상의 시초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로마 제국 붕괴와 함께 철저히 인간성이 말살되고 기독교만이 최고의 가치가 부여된 암흑의 중세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르네상스가 발생한다. 자신을 스스로 보헤미안(Bohemian)이라 부르는 예술가들이 고대의 인본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힘쓰고 이후 포스트모던이즘(Post Modernism)이 정립된다. 인간은 신의 피조물이고 창조자와 함께 삶을 영휘 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땐 아무런 존재도 아니었던 중세시대에 반하여 인간과 신을 동격으로 놓고 인간의 감정과 능력에 중심을 두어 인간스스로 최고가 되고자하는 범신론, 다신론적 입장이 바로 포스트 모던이즘의 기본 사상이다. 사실 인간의 부단한 노력으로 자연을 극복하고 과학을 발전시키며 남녀간의 사랑으로 지구의 종말을 막는 내용의 영화를 보고자란 우리 세대에서는 이 포스트 모던이즘이 당연한 이치로 받아 들여 지겠지만 기독교적 입장에서 보면 굉장히 위험한 사상이란 것이다. 유일신을 배재하고 인간을 신과 동격화 시키며 인간중심의 사고를 한다는 것은 인간을 신의 창조물로 보는 기독교적 입장에 굉장한 도전이다.
이후 1960년대의 미국의 히피족들의 반 문화운동과 1970년대의 자기성취문화운동을 거쳐 1980년대의 들어서자 뉴에이지는 비로써 그 정체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뉴에이지 운동은 먼저 세계종교의 사상을 흡수하고 힌두교와 불교의 환생과 윤회 사상, 선불교의 절대무(絶對無), 동양의 이원론인 태극사상(太極思想)을 받아들이고 있으며, 초대교회 안에서 유행하였던 영지주의사상도 흡입되어 있다는 주장이다. 특히, 초자연주의와 심령술, 신사고, 신지학 등은 뉴에이지 운동이 전격적으로 출현할 수 있는 철학적인 기반을 마련한 몇 가지 중요한 사상들이라고 한다.
위와 같이 사상적 관점에서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는 뉴에이지 운동은 기독교를 배척한다. 인본주의는 과학주의, 진화론, 유물론적인 생활철학과 무신론을 골간으로 하는 인본주의자 선언문Ⅰ(Humanist ManifestoⅠ)에 의해서 세상에 공개적으로 표출되었으며, 제2의 인본주의 선언에 이르러 무신론적 태도가 보다 강경해졌다고 한다. 이것은 곧 기독교에 대한 혐오를 가중 시켰고 물질문명에서 오는 모순과 부조리에 지친 서양인들의 관심을 끌기에 적합했다. 이와 같은 서구인의 영적 공백은 1960대 대거 미국으로 이주한 힌두교 종교지도자들에 의해 알려진 동양종교의 요가와 명상, 심령술과 혼합되었고, 이것이 바로 뉴에이지 운동의 시초가 된 것이다.
2) 뉴에이지의 발전
첫째, 명상 및 요가를 통해서 뉴에이지 운동은 발전해 왔다. 인간은 본래 신과 하나였기에 이제 육체를 벗어나 우주의 신이 되기 위해서, 육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명상과 요가를 쓴다는 주장을 한다. 뉴에이지 운동은 여기서 더 쉽게 명상이나 요가를 하기 위해서, 마약이나 최면술을 써도 좋다고 주장하는데 이것은 기독교적 관점으로나 사회적 관점으로도 커다란 문제점이다.
둘째, 심령술을 통해서 뉴에이지 운동이 발전해 왔다. 뉴에이지 운동의 지침서들은 모두 이상한 신 "블레바트스키"의 마하-도마엠이나 베일리의 티벳 악령들에 의해서 쓰였다고 한다. 그래서 New Age 운동가들은 이 신을 만나려고 한다. 심령술에는 네 단계가 있는데 첫째는 사람이 깊은 명상의 단계에 이르면 이 신을 만날 수 있다고 하고, 둘째는 점쟁이를 통해서 죽은 영혼을 불러내서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셋째는 살아있는 영들 즉 아주 뛰어난 종교인(인신)을 만나는 것이고, 넷째는 4대 정령을 만남으로써 신을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허황된 심령술을 통해서도 뉴에이지 운동은 계속해서 발전해 온 것이다.
셋째, 초능력, 마법, 최면술 등을 통해서도 뉴에이지 운동이 확산 되었다. 이것들은 모두 뉴에이지 운동이 만화나 영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분야이다. 대부분의 만화와 에니메이션은 초능력이나, 마법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인간이 이런 능력을 얻어서 사대 정령을 다스리게 된다는 것이다. 또 뉴에이지 운동은 공간이동, 부영, 축지, 텔레파시 등이 가능하다고도 한다. 그러나 많은 책이나 만화에서 보면 인간이 이런 능력을 얻으려면, 자신의 영을 루시퍼, 마귀,
'참고자료 > 7.이단·타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에이지 (New Age) (0) | 2007.02.19 |
---|---|
뉴에이지 (New Age) (0) | 2007.02.19 |
[스크랩] 크리스찬 사이언스(Christian Science) (0) | 2007.02.19 |
[스크랩] 뉴에이지 지도자들 (0) | 2007.02.19 |
[스크랩] 뉴에이지 (0) | 2007.02.19 |